$\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특정 정보의 정신적 표상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Mental Representation of a Specific Data 원문보기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v.29 no.4, 2013년, pp.449 - 466  

강정기 (Namsan Middle School) ,  노은환 (Department of Mathematics Education, Chin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started from a question: Can it help a student solve the problem to give supports in point of view of a teacher knowing the solution. We performed a case study to get an answer for the question. We analysed a case which students do not make full use of data in the mathematical problem fro...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학에서 문제 해결을 어떠한 과정이라고 볼 수 있는가? 이처럼 수학 문제에서 주어진 정보는 문제 해결의 실마리가 될 수 있으며, 이들을 얼마나 잘 활용하는가는 문제 해결과 직결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수학에서 문제 해결은 주어진 정보로부터 미지의 정보를 찾아가는 과정으로서 볼 수 있으며, 이러한 관점을 유익승(2010)은 ‘정보의 관점에서 문제 해결’이라고 정의하기도 하였다. 이외에도 한인기(1998), Nilssen(1971) 등도 같은 맥락으로 문제 해결을 설명하기도 하였다.
수학 교육의 기본적인 목표 중 하나는? 문제 해결이 학교 수학의 초점이 되어야 한다는 An agenda for action(NCTM, 1980)의 권고 이후 문제 해결은 모든 수학 학습의 통합적인 부분으로서 수학 교육의 기본적인 목표 중의 하나로 지속적으로 강조되고 있다(NCTM, 2000). 우리나라에서도 제 4차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수학교육의 목표를 “수학의 초보적인 지식과 기능을 익혀, 일상생활의 여러 가지 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과 태도를 기른다”로 정한 이래로 2007 개정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문제 해결은 지속적으로 강조되고 있다(교육과학기술부, 2007).
내적 표상이란? 일반적으로 표상은 수학을 수행하는 학생들의 마음속에서 ‘내적으로’ 발생하는 과정 및 결과 뿐 아니라 ‘외적으로’ 관찰 가능한 과정 및 결과를 모두 일컫는다(NCTM, 2000). 이러한 표상에 대해 전자는 내적 표상, 후자는 외적 표상을 구분하여 생각한다(Goldin & Shteingold, 2001; Miura, 200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교육과학기술부 (2007).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III): 수학, 과학, 기술.가정.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2. 권성룡 (2003). 초등학생의 분수표상에 관한 연구. 대한수학교육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25-244. 

  3. 권오남.백한미 (1997). 수학 문제 해결 전략 선택에 있어서의 성별 차이에 대한 연구. 대한수학교육학회 논문집. 7(2), 255-267. 

  4. 김경미.황우형 (2012). 자연수와 분수 연산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A: , 51(1), 21-45. 

  5. 김동근.윤대원 (2012). 피타고라스 세 수를 구하는 다양한 문제해결 방법 탐구.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28(4), 419-433. 

  6. 김민경.권혁진 (2010). 수학 문제 해결에서 학업성취도에 따른 표상 활용 능력과 특징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E: , 24(2), 475-502. 

  7. 김부미 (2005). 경험적 구조주의에 의한 수학적 오류의 분류가능성 탐색. 대한수학교육학회지: 수학교육학연구, 15(4), 461-488. 

  8. 김선유 (1995). 문제 해결의 전략과 평가 방안. 대한수학교육학회 논문집, 5(2), 79-89. 

  9. 김영채 (1995). 사고와 문제 해결 심리학. 서울: 박영사. 

  10. 김정희.조완영 (2004). 고등학교 학생들의 미분개념의 이해 및 오류유형 분석. 대한수학교육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6, 489-508. 

  11. 김종백.이성원 (2011). 시각적 스키마 프로그램이 문장제 표상과 문제 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대한수학교육학회지: 학교수학, 13(1), 155-173. 

  12. 김철환.박배훈.정창현 (1988). 문제 해결력과 수학문제의 분류의 관점에 관한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 시리즈A , 26(2), 9-13. 

  13. 문성길.전평국 (2001). 개방형 교수법에 의한 수학지도가 문제 해결력과 신념 형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수학교육학회 시리즈E: 수학교육논문집, 11, 159-165. 

  14. 박경미 (1993). 인지심리학적 정보처리이론의 관점에서 본 수학교육. 대학수학교육학회 논문집, 3(1), 117-126. 

  15. 박선호.표성수 (2012). 교과서에 표현된 복소수와 이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 실태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A: , 51(1), 1-19. 

  16. 박윤배 (1988). Expert-novice differences of mental representation and problem solving strategy in machanics problems. 한국과학교육학회지, 8(2), 43-52. 

  17. 성인서 (1987). 교사.학생이 수학 문제 해결에서 사용하는 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 시리즈A , 26(1), 11-19. 

  18. 신수진.강정기.노은환 (2012). 문제 해결 과정에서 규칙을 찾는 초등학생들의 사고 과정 분석.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28(2), 173-195. 

  19. 양성현.강옥기 (2011). GeoGebra를 활용한 역동적인 시각적 표상에 기반한 이차곡선 지도 방안. 대한수학교육학회지: 학교수학, 13(3), 447-468. 

  20. 유윤재 (2009). 문제 해결에서 분석의 역할. 한국수학교육학회 시리즈A , 48(2), 141-148. 

  21. 유익승 (2010). 수학적 문제 해결 과정에서 문제 정보의 분석과 활용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2. 윤대원.김은주.유익승 (2006). 조합적 논증을 이용한 문제 해결에 대한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 시리즈E 20(3), 373-389. 

  23. 장혜원 (1997). 수학 학습에서의 표현 및 표상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4. 전영주.정완수 (2002). 수준별 협동학습이 문제 해결 능력 신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수학교육학회 시리즈E , 13(1), 275-286. 

  25. 조경희.권오남 (2010). 소수(素數) 개념에 대한 중학생의 이해. 대한수학교육학회지: 학교수학, 12(3), 371-388. 

  26. 최지영.방정숙 (2012). 초등학교 2, 4, 6학년 학생들의 함수적 관계 이해 실태 조사. 대한수학교육학회지: 학교수학, 14(3), 275-296. 

  27. 한광희.임중우.김민식.이일병.변혜란 (2000). 인지과학, 서울: 학지사. 

  28. 하수현.이광호 (2011).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변수 개념 이해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A: , 50(3), 263-284. 

  29. 한인기 (1998). 꼴랴긴의 수학문제 분류, 대한수학회 뉴스레터 62, 20-25. 

  30. 한인기 (2003). 수학 문제 해결에서 아르키메데스의 공학적 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 시리즈E 17, 115-126. 

  31. Arcavi, A. (2003). The role of visual representations in the learning of mathematics.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52, 215-241. 

  32. Engel, A. (1997). Problem-Solving Strategies. New York: Springe-Verlag Inc. 

  33. Goldin G. A. (2008). Perspectives on representation in mathematical learning and problem solving, In L. D. English, (Ed.) Handbook of intern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2nd Edition. New York, NY: Routledge. 

  34. NCTM (1980). An agenda for action: Recommendations for school mathematics of the 1980s.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35. NCTM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36. Nilssen, N. J. (1971). Problem solving methods in artificial intelligence . New York: McGraw-Hill. 

  37. Polya, G. (1956). How to solve it - A New Aspect of Mathematical Method. 우정호(역) (2002). 어떻게 문제를 풀 것인가? 서울: 교우사. 

  38. Schoenfeld, A. (1985)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New York: Academic Press. 

  39. Zeitz. P. (1999). The Art and Craft of Problem Solving. New York: John Wiley & Sons, Inc.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