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운영활성화를 위한 전략개발 기초연구
A Basic Study on Strategy Development for Improving the Management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원문보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31 no.4 = no.124, 2013년, pp.33 - 45  

강기정 (백석대학교 기독교복지학과) ,  박수선 (서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손서희 (숙명여자대학교 가족자원경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proposes strategy development to improve the management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by analyzing four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MFSCs) in Chungcheongnam-do. The research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2012 to January 2013. Future directions for the four MFSCs are e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지역센터를 분석하여 센터 운영활성화를 위한 전략개발을 제안하려는 목적으로 2012년 9월 ~ 2013년 1월까지 진행되었다. 구체적인 연구내용으로 충청남도에 소재한 센터 중 지역 및 위탁유형을 기준으로 센터들을 분류한 후 연구 참여 의사를 보인 시 · 군 단위의 4개 센터(A센터 : 도시형, 대학 위탁, B센터 : 도농형, 민간재단 위탁, C센터 : 농어촌형, 군단위 직영, D센터 : 농어촌형, 민간단체 위탁)는 모두 사업운영기간이 최소 5년 이상 된 곳으로 사전에 해당 센터 참여자들의 동의를 받고 시작되었다.
  • 본 연구는 충청남도에 위치한 네 개의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내 · 외부 환경 분석과 이를 기반으로 한 SWOT분석을 토대로 지역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운영 활성화를 위한 혁신 전략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본 연구는 충청남도에 위치한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중 지역유형과 위탁유형에 따라 4곳을 선택하여 외부환경분석 (PEST분석) 및 내부역량분석(사업분석, 이해관계자 의견수렴, 조직분석)과 이를 기반으로 한 SWOT분석을 토대로 지역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운영 활성화를 위한 전략을 제시하였다. 선택된 시 군단위의 4개 센터는 A센터(도시형, 대학위탁), B센터(도농형, 민간재단위탁), C센터(농어촌형, 군단위 직영), D센터(농어촌형, 민간단체위탁)이며, 모두 사업운영 기간이 최소 5년 이상 된 곳이다.
  • 또한 의사결정구조와 사업별 업무 분장으로 인한 수평적, 수직적 업무 분화를 살펴볼 때, 대부분의 센터가 중간정도의 의사결정 효율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직영조직인 C 센터의 경우 의사결정 단계가 길고, 인원이 적어 업무분장의 중복성을 조직구조의 문제점으로 지적하였다. 센터 구성원 수의 경우 센터장을 포함한 해당센터들의 전체 조직원 수는 9명에서 13명 수준이었으며, 모든 센터가 업무에 비해 인원이 부족하여 업무 부담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문화가족의 사회통합을 위해 제정한 법은? 다문화가족의 증가에 따라 정부는 다문화가족의 사회통합을 돕기 위해 2008년 다문화가족지원법을 제정하고 다문화가족지원정책의 전달체계로 결혼이민자가족지원센터를 다문화가족지원센터로 명칭을 변경하여 운영하고 있다(Kim & Hong, 2010). 이후 다문화가족지원센터가 수적으로 크게 증가하였는데, 2006년 21개에서 2013년 5월 기준 전국 211개의 다문화가족지원센터가 운영되고 있다(Korean Institute for Healthy Family, 2013b).
2013년 기준으로 몇 개의 다문화가족지원센터가 운영되고 있는가? 다문화가족의 증가에 따라 정부는 다문화가족의 사회통합을 돕기 위해 2008년 다문화가족지원법을 제정하고 다문화가족지원정책의 전달체계로 결혼이민자가족지원센터를 다문화가족지원센터로 명칭을 변경하여 운영하고 있다(Kim & Hong, 2010). 이후 다문화가족지원센터가 수적으로 크게 증가하였는데, 2006년 21개에서 2013년 5월 기준 전국 211개의 다문화가족지원센터가 운영되고 있다(Korean Institute for Healthy Family, 2013b).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수적인 증가와 함께 센터 이용 연인원 또한 2006년 94,277명에서 2012년 1,656,443명으로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Korean Institute for Healthy Family, 2013a).
다문화가족의 사회통합을 위한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서비스 사용 비율은 어떻게 되는가? 2012년 전국 다문화가족실태조사(2013)에 따르면,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인지도는 71.4%로 높게 나타났으며, 한 가지 이상의 교육 및 지원 서비스를 받은 경험이 있는 경우가 46.2%로 나타나 다문화가족지원센터가 다문화가족지원정책의 주요 전달체계로써 자리 잡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위상을 고려할 때, 다문화가족지원센터는 센터의 양적 확대를 넘어 센터 운영의 내실화를 다지기 위해 노력을 기울여야 할 시점에 접어들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Chang, G. & Kim, S.(2007). Factors affecting government innovation: An analysis of consolidated agencies. Korean Society and Public Administration, 17(4), 17-41. 

  2. Choi, S.(2010). Organizational innovation: The influence of leadership and market orientation on the innovation of social service organizations in South Kore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3. Han, S.(2010). Factors of Organizational Innovation in Public Sector: the Case of Korea Forest Service. Contemporary Society and Administration. 20(1), 27-47. 

  4. Hasenfeld, Y.(1983). Human service organization. N.J.: Prentice-Hall, Inc. 

  5. Jung, E.(2011). The main effects of influential factors and moderating effects of innovation motives on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innov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atholic University, Seoul. 

  6. Jung, S. & Jung, Y.(2010). An analysis on the service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in Korea. The Korean Governance Review, 17(2), 229-255. 

  7. Kim, J. & Moon, H.(2010). A comparison of the demographic variables and teacher's empowermen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31(2), 69-83. 

  8. Kim, M.(2011). A study on the management system and the empowerment of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Journal of Human Sciences, 16, 25-55. 

  9. Kim, S. & Hong, S.(2010). Evaluations over operating projects and it's suggestions for improvemen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pecialists in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Journal of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14(2), 35-58. 

  10. Kim, Y.(2010). A study on the principles of multicultural policy for immigrant integration: Focusing on the FGI to the Ganghwagun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The Journal of Cultural Policy, 23, 45-68. 

  11.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2012). A study on medium/long-term development plan for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12. Korean Institute for Healthy Family(2013a). Report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programs for 2012. 

  13. Korean Institute for Healthy Family(2013b). Status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for 2013. http://www.liveinkorea.kr/board/board_read.asp?pztmb&lngkr&ccmfsc&id1810&gr&sn&sw&sdate&num2063834&pg1 

  14. Lee, E.(2013). Organizational performance model of long-term care facilities: Based on results of MBNQA applic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5. Lewis, J. A., Lewis, M. D., Packard, T., & Souflee, F. (2001). Management of human service programs (3rd.). CA: Wadsworth. 

  16. Light, P. C.(2004). Sustaining nonprofit performance. Washington DC: Brookings Institution Press. 

  17.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2013). 2012 National Survey of Multicutural Families. 

  18. Ministry of Planning and Budget(2008). Current status of public-private partnership among local districts and development models. 

  19. Nam, J. & Jeon, Y.(2012). A suggestion for improvement of the social welfare delivery system of local community-centered. Journal of Community Welfare, 43, 513-530. 

  20. Oh, Y., Jung, M., Ra, H., Park, J., Kim, S.(2009). Management model and development plan for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Ministry for Healthy, Welfare and Family Affairs. 

  21. Park, C. & Won, G.(2009). Practical use of social network analysis in organizational diagnosis. Korean Review of Organizational Studies, 6(2), 1-32. 

  22. Park, J. & Kang, K.(2011). The basic study of development on standard model in Family Support Center.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9(4), 147-16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