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강원 영동지역 일부 남자 대학생에서 기숙사 거주와 자취에 따른 식습관 및 가공식품 이용관련 식행동 조사
Food Habits and Dietary Behavior Related to Using Processed Food among Male College Students Residing in Dormitory and Self-boarding in Gangwon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18 no.4, 2013년, pp.372 - 385  

김미현 (강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현 (강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우근 (강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순주 (강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연지영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영양안전국 영양안전정책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food habits and dietary behavior related to using processed food among male college students residing in dormitory and self-boarding in Gangwon. A total of 344 students (dormitory group: 227, self-boarding group: 117) were surveyed from May to June of 2012.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거주형태의 변화로 인해 식습관의 변화가 야기될 수 있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식생활을 독립적으로 하는 자취생과 부모로부터 독립적인 식생활을 하지만 기숙사에 거주하면서 제공되는 식사를 섭취하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식습관 및 가공식품 이용관련 식행동을 조사함으로써 대학생의 거주형태에 따른 식생활 문제점과 독립적인 식생활 관리 능력을 알아보고 그에 따른 영양교육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식생활 자가진단은 10문항으로 Mini Dietary Assessment Index(Kim 등 2003)를 이용하였으며, 바람직한 영양 태도의 경우 ‘항상 그렇다’ 5점, ‘그렇다’ 3점, ‘아니다’ 1점을 주고, 바람직하지 않은 영양태도 문항의 경우 반대의 순서로 점수를 부과하여 34점을 만점으로 하였다. 따라서 영양 점수가 높을수록 바람직한 식습관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가공식품 선호도는 ‘매우 좋다’ 5점, ‘좋다’ 4점, ‘보통이다’ 3점, ‘싫다’ 2점, ‘매우 싫다’ 1점으로 하였으며, 가공식품 구매시 고려하는 사항은 ‘매우 그렇다’ 5점, ‘그렇다’ 4점, ‘보통이다’ 3점, ‘그렇지 않다’ 2점, ‘매우 그렇지 않다’ 1점으로 나누어 조사한후 점수화하여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남자대학생을 대상으로 거주형태에 따른 식습관 및 가공식품 이용관련 식행동을 조사하여 식생활의 문제 점과 독립적인 식생활 관리 능력을 알아보고 그에 따른 영양 교육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조사되었다. 기숙사군과 자취군의 평균 연령은 각각 2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스로 식생활을 관리해야 하는 기숙사거주와 자취 대학생의 경우는 어떤 식품의 섭취가 높은 것으로 보고 되는가? 이와 같이 대학생이 되면서 이루어지는 거주 형태의 변화가 식습관과 영양상태에 변화를 초래함을 알 수있다. 또한 스스로 식생활을 관리해야 하는 기숙사거주와 자취 대학생의 경우 빠르고 쉽게 식사나 간식을 해결하기 위해 편의식품 섭취가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Kim 2003; Lee 등 2010). 이러한 편의식품의 잦은 섭취는 열량, 지방, 나트 륨의 과잉을 초래하기 쉽고, 비타민 및 무기질의 부족으로 영양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으며(Yang & Shon 2009; Choi 등 2010), 편의식품과 같은 가공식품 구매시 남학생은 여학 생에 비해 영양표시에 대한 이해도, 이용실태 및 구매행동이 낮은 것으로 보고되었다(Lee 등 2002; Jung & Jung 2008).
대학생 시기는? 청년기에서 성인기로 전환하는 과도기에 해당하는 대학생 시기의 잘못된 식생활 행동은 성인기의 식생활 태도로 이어져 건강상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좋은 식습관의 형성과 균형 잡힌 영양섭취가 무엇보다 중요한 시기이다(Ryu 1993; Han & Cho 1998). 그러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연구나 20대의 젊은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에서 아침 결식과 야식 등의 불규칙한 식사패턴, 고열량식품 및 영양밀도가 낮은 부적당한 간식의 과다 섭취 및 잦은 외식, 편의식품 이용 증가 등의 바람직하지 않은 식습관 문제가 많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Lee 등 1998; Kim 등 1998; Lim 등 2005; Bae 등 2007).
대학생이 되면서 이루어지는 거주 형태의 변화가 식습관과 영향상태에 변화를 초래함을 알 수 있는 내용은? 또한 중요한 환경적 변화 요인으로써 거주형태의 변화를볼 수 있다. 대학생은 학교의 위치에 따라 중·고등학교 때보다 거주 형태가 다양해지는데, 특히 지방 소재 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은 거리적인 이유로 자취, 하숙, 기숙사 거주 등거주형태가 다양하다. 올바른 영양지식이나 식습관이 확립 되지 않은 상태에서 식생활 관리자였던 부모와 떨어져 독립 적으로 거주하는 것은 대학생의 식습관 및 영양상태에 부적 절한 영향을 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Choi 등 2000; Yang & Shon 2009; Choi 등 2010). 즉 자택에서 통학하는 학생들에 비하여 자택이외에 거주하는 학생들이 식습관 점수가 낮았고, 불규칙한 식사를 하는 비율이 높았으며(Lee 등 1996; Chang 등 1998; Choi 등 2004), 아침 결식률이 높다는 보고(Lee 등 1996; Choi 등 2000) 가 있었다. 한편, 자취하는 학생은 통학이나 하숙, 기숙사 거주하는 학생에 비하여 야채와 해조류의 섭취가 낮고, 기숙사에 거주하는 학생은 다른 집단의 학생에 비하여 인스턴트 면류의 섭취가 높고, 과일의 섭취빈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Kim 2004). 이와 같이 대학생이 되면서 이루어지는 거주 형태의 변화가 식습관과 영양상태에 변화를 초래함을 알 수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Bae YJ, Lee JC, Kim MH (2007): Nutritioal status and dietary quality of college students by residing types in Samcheok. J Korea Dietetic Assoc 13(4): 311-330 

  2. Bae YJ, Yeon JY (2011): Dietary behaviors, processed food preferences and awareness levels of nutrition labels amo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living in middle region by breakfast eating. J Korean Diet Assoc 17(4): 387-402 

  3. Bolton-Smith C, Casey CE, Gey KF, Smith WC, Tunstall-Pedoe H (1991): Antioxidant vitamin intakes assessed using a foodfrequency questionnaire: correlation with biochemical status in smokers and non-smokers. Br J Nutr 65(3): 337-346 

  4. Brevard PB, Ricketts CD (1996): Residence of college students affects dietary intake, physical activity, and serum lipid levels. J Am Diet Assoc 96(1): 35-38 

  5. Chang YK, Oh EJ, Sun YS (1998): A study on the food habit & the health responses of college students to the todai health index. J Korea Home Economics Assoc 16(1): 43-51 

  6. Choi JG, Shin MK, Seo ES (2004): A study on self-evaluated obesity and food habits by residence type of college students in Ik-San area. Korean J Human Ecology 13(1): 97-110 

  7. Choi KS, Shin KO, Huh SM, Chung KH (2010): Comparison of nutritional and physical status according to the residental type among college women in Seoul women's university and Sahmyook university. Korean J Nutr 43(1): 86-96 

  8. Choi MK, Jun YS, Park MK (2000): A study on eating patterns and nutrient intakes of college students by residences of selfboarding and home with parents in Chungnam. J Korea Dietetic Assoc 8(1): 9-16 

  9. Han MJ, Cho HA (1998): Dietary habit and perceived stress of college students in Seoul area. Korean J Dietary Culture 13(4): 317-326 

  10. Hwang JH, Lee HM (2007): A study on lifestyles, dietary habits,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behaviors of male university students according to residence type. Korean J Community Nutr 12(4): 381-395 

  11. Jun YS, Choi MK, Kim MH (2000): The effects of alcohol intake on nutritional intake status of college students in Chungnam. J Korea Dietetic Assoc 8(3): 204-249 

  12. Jung HW, Jung LH (2008): A study on use of processed food for high school students in Gwangju. Korean J Human Ecology 11(2): 21-33 

  13. Kim KH (2003): A study of the dietary habits, the nutritional knowledge and the consumption patterns of convenience foods of university students in the Gwangiu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8(2): 181-191 

  14. Kim MH, Jeong ES, Kim EJ, Chol HK, Bae YJ, Choi MK (2011): Night eating status of university students in partial area of Chungnam.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1: 563-576 

  15. Kim KW, Lee MJ, Kim JH, Shim YH (1998): A study on weight control attempt and related factors among college female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3(1): 21-33 

  16. Kim MH, Lee JC, Bae YS, Cho HK, Kim MH, Kim EY, Hong WJ, Sung SJ (2006): Nutritional status and diet quality of female college students by living together with or without parent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6(6): 635-645 

  17. Kim MS (2004): A study on the eating behavior of the university students by type of residence in Taebaek city. J Korean Home Econ Assoc 42(10): 1-10 

  18. Kim WY, Cho MS, Lee HS (2003):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mini dietary assessment index for Koreans. Korean J Nutr 36(1): 83-92 

  19. Klesges RC, Eck LH, Isbell TR, Fulliton W, Hanson CL (1990): Smoking status: effects on the dietary intake, physical activity, and body fat of adult men. Am J Clin Nutr 51(5): 784-789 

  20. Korea Health Statistics [KHS] (2012):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2) (2011). pp. 366, 368, 370, 387, 391 

  21. Lee EJ (2008): The effect of the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curriculum on the students's perception of nutrition labels and their choice of processed food. MS Thesis, Dongguk University, Seoul, Korea 

  22. Lee HS, Lee JA, Paik JJ (1998): A study of food habits, physical status and related factors of college students in Chuncheon. Korean J Community Nutr 3(1): 34-43 

  23. Lee IS, Choi BS, You DR, Park YM (2002): College students characteristics and utilization of the nutrition labels on food package. Korean J Dietary Culture 17(3): 299-308 

  24. Lee MS, Woo MK (1999): Changes in food habit, nutrition knowledge and nutrition attitude of university students during nutrition course. J Korea Nutr 32(6): 739-745 

  25. Lee KA, Cho EJ, Yoon HS (2010): A study on consumption of convenience foods of university students by residing types in Changwon and Masan area. J Korean Diet Assoc 16(3): 279-290 

  26. Lee KJ, Lee YH (2004): Consumer's recognition and using state about food-nutrition labeling system among twentie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4(1): 54-63 

  27. Lee YN, Choi HM (1994):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mass index and the food habits of college students. Korean J Dietary Culture 9(1): 1-10 

  28. Lee YN, Lee JS, Ko YM, Woo JS, Kim BH, Choi HM (1996): Study on the food habits of college students by residences. Korean J Community Nutr 1(2): 189-200 

  29. Lim YS, Park HR, Han GJ (2005): Comparison of preference for convenience and dietary attitude in college students by sex in Seoul and Kyunggi-do area. J Korean Diet Assoc 11(1): 11-20 

  30. McPhillips JB, Eaton CB, Gans KM, Derby CA, Lasater TM, McKenney JL, Carleton RA (1994): Dietary differences in smokers and nonsmokers from two southeastern New England communities. J Am Diet Assoc 94(3): 287-292 

  31. Misra R (2007): Knowledge, attitudes, and label use among college students. J Am Diet Assoc 107(12): 2130-2134 

  32. Park SS, Kim NY, Han MJ (2008): Processed food preferences and food and nutrition labeling perceptions of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J Food Cookery Sci 24(2): 164-173 

  33. Satia JA, Galanko JA, Neuhouser ML (2005): Food nutrition label use is associated with demographic, behavioral, and psychosocial factors and dietary intake among African-Americans in North Carolina. J Am Diet Assoc 105(3): 392-402 

  34. The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6): Annual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based on vital registration 

  35. Ryu ES (1993): The study on the dietary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in Busan area. J Korea Society Dietary Culture 8(1): 43-54 

  36. Yang J, Shon CM (2009): Nutritional status and dietary quality by their residing types in college students. Korean J Human Ecology 18(4):959-97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