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23 no.3, 2013년, pp.297 - 310
홍승희 (한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연지영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영양안전국 영양안전정책과) , 배윤정 (한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relationships among night eating and nutrient intakes status in university students. A total of 271 subjects (male=155, female=116) were divided by using 3-days food record method according to the percentage of energy from night eating: non-night eating, <25% ...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바쁜 현대인들의 경우 부족한 시간으로 어떤 식사습관을 가지는가? | 건강 유지 및 증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질병의 예방이 중요시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균형된 영양소가 고루 함유된 식사를 적절한 양으로 섭취하는 규칙적인 식사 습관은 건강관리에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바쁜 현대인들의 경우 부족한 시간으로 인해 결식이 매우 잦고, 부적절한 간식의 섭취 및 폭음과 폭식 등으로 인해 이와 같은 식사 습관을 실천하기 어려운 실정이다(Ministry of Health & Welfare [MOHW]&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CDCP]2011). 특히 끼니를 거르거나 폭식으로 인해 한끼 식사량이 많아질 경우 다음 끼니 섭취에 영향을 미쳐, 다음 끼니의 섭취량이 줄거나 부적절한 식품을 섭취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 |
야식의 의미는? | 또한 바쁜 현대인의 생활 특성상 활동 시간의 범위가 늘어나고, 점심이나 저녁의 식사 섭취량이 적거나 결식했을 경우 야식을 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야식은 저녁식사와는 별도로 늦은 시간에 먹는 음식, 즉 저녁식사 후의 간식 또는 저녁 식사 대신 먹는 간단한 식사나 식품 섭취를 의미하며, ‘아침의 식욕 부진, 저녁식사 후의 과식, 수면 장애의 특징을 가지는 식행동 장애’를 야식증후군이라고 한다(Stunkard et al 1955). | |
야식증후군의 진단 기준은 매우 다양하여 연구자들 사이에서 약간의 차이를 보이는데 이것에 대한 내용은? | 야식증후군의 진단 기준은 매우 다양하며, 연구자들 사이에서도 약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예를 들어 야식을 저녁 7시 이후 또는 8시 반 이후 시간에 1일 총 섭취 열량의 25%에서 50% 이상 섭취하는 것으로 정의하거나, 불면증의 여부, 수면 중 잠에서 깨어나는 횟수의 빈도, 아침의 식욕 부진 여부 등을 사용하여 정의내리기도 한다(Stunkard et al 1996, Adami et al 1997, Stunkard & Allison 2003, Allison & Stunkard 2005, Striegel-Moore et al 2006). 또한 야식으로부터 섭취하는 열량의 범위로 야식 섭취 여부를 정하여 사용한 선행 연구도 보고되고 있다(Suh et al 2012). |
Adami GE, Meneghelli A, Scopinaro N (1997) Night eating syndrome in individuals with Mediterranean eating-style. Eat Weight Disord 2: 203-206.
Allison KC, Ahima RS, O'Reardon JP, Dinges DF, Sharma V, Cummings DE, Heo M, Martino NS, Stunkard AJ (2005) Neuroendocrine profiles associated with energy intake, sleep, and stress in the night eating syndrome. J Clin Endocrinol Metab 90: 6214-6217.
Allison KC, Engel SG, Crosby RD, de Zwaan M, O'Reardon JP, Wonderlich SA, Mitchell JE, West DS, Wadden TA, Stunkard AJ (2008) Evaluation of diagnostic criteria for night eating syndrome using item response theory analysis. Eat Behav 9: 398-407.
Allison KC, Stunkard AJ (2005) Obesity and eating disorders. Psychiatr Clin North Am 28: 55-67.
Aronoff NJ, Geliebter A, Zammit G (2001) Gender and body mass index as related to the night-eating syndrome in obese outpatients. J Am Diet Assoc 101: 102-104.
Birketvedt GS, Florholmen J, Sundsfjord J, Osterud B, Dinges D, Bilker W, Stunkard A (1999) Behavioral and neuroendocrine characteristics of the night-eating syndrome. JAMA 282: 657-663.
Birketvedt GS, Sundsfjord J, Florholmen JR (2002) Hypothalamicpituitary- adrenal axis in the night eating syndrome. Am J Physiol Endocrinol Metab 282: E366-369.
Colles SL, Dixon JB, O'Brien PE (2007) Night eating syndrome and nocturnal snacking: association with obesity, binge eating and psychological distress. Int J Obes (Lond) 31: 1722-1730.
Hansen RG (1973) An index of food quality. Nutr Rev 31: 1-7.
Hansen RG, Wyse BW (1998) Expression of nutrient allowances per 1,000 kilocalories. J Am Diet Assoc 76: 223-227.
Jung HJ, Park KH, Cho YG, Cho JJ, Paek YJ, Song HJ, Byun JS (2006) Night eating tendency and related health risk factor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15: 98-105.
Kim MH, Jeong ES, Kim EJ, Chol HK, Bae YJ, Choi MK (2011) Night eating status of university students in partial area of Chungnam.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1: 563-576.
Lundgren JD, Smith BM, Spresser C, Harkins P, Zolton L, Williams K (2010) The relationship of night eating to oral health and obesity in community dental clinic patients. Gen Dent 58: e134-139.
Ministry of Health & Welfare [MOHW] &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CDCP] (2011) Korea Health Statistics 2010: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1).
O'Reardon JP, Ringel BL, Dinges DF, Allison KC, Rogers NL, Martino NS, Stunkard AJ (2004) Circadian eating and sleeping patterns in the night eating syndrome. Obes Res 12: 1789-1796.
Striegel-Moore RH, Franko DL, Thompson D, Affenito S, Kraemer HC (2006) Night eating: prevalence and demographic correlates. Obesity (Silver Spring) 14: 139-147.
Striegel-Moore RH, Thompson D, Franko DL, Barton B, Affenito S, Schreiber GB, Daniels SR (2004) Definitions of night eating in adolescent girls. Obes Res 12: 1311-1321.
Stunkard AJ, Allison KC (2003) Two forms of disordered eating in obesity: binge eating and night eating.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27: 1-12.
Stunkard AJ, Berkowitz R, Wadden Y, Tanrikut C, Reiss E, Young L (1996) Binge eating disorder and the night-eating syndrome. Int Obes Relat Meta Disord 20: 1-6.
Stunkard AJ, Grace WJ, Wolff HG (1955) The night-eating syndrome; a pattern of food intake among certain obese patients. Am J Med 19: 78-86.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10)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Seoul.
Takeda E, Terao J, Nakaya Y, Miyamoto K, Baba Y, Chuman H, Kaji R, Ohmori T, Rokutan K (2004) Stress control and human nutrition. J Med Invest 51: 139-145.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