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imMan 시뮬레이션 학습 시나리오의 개발 및 학습 수행 평가 - 응급실 내원 천식 환자사례를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a Scenario and Evaluation for Simulation Learning of Care for Patients with Asthma in Emergency Units 원문보기

기본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17 no.3, 2010년, pp.371 - 381  

고일선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간호정책연구소) ,  김희순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간호정책연구소) ,  김인숙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간호정책연구소) ,  김소선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간호정책연구소) ,  오의금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간호정책연구소) ,  김은정 (을지대학교 간호대학) ,  이주희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간호정책연구소) ,  강세원 (아주대학교 간호대학, 한국연구재단)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cenario and evaluate students' performance in simulation learning of care for patients with asthma in emergency units. Methods: Meetings of experts were used to develop a scenario based on actual patients and textbook material. An evaluation prot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천식환자 사례를 기반으로 시뮬레이션 학습시나리오를 개발하여 학습 수행을 평가함으로 적용가능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간호대학 4학년 학생들의 경우 임상실습을 이미 1년 이상의 경험을 하였고, 그 동안 배웠던 간호학적 지식을 기반으로 천식환자 시뮬레이션 교육을 적용하는데 무리가 없는 대상자로 판단하여 이들을 위한 시뮬레이션 학습 시나리오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응급실에 내원한 천식환자 사례를 선택한 이유는 천식은 발병 초기에 상태가 호전될 수 있는 특성을 보이지만, 증상이 장기간 지속되면 만성 폐쇄성 폐질환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환자로 하여금 신체적, 사회적, 경제적, 정신적인 면에서 고통을 주기 때문에 간호에 있어 환자 증상 관리의 중요성을 가지기 때문이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임상에서 직면할 수 있는 상황을 바탕으로 전문직 간호사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높은 사실성(high-fidelity)의 SimMan 시뮬레이터를 가지고 구현할 수 있는 시나리오를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궁극적으로는 간호학생들의 간호 문제에 대한 비판적 사고와 임상적 판단 능력을 향상시키고자 시도되었다. 또한 개발된 시뮬레이션 시나리오의 적용가능성을 검증하여 시뮬레이션 학습전략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현재 시뮬레이션 학습에 이용할 수 있는 시나리오는 대부분 국내에서 개발된 것이 아니어서 환자 사례가 우리 상황과 맞지 않는 경우가 많아 수정 보완해서 사용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어 우리 실정에 맞는 학습 시나리오의 개발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천식환자 사례를 기반으로 시뮬레이션 학습시나리오를 개발하여 학습 수행을 평가함으로 적용가능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간호대학 4학년 학생들의 경우 임상실습을 이미 1년 이상의 경험을 하였고, 그 동안 배웠던 간호학적 지식을 기반으로 천식환자 시뮬레이션 교육을 적용하는데 무리가 없는 대상자로 판단하여 이들을 위한 시뮬레이션 학습 시나리오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임상에서 직면할 수 있는 상황을 바탕으로 전문직 간호사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높은 사실성(high-fidelity)의 SimMan 시뮬레이터를 가지고 구현할 수 있는 시나리오를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궁극적으로는 간호학생들의 간호 문제에 대한 비판적 사고와 임상적 판단 능력을 향상시키고자 시도되었다. 또한 개발된 시뮬레이션 시나리오의 적용가능성을 검증하여 시뮬레이션 학습전략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응급실을 내원한 천식환자’ 시나리오를 개발하여 시뮬레이션 학습을 전체 학생에게 적용하기 전 예비 조사로 진행된 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 학부 4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응급실 내원 천식 환자 사례의 시뮬레이션 학습 시나리오를 개발하여 학습 수행을 평가하고자 한다. 구체적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우리 실정에 맞는 시뮬레이션 학습시나리오를 개발하여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한 파일럿 연구로서 시도되었다. 시뮬레이션 학습법을 적용하기 위해 간호대학 4학년 학생에게 적용할 수 있는 응급실 내원 천식 환자 시나리오를 개발한 후 학습 수행을 평가하였다.
  • 본 연구는 응급실의 천식 환자 시뮬레이션 학습 시나리오 개발 및 적용에 따른 학습 수행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 간호 능력의 개발을 위해서는 임상 환경에서의 지속적인 경험을 요구하지만, 간호학생에 대한 임상 경험의 기회는 각 병원의 환경마다 다르며, 학습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모든 학생들이 충분한 임상적 경험을 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운 문제이다. 이러한 현실적 문제 해결을 위해서 시뮬레이션 교육의 필요성이 절실하여 우리 상황에 적합한 시나리오 학습내용을 개발하는 본 연구를 진행하기에 이르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학 교육에 활용되는 시뮬레이션 유형은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간호학 교육에서 활용되는 시뮬레이션 유형은 인체구조 모형과 같이 실제 사람의 모형에서부터 간단한 술기 수행을 위한 인공 도뇨 모형, 정맥 주사 모형 등의 단순 마네킹을 비롯 하여, 환자 시뮬레이터(Human Patient Simulator)를 포함한 컴퓨터 시뮬레이터를 통해 학습자가 직접 상황 안에서 대상자를 사정하고 중재, 평가 할 수 있게 한 유형 등 다양한 형태가 있다(Lee, Eom, & Lee, 2007). Seropian, Brown, Gavilanes 와 Driggers (2004)은 실제의 경험과 비교했을 때, 시뮬레이션에 의해 표현되는 정확도의 정도를 낮은 사실성(low-fidelity), 중간 사실성(moderate-fidelity), 높은 사실성(high-fidelity)으로 분류하였다.
간호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는 무엇인가? 간호교육은 학생들이 교육과정을 마친 후 전문직 간호사로 서의 역할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필요한 이론과 기술을 습득하게 하는데 궁극적 목표를 두고 있으며(Kim, Ahn, Kim, Jeong, & Lee, 2006), 이를 위한 다양한 교육방법들이 시도되고 있다. 이 중 간호학적 지식(knowledge)과 기술(skill), 태도 (attitude) 습득을 위해 시뮬레이션 교육은 근거기반학습 (evidence based learning, EBL), 문제중심학습(problem based learning, PBL) 등과 함께 대표적인 학습법으로 대두되었다.
시뮬레이션교육은 어떠한 형태의 교육 방법으로 가치를 평가받고 있는가? 따라서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교육은 학생들의 임상에서의 문제 해결 능력과 비판적 사고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Feingold, Calaluce, & Kallen, 2004), 최근 간호교육 에서 가장 중요한 주제로 부각되고 있다(Bremner, Aduddell, Bennett, & VanGeest, 2006). 이는 단순히 지식 및 기술의 습득이 아닌 안전한 환경에서 실제와 같은 임상 상황의 재현을 통해 수행 능력을 기르는 것이 가능한 새로운 형태의 교육 방법으로써 그 가치를 평가받고 있다(Corbridge et al., 2008; Hodge, Martin, Tavernier, Perea-Ryan, & Alcala-Van Houten,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linier, G., Hunt, B., Gordon, R., & Harwood, C. (2006). Effectiveness of intermediate-fidelity simulation training technology in undergraduate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Advanced Nursing, 54, 359-369. 

  2. Bremner, M. N., Aduddell, K., Bennett, D. N., & VanGeest, J. B. (2006). The use of human patient simulators: best practice with novice nursing students. Nurse Educator, 31, 170-174. 

  3. Broussard, L., Myers, R., & Lemoine, J. (2009). Preparing pediatric nurses: the role of simulation-based learning. Issues in Comprehensive Pediatric Nursing, 32(1), 4-15. 

  4. Brown, J. F. (2008). Applications of simulation technology in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5, 638-644. 

  5. Cheryl, L. B., Janice, T. C., & Diane, D. (2002). Handbook of signs & symptoms (2nd ed.).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6. Cooper, J. B., & Taqueti, V. R. (2004). A brief history of the development of mannequin simulators for clinical education and training. Quality & Safety in Health Care, 13(1), Suppl1:i11-i18. 

  7. Corbridge, S. J., McLaughlin, R., Tiffen, J., Wade, L., Templin, R., & Corbridge, T. C. (2008). Using simulation to enhance knowledge and confidence. The Nurse Practitioner, 33, 12-13. 

  8. Denis, D. H., Joanne, B., & Bonnie, L. M. (2003). Nurse's 3 minute clinical reference.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9. Dochterman, J. M., & Bulechek, G. M. (2003). Nursing Interventions Classification (NIC) (4th ed.). St. Louis, Missouri: Mosby. 

  10. Durham, C. F., & Alden, K. R. (2008). Enhancing patient safety in nursing education through patient simulation. Retrieved May 20, 2010, from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NCBI), U.S. Web site http://www.ncbi.nlm.nih.gov/bookshelf/br.fcgi?booknursehb&partch51. 

  11. Feingold, C. E., Calaluce, M., & Kallen, M. A. (2004). Computerized patient model and simulated clinical experiences: evaluation with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3, 156-163. 

  12. Fletcher, J. L. (1995). AANA journal course: update for nurse anesthetists-anesthesia simulation: a tool for learning and research. AANA Journal, 63(1), 61-67. 

  13. Haigh, J. (2007). Expansive learning in the university setting: the case for simulated clinical experience. Nurse Education in Practice, 7, 95-102. 

  14. Hodge, M., Martin, C. T., Tavernier, D., Perea-Ryan, M., & Alcala-Van Houten, L. (2008). Integrating simulation across the curriculum. Nurse Educator, 33, 210-214. 

  15. Kim, C. J., Ahn, Y. H., Kim, M. W., Jeong, Y. O., & Lee, J. H. (2006). Development of standards and criteria for accreditation of a baccalaureate nursing education program: Reflections on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nursing profess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6, 1002-1011. 

  16. Kim, Y. M., Oh, Y. M., Kim, H. J., Lee, W. J., Im, T. H., Chung, H. S., et al. (2007). Development and pilot applications of simulation-based comprehensive emergency airway management cours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18(1), 1-9. 

  17. Korean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1987). The study of program development for improvement of thinking ability. Seoul: Korean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18. Larew, C., Lessans, S., Spunt, D., Foster, D., & Covington, B. G. (2006). Innovations in clinical simulation: Application of Benner's theory in an interactive patient care simulation.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27(1), 16-21. 

  19. Lee, J. H., Kim, S. S., Yeo, K. S., Cho, S. J., & Kim, H. L. (2009). Experiences among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on high-fidelity simulation education: A focus group study.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5, 183-193. 

  20. Lee, S. O., Eom, M., & Lee, J. H. (2007). Use of simulation in nursing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3(1), 90-94. 

  21. Moorhead, S., Johnson, M., & Maas, M. L. (2004). Nursing Outcomes Classification (NOC) (3rd ed.). St. Louis: Mosby. 

  22. Parr, M. B., & Sweeney, N. M. (2006). Use of human patient simulation in an undergraduate critical care course. Critical Care Nursing Quarterly, 29, 188-198. 

  23. Rhodes, M. L., & Curran, C. (2005). Use of the human patient simulator to teach clinical judgment skills in a baccalaureate nursing program. Computers, Informatics, Nursing: CIN, 23, 256-262. 

  24. Robertson, B. (2006). An obstetric simulation experience in an undergraduate nursing curriculum. Nurse Educator, 31, 74-78. 

  25. Seropian, M. A., Brown, K., Gavilanes, J. S., & Driggers, B. (2004). Simulation: not just a manikin. The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3, 164-169. 

  26. Steadman, R. H., Coates, W. C., Huang, Y. M., Matevosian, R., Larmon, B. R., McCullough, L., et al. (2006). Simulation-based training is superior to problem-based learning for the acquisition of critical assessment and management skills. Critical Care Medicine, 34(1), 151-157. 

  27. Thompson, T. L., & Bonnel, W. B. (2008). Integration of high-fidelity patient simulation in an undergraduate pharmacology course. The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7, 518-521. 

  28. Yang, J. J. (2008).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simulation-based education course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0, 548-560. 

  29. Yoo, M. S. (2001). Development of standardized patient managed instruction for a fundamentals of nursing cours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