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뮬레이션 기반 통합실습 프로그램이 일 대학 간호학생의 문제해결과정과 간호수행능력 및 비판적 사고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 Simulation-based Integrated Clinical Practice Program(SICPP) on the Problem Solving Process, Clinical Competence and Critical Thinking in a Nursing Student 원문보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18 no.3, 2012년, pp.499 - 509  

김덕희 (우석대학교 간호학과) ,  이윤정 (우석대학교 간호학과) ,  황문숙 (우석대학교 간호학과) ,  박진희 (우석대학교 간호학과) ,  김희선 (우석대학교 간호학과) ,  차혜경 (우석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imulation-based Integrated Clinical Practice Program (SICPP) for nursing students and to identify the effect of this program. Methods: A non-equivalent pre-post test of quasi-experimental design was used. One hundred thirty-one nursing students p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는 교과과정에 새로운 시뮬레이션 기반 통합실습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4년제 간호학과 교과과정으로써 간호학 전공 필수과목과 총 임상실습 시간이 유사한 타 대학 간호학과 학생들과 비교 평가함으로써, 문제해결과정과 간호수행능력 및 비판적 사고의 변화를 검증함과 동시에 시뮬레이터를 활용하여 간호학생의 핵심간호역량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간호교육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SICPP를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 간호학생의 문제해결과정과 간호수행능력 및 비판적 사고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의 유사실험연구이다(Figure 1).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실습교육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간호학의 주요 교과목인 성인, 모성, 아동 간호학의 통합 시나리오와 한국간호평가원이 제시한 난이도 중 이상의 핵심간호 술기를 포함하는 시뮬레이션 기반 통합실습 프로그램(SICPP)을 개발하여 적용한 후 그 효과를 확인하고자 시행하였다.
  • 본 연구는 간호학생의 문제해결과정, 간호수행능력과 비판적 사고를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시뮬레이션 기반 통합실습 프로그램(SICPP)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 그 효과를 규명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의 유사실험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학생의 문제해결과정과 간호수행능력 및 비판적 사고를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시뮬레이션 기반 통합실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를 규명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목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팀은 SICPP의 개발을 위해 요구도 조사를 선행하였다. 2010년 12월 졸업예정자 20명과 상급종합병원에 근무하는 내과, 외과, 소아과, 부인과 수간호사 총 4명의 현장지도자를 대상으로 워크샵을 개최하여 실습교육의 문제점과 실습교육의 개선을 위해 재학 중 학습되어야 하는 임상실습내용을 파악하였다.
  • 하지만 시뮬레이션 기반 실습교육이 주로 기본간호학이나 성인간호학(김윤희, 김윤민, 강서영, 2010; 양진주, 2008; 이명선, 한숙원, 2011), 산과간호 영역(이우숙, 김미옥, 2011; 정재원, 김희숙, 박영숙, 2011)등 개별 교과목의 컨텐츠로 수행한 연구가 대부분이어서, 고가의 시뮬레이션 장비를 활용하여 비용 투자 대비 교육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학습내용을 중심으로 한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의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양진주, 2012). 이에 성인, 모성, 아동 간호의 임상사례와 핵심간호 술기를 적용한 시뮬레이션 기반 통합실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함으로써, 다양한 임상사례를 경험한 간호학생의 간호수행능력, 문제해결 과정에 미치는 효과와 스스로의 통합능력과 분석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비판적 사고의 변화에 대해 비교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 가설 1: 시뮬레이션 기반 통합실습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문제해결과정이 향상될 것이다.
  • • 가설 2: 시뮬레이션 기반 통합실습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간호수행능력이 향상될 것이다.
  • • 가설 3: 시뮬레이션 기반 통합실습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비판적 사고가 향상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학생이 임상실습 교육과정을 마친 후에도 어려움을 겪고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간호학은 이론과 더불어 실습교육이 필수적인 학문으로서 간호학생은 임상실습을 통해 대상자와 관련된 실무 상황의 복잡성, 불확실성, 갈등을 다룰 수 있는 전문적인 간호지식(knowledge)과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는 술기(Skill)를 습득하며 대상자의 문제해결을 위한 비판적 사고과정을 적용하게 된다(양진주, 2008; Feingold, Calaluce, & Kallen, 2004). 그러나 현재 간호학생은 임상실습 교육과정을 마친 후에도 다양하고 복잡한 대상자들의 문제 상황에 잘 적응하지 못하거나술기 수행에도 많은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김윤희, 장금성, 2011; 이선옥, 엄미란, 이주희, 2007), 이는 환자의 건강권 보호에 대한 권리의식이 강화되고 환자 안전관리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의료 환경으로 인해 간호학생이 임상현장에 나가 관찰이나 모니터링 위주의 실습을 하고 있기 때문으로 알려져 있다(양진주, 2008; 이명선, 한숙원, 2011; 이숙정 등, 2010).
간호학이란 무엇인가? 간호학은 이론과 더불어 실습교육이 필수적인 학문으로서 간호학생은 임상실습을 통해 대상자와 관련된 실무 상황의 복잡성, 불확실성, 갈등을 다룰 수 있는 전문적인 간호지식(knowledge)과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는 술기(Skill)를 습득하며 대상자의 문제해결을 위한 비판적 사고과정을 적용하게 된다(양진주, 2008; Feingold, Calaluce, & Kallen, 2004). 그러나 현재 간호학생은 임상실습 교육과정을 마친 후에도 다양하고 복잡한 대상자들의 문제 상황에 잘 적응하지 못하거나술기 수행에도 많은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김윤희, 장금성, 2011; 이선옥, 엄미란, 이주희, 2007), 이는 환자의 건강권 보호에 대한 권리의식이 강화되고 환자 안전관리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의료 환경으로 인해 간호학생이 임상현장에 나가 관찰이나 모니터링 위주의 실습을 하고 있기 때문으로 알려져 있다(양진주, 2008; 이명선, 한숙원, 2011; 이숙정 등, 2010).
간호대학에서 임상실무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실습을 강화하는 방법의 장점은 무엇인가? 간호대학에서의 불충분한 실습교육은 졸업 후 신규간호사로서의 임상실무 능력 저하로 연결되기 때문에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실습을 강화하고 있는 대학이 증가하고 있다(고일선 등, 2010; 김해란, 최은영, 강희영, 김성민, 2011; 양진주, 2008).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교육의 장점은 환자에게 해가 없는 안전한 상황에서 임상현장의 복제가 가능하다는 점이고, 실무에서 필요한 기술을 표준화시켜 반복 연습 할 수 있다는 점이다(Bond & Spillane, 2002; Cant & Cooper, 2010). 뿐만 아니라 이러한 실무학습을 통해 학생들의 비판적 기술이 향상되고 자신이 선택한 중재의 결과를 경험할 수 있으며 평가시간(debriefing)을 통해 실제적으로 실습한 경험을 다른 학생들과 공유하고 반성할 수 있다는 점이 장점으로 보고되고 있다(Beyea, 2004; Rhodes & Curran,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고일선, 김희순, 김인숙, 김소선, 오의금, 김은정, 이주희, 강세원 (2010). SimMan 시뮬레이션 학습 시나리오의 개발 및 학습 수행 평가. 기본간호학회지, 17(3), 371-381. 

  2. 김윤희, 김윤민, 강서영 (2010). MicroSim을 병용한 시뮬레이션 기반 중환자 간호 교육의 운영 및 평가.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6(1), 24-32. 

  3. 김윤희, 장금성 (2011). 시뮬레이션 기반 심폐응급간호교육이 신규간호사의 지식, 임상수행능력 및 문제해결과정에 미치는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41(2), 245-255. 

  4. 김정효, 박미경 (2012). 임상실습 시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과 정에 미치는 영향요인.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8(1), 34-42. 

  5. 김해란, 최은영, 강희영, 김성민 (2011). 시뮬레이션기반 응급 간호교육을 받은 간호학생의 학업성취도와 자기효능감, 학습태도 및 수업만족도의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7(1), 5-13. 

  6. 문성숙, 손민호 (2012). 문제해결과정에서의 상황적 요인에 대한 이해 제고: 실천적 지식의 활용에 내포된 일상성에 관한 연구. 교육문화연구, 18(1), 27-54. 

  7. 안은경 (2000). 간호사의 자기효능감과 업무성과 구조모형 구축.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대전. 

  8. 양진주 (2008). 간호학생을 위한 시뮬레이션 기반교육과정 개발 및 평가. 성인간호학회지, 20(4), 548-560. 

  9. 양진주 (2012). 시뮬레이션 기반 간호교육이 간호학생의 지식과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8(1), 14-24. 

  10. 윤진 (2004). 비판적 사고성향 측정도구 개발: 간호학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서울. 

  11. 이명선, 한숙원 (2011).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실습교육이 간호 학생의 간호수행능력과 문제해결과정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7(2), 226-234. 

  12. 이선옥, 엄미란, 이주희 (2007). 시뮬레이션 교육의 간호학 적용.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3(1), 90-94. 

  13. 이숙정, 노영숙, 김주옥, 장기인, 류언나, 박영미 (2010). 호흡곤란환자 간호의 실습교육 평가에서 Multi-mode와 SimMan 시뮬레이션 활용비교.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6(1), 51-60. 

  14. 이우숙, 김미옥 (2011). 산과 간호영역에서의 시뮬레이션 실습 교육 효과 및 적절성. 대한간호학회지, 41(4), 433-443. 

  15. 이우숙, 박선환, 최은영 (2008). 성인의 문제해결과정 측정도구 개발. 기본간호학회지, 15(4), 548-557. 

  16. 이우숙, 조갑출, 양선희, 노영숙, 이규영 (2009). 시뮬레이션 연계 문제중심학습이 간호학생의 간호기본역량에 미치는 효과. 기본간호학회지, 16(1), 64-72. 

  17. 임경춘 (2011). 간호학 실습교육에서 시abf레이션 기반학습의 방향 고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7(2), 246-256. 

  18. 정재원, 김희숙, 박영숙 (2011).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분만간호 실습교육의 효과. 간호학의 지평, 8(2), 86-96. 

  19. 한국간호평가원 (2012). 2012년도 간호교육인증평가 대학설명회. 재단법인 한국간호평가원. 

  20. Anderson, J. M., Murphy, A. A., Boyle, K. B., Yaeger, K. A., & Halamek, L. P. (2006). Simulating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emergencies to improve human performance. Part II: Assessment of technical and behavioral skills. Simulation in Healthcare, 1(4), 228-232. 

  21. Beyea, S. C. (2004). Human patient simulation: A teaching strategy. Association of Operating Room Nurses Journal, 80(4), 741-742. 

  22. Birch, L., Jones, N., Doyle, P. M., Green, P., McLaughlin, A., Champney, C., Williams, D., Gibbon, K., & Taylor, K. (2007). Obstetric skills drills: Evaluation of teaching methods. Nurse Education Today, 27(8), 915-922. 

  23. Bond, W. F., & Spillane, L. (2002). The use of simulation for emergency medicine resident assessment. Academic Emergency Medicine, 9(11), 1295-1299. 

  24. Cant, R. P., & Cooper, S. J. (2010). Simulation-based learning in nurse education: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6(1), 3-15. 

  25. Feingold, C. E., Calaluce, M., & Kallen, M. A. (2004). Computerized patient model and simulated clinical experiences: Evaluation with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3, 156-163. 

  26. Hope, A., Garside, J., & Prescott, S. (2011). Rethinking theory and practice: Pre-registration student nurses experiences of simulation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acquisition of clinical skills in preparation for practice. Nurse Education Today, 31(7), 711-715. 

  27. Kaddoura, M. A. (2010). The New graduate nurses' perceptions of the effects of clinical simulation on their critical thinking, learning, and confidence. The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 in Nursing, 41(11), 506-516. 

  28. Rhodes M. L., & Curran, C. (2005). Use of the human patient simulator to teach clinical judgment skills in a baccalaureate nursing program. Computers Informatics Nursing. 23(5), 256-262. 

  29. Wilford, A., & Doyle, T. J. (2006). Integrating simulation training into the nursing curriculum. British Journal of Nursing, 15, 604-6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