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명승 문화재의 경관자원 발굴을 위한 조망지점 분석 -해남 달마산 미황사 일원(명승 제59호)을 중심으로-
Landscape View point on the technique of GIS visibility analysis for Scenic Resources Excavation - Focused on haenam dalmasan mihwangsa (scenic sites No.59)-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3 no.9, 2013년, pp.429 - 439  

이원호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  김재웅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명승 경관자원을 위한 조망점 선정에 관한 연구로 해남 달마산 미황사 일원(명승 제59호)를 대상으로 조망점 선정기준을 마련하고 GIS를 이용하여 3D 가시권분석을 실시한 후 선호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는 명승과 같은 자연 문화자원에 대한 효율적인 조망경관의 보호를 위한 기초연구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명승 주변에서 조망점 선정기준에 따라 선정된 지점에서 3D 가시권 분석결과의 36개 데이터에 대한 선호도 분석과 장소성 분석을 실시한 결과 선호도와 장소성의 전체적인 평균점수가 중간값 보다 높게 나타나 조망점 선정기준이 적합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경관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지점이 장소성에 대한 인식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3D 가시권 분석은 명승의 경관자원 발굴과 조망경관의 보존 등을 위한 기초연구로 추후 선호도, 장소성에 관한 결과와 함께 가시거리, 조망면적 등의 관계를 추가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경관자원의 발굴 및 관리에 있어 객관적이고 실증적인 조망지점 선정 등의 연구가 수행되어져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s a purpose of viewshed anaiysis is selected for the landscape view point, View of the target Haenam Dalmasan Mihwangsa(Scenic site No.59) located in the terrain ridge. Criteria of landscape view point was built through both 3D visibility analysis by GIS and public preference. In resul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명승과 같이 일정한 면적을 차지하고 있는 문화재 주변에 대한 경관자원을 발굴하고 주요 경관자원인 조망축의 보존을 위한 사례연구로 지리정보체계(GIS)를 이용하여 지형분석을 실시하고, 3D 가 시권분석을 통해 문화재 주변지역에 대한 경관선호도 평가를 실시하여 해당지역에 대한 명승 경관자원의 발굴 및 경관의 보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 명승과 같이 경관을 주요 자원으로 하는 곳은 명승이 가지는 경관자원에 대한 장소성과 선호도가 높은 장소를 선정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명승의 경관자원을 대상으로 객관적이고 실증적인 조망지점 선정을 목표로 하였다. 해남 달마산 일원과 같은 역사문화자원 주변에 대한 경관조망지점 선정과 관련한 연구 고찰을 통해 역사문화자원 주변에 대한 객관적인 경관조망지점 선정기준을 도출하고, 이를 통해 조망점을 보다 객관적으로 선정하여 우수한 경관조망지점을 제안하고자 하였으며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선행연구를 종합하여 살펴보면 역사문화자원 의 발굴 및 관리 등에 대한 경관 관리방안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가시권분석과 시곡면 분석, 가시빈도분석 등을 통해 고도제한 및 역사경관의 정비 등에 대한 연구와 함께 역사문화경관의 활용을 위한 정보화 구축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명승경관자원의 발굴과 명승지정 등 및 특정 지역의 우수경관 자원 발굴 등에 필요한 조망지점의 발굴이 필요한 시점이라 하겠다.
  • 우리나라는 자연지형이 다양하고 산수가 수려한 곳이 많아 예로부터 이를 찾은 우리 선조들은 시나 서화로 그 아름다움을 표현하고 남기고자 하였다. 이러한 경관이 수려한 곳을 흔히 ‘명승’이라 하는데 예로부터 명승은 뛰어난 자연경관을 감상하고 풍류를 즐기는 장소일 뿐만 아니라 우리 선조들의 문학과 사상 그리고 이상을 펼치는 중요한 장소로서 기능해 왔다[1].
  • 따라서 본 연구는 명승의 경관자원을 대상으로 객관적이고 실증적인 조망지점 선정을 목표로 하였다. 해남 달마산 일원과 같은 역사문화자원 주변에 대한 경관조망지점 선정과 관련한 연구 고찰을 통해 역사문화자원 주변에 대한 객관적인 경관조망지점 선정기준을 도출하고, 이를 통해 조망점을 보다 객관적으로 선정하여 우수한 경관조망지점을 제안하고자 하였으며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명승은 지역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명승은 경관적 특성상 그 지역에 대한 가시적인 경관과 그 속에 내재된 의미나 중요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장소성을 가지게 되며 그것의 선호도에도 직접적 영향을 주게 된다. 여기서 선행되어야 할 것은 당시 승경으로 일컬었던 명승대상지의 원래 시점장을 현재시점에서 제대로 찾아내는 일이다.
명승 경관자원을 위한 조망점 선정에 대해 GIS를 이용하여 3D 가시권 분석을 실시한 후 선호도 분석한 결과는 어떠한가? 이는 명승과 같은 자연 문화자원에 대한 효율적인 조망경관의 보호를 위한 기초연구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명승 주변에서 조망점 선정기준에 따라 선정된 지점에서 3D 가시권 분석결과의 36개 데이터에 대한 선호도 분석과 장소성 분석을 실시한 결과 선호도와 장소성의 전체적인 평균점수가 중간값 보다 높게 나타나 조망점 선정기준이 적합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경관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지점이 장소성에 대한 인식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3D 가시권 분석은 명승의 경관자원 발굴과 조망경관의 보존 등을 위한 기초연구로 추후 선호도, 장소성에 관한 결과와 함께 가시거리, 조망면적 등의 관계를 추가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경관자원의 발굴 및 관리에 있어 객관적이고 실증적인 조망지점 선정 등의 연구가 수행되어져야 할 것이다.
명승은 어떠한 장소로 기능했는가? 우리나라는 자연지형이 다양하고 산수가 수려한 곳이 많아 예로부터 이를 찾은 우리 선조들은 시나 서화로 그 아름다움을 표현하고 남기고자 하였다. 이러한 경관이 수려한 곳을 흔히 ‘명승’이라 하는데 예로부터 명승은 뛰어난 자연경관을 감상하고 풍류를 즐기는 장소일 뿐만 아니라 우리 선조들의 문학과 사상 그리고 이상을 펼치는 중요한 장소로서 기능해 왔다[1]. 여기서 관건이 되는 것은 무엇을 보는가? 즉 보는 대상에 관한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김재웅, 이원호, 신현실, "명승경관자원 발굴을 위한 가시권 분석의 활용 가치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2013 춘계종합학술대회지, pp.105-106, 2013. 

  2. 오규식, "경관영향평가 기법개발의 과제", 한국조경학회지, Vol.22, No.1, pp.228-232, 1994. 

  3. 양병이, "도시내 조망보호를 위한 경관관리방안", 서울대학교 환경논총, 제40권, pp.149-169, 2002. 

  4. 문화재청, 국가지정문화재 주변 현상변경 허가기준 매뉴얼 마련 연구, 2006. 

  5. 김용석, 3차원 지형모델링에 의한 경관정보 분석과 Web GIS 구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7, No.9, pp.204-211, 2007. 

  6. 오성훈, 안용진, 안건혁, "관찰자기준의 도심문화 재주변 높이제한 제도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Vol.20, No.4, pp.221-220, 2004. 

  7. 조흥정, "역사문화지구 건축경관 개선을 위한 계획방향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논문집, Vol.7, No.4, pp.25-34, 2005. 

  8. 김성훈, 김찬호, "높이규제를 위한 시곡면분석 적용 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Vol.43, No.3, pp.71-80, 2008. 

  9. 김재웅, 사적지 주변 경관관리를 위한 시뮬레이션 방안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석사학위논문, 2006. 

  10. R. J. Johnston, D. Gregory, D. Smith, H. Marshall, and P. S. R. Stoddart, The Dictionary of human geography, 1986. 

  11. 최강림, 신도시개발과 장소만들기, 한국학술정보. 2008. 

  12. 이석환, 황기원, "장소와 장소성의 다의적 개념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 도시계획학회지, Vol.32, No.5, pp.169-184, 1997. 

  13. P. A. Burroug and McDonnel, Principles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14. 국립문화재연구소, 명승 경관자원 조사연구 DB 구축 (3차), 국립문화재연구소, 2010. 

  15. 방건준, 이진덕, 곽재환 "도심지에서 NDVI 값 변화 특성 고찰 : Landsat 5 TM의 응용", 한국콘텐츠학회 2013 춘계종합학술대회지, pp.109-110, 2013. 

  16. 이유미, 박수현, 최형선, 양종철, 남기흠, 정규영, 최혁재, "달마산과 그 인근지역의 식물상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3, No.1, pp.1-21, 2009. 

  17. 장광민, 송정은, 설아라, 한희, 정주상 "임분의 생장효과가 GIS 응용 가시권 분석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13, No.2, pp.11-20, 2010. 

  18. 환경부, 환경영향평가 관련 규정집, 환경부, 2008. 

  19. 조용호, GIS와 AHP에 기반한 조망점 위치선정 방법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20. 건설교통부, 도시 이미지 구현을 위한 경관 조성 방안, 건설교통부, 2006. 

  21. 임승빈, 도시경관계획론: 경관계획.형성 기준 연구, 집문당, 2008. 

  22. 김종렬, 조망경관 관리를 위한 건축물 높이 규제 방법에 관한 연구, 동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23. 대한주택공사, 개발대상지 도시경관 향상을 위한 경관계획체계수립, 대한주택공사, 2008. 

  24. 조용준, 이정형, 남승진, 박종철, 정영덕, 홍안희, 장상근, 손승광, 김영석, 김현숙, 강권, 박현홍, 유창균, 이봉수, 이정림 역, 일본의 경관계획, 태림문화사, 2006. 

  25. 강태현, 지리정보시스템(GIS)을 이용한 경관분석 조망점 선정, 한밭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26. 이호식, 사전 경관영향평가를 위한 조망점 위치 결정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27. 김미희, 박덕병, 노경희, 손은호, "이미지를 활용한 지역브랜드 개발", 한국농촌지도학회지, Vol.17, No.4, pp.827-849, 2010. 

  28. 산림청, 산지관리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주요지표 설정연구, 산림청, 2011. 

  29. 선혜령, 한국 현대건축물의 경관이미지와 선호 요인 분석,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30. 최철현, 정성관, 이우성, "공간구문론과 GIS를 이용한 조망점 위치결정",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14, No.2, pp.53-68,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