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음성위생교육 만족도에 대한 예비 연구
A Survey on Participants' Satisfaction of Vocal Hygiene Education: A Preliminary Study 원문보기

말소리와 음성과학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v.5 no.3, 2013년, pp.83 - 93  

윤지혜 (한림대학교) ,  김선우 (대림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Vocal hygiene education is an indirect training approach to improve vocal function by educating all facets of optimal vocal health. Satisfaction levels of participants might be an important component of this indirect therapy for voice disorders. The authors aimed to investigate the satisfaction leve...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예비연구로서, 음성장애 환자들을 대상으로 음성위생교육의 현황과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시행하고자 한다. 그리고 나아가 음성교육에 대한 환자의 만족도에 근거한 결과를 토대로 향후 교육방법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예비연구로서, 음성장애 환자들을 대상으로 음성위생교육의 현황과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시행하고자 한다. 그리고 나아가 음성교육에 대한 환자의 만족도에 근거한 결과를 토대로 향후 교육방법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그러나 이러한 치료나 교육은 인간을 대상으로 시행되기 때문에 적용할 수 있는 연구방법 상의 한계점을 지내고 있어 환자들의 만족도나 수요에 대한 실태 파악은 더 나은 치료를 제공하기 위한 대안 방법이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예비연구로서 음성위생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현황을 조사하고, 환자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향후 교육에 대한 개선방안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음성장애란 무엇인가요? 음성장애(voice disorders)는 발성 및 호흡 기관 등의 문제로 인하여 음성의 음도(pitch), 음량(loudness) 및 음질(quality)에서 이상 소견이 관찰되는 것을 말한다(Aronson & Bless, 2009). 음성장애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 세 가지 병인 (etiology), 즉 성대의 오용이나 남용과 같은 과기능으로 인한 기능적(functional) 음성장애, 중추 또는 말초 신경계(central or peripheral nervous systems)의 손상으로 인한 신경학적 (neurological) 음성장애, 발성기관의 구조적 이탈이나 질병에서 기인한 기질적(organic) 음성장애로 분류된다(Boone, McFarlande, & Von Berg, 2005).
음성장애의 원인 3가지는 무엇인가요? 음성장애(voice disorders)는 발성 및 호흡 기관 등의 문제로 인하여 음성의 음도(pitch), 음량(loudness) 및 음질(quality)에서 이상 소견이 관찰되는 것을 말한다(Aronson & Bless, 2009). 음성장애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 세 가지 병인 (etiology), 즉 성대의 오용이나 남용과 같은 과기능으로 인한 기능적(functional) 음성장애, 중추 또는 말초 신경계(central or peripheral nervous systems)의 손상으로 인한 신경학적 (neurological) 음성장애, 발성기관의 구조적 이탈이나 질병에서 기인한 기질적(organic) 음성장애로 분류된다(Boone, McFarlande, & Von Berg, 2005). Colton 등 (2006)은 목쉰 소 리(hoarseness), 성대피로(vocal fatigue), 기식화된 음성(breathy voice), 발성 폭의 감소(reduced phonational range), 발성불능 (aphonia), 음도 깨짐 또는 부적절하게 높은 음도(pitch breaks or inappropriately high pitch), 쥐어짜는 음성(strain/struggle voice), 떨림(tremor) 그리고 통증 및 기타 신체 감각(pain and other physical sensations)이 음성 문제를 경험하는 사람들이 겪게 되는 주된 증상이라고 언급하였다.
음성치료 중 직접치료는 무엇인가요? 이러한 접근 법들은 음성언어재활사의 적극적인 개입 여부에 따라서 직접 치료(direct voice therapy)와 간접치료(indirect voice therapy)로 구분된다. 직접치료는 환자가 수행할 수 있는 행동을 찾아낸 뒤, 그 행동을 기초선으로 하여 편안하고, 효과적인 음성을 산출할 수 있도록 촉진하는 것을 의미하며 Boone과 McFarlance 의 25가지 ‘촉진기법(facilitating approach)’이 이에 속한다(표화 영, 2011). 간접치료는 음성문제의 예방과 좋은 목소리를 유지하기 위한 생활습관의 변화를 위한 교육으로서 직접치료의 전후에 단계적으로 시행되거나 직접치료와 함께 동시에 실시되기도 한다(Colton, Casper, & Leonard,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ronson, E., & Bless, M. (2009). Clinical Voice Disorders. NY: Thieme Medical Publishers Inc. 

  2. Behlau, M., Oliveirea, G. (2009). Vocal hygiene for the voice professional. Current Opinion in Otolaryngology & Head and Neck Surgery, 17(3), 149-154. 

  3. Behrman, A., Rutledge, J., Hembree, A., & Sheridan S. (2008). Vocal hygiene education, voice production therapy, and the role of patient adherence: a treatment effectiveness study in women with phonotrauma.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51(2), 350-366. 

  4. Boone, D.R., & McFarlane, S.C. (2000). The Voice and Voice Therapy. Needham Heights, MA: Allyn and Bacon. 

  5. Broaddus-Lawrence, P.L, Treole, K., McCabe, R.B., Allen, R.L., & Toppin, L. (2000). The effects of preventive vocal hygiene education on the vocal hygiene habits and perceptual vocal characteristics of training singers. Journal of Voice, 14(1), 58-71. 

  6. Chan, R.W.K. (1994). Does the voice improve with vocal hygiene education? A study of some instrumental voice measures in a group of kindergarten teachers. Journal of Voice, 8, 279-291. 

  7. Colton, R.H., Casper, J.K., & Leonard, R. (2006). Understanding Voice Problems: A Physiological Perspective for Diagnosis and Treatment.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8. Froeschels, E. (1943). Hygiene of the voice. Archives Otolaryngology, 38, 122-130. 

  9. Holmberg, E.B., Hillman, R.E.. Hammarberg, B., Sodersten, M., & Doyle, P. (2001). Efficacy of a behaviorally based voice therapy protocol for vocal nodules. Journal of Voice, 15, 395-412. 

  10. Irving, R.M., Epstein, R. & Harries, M.L.L. (1997) Care of the professional voice. Clinical Otolaryngology & Allied Sciences, 22(3), 202-205. 

  11. Kim, H.H. (2012). Neurogenic Speech-Language Disorders. Seoul: Sigmapress. (김향희 (2012). 신경언어장애. 서울: 시그마프레스.) 

  12. Kim, J.W. (2011). A study on the condition and satisfaction of caregiver education for individuals with aphasia.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20(3), 53-72. (김정완 (2011). 실어증 환자의 보호자 교육 현황과 만족도에 대한 조사, 언어치료 연구, 20(3), 53-72.) 

  13. Koufman, J.A., & Blalock, P.D. (1988). Vocal fatigue and dysphonia in the professional voice user: Bogart-Bacall syndrome. Laryngoscope, 96, 493-498. 

  14. Roy, N., Gray, S.D., Simon, M., Dove, H., Corbin-Lewis, K., & Stemple, J. C. (2001). An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two treatment approaches for teachers with voice disorders: A prospective randomized clinical trial.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4, 286-296. 

  15. Roy, N., Merrill, R.N., Gray, S.D., & Smith, E.M. (2005). Voice disorders in the general population: prevalence, risk factors, and occupational impact. Laryngoscope, 115(11), 1988-1995. 

  16. Roy, N., Weinreich, B., Gray, S.D., Tanner, K.,Toledo, S.W. Dove, H., Corbin-Lewis, K., & Stemple, J.C. (2002). Voice amplification versus vocal hygiene instruction for teachers with voice disorders.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5, 625-638. 

  17. Smith, E., Gray, S.D., Dove, H., Kirchner, L., & Heras, H. (1997). Frequency and effects of teachers' voice problems. Journal of Voice, 11, 81-87. 

  18. Song, Y.K., & Sim, H.S. (1999). Treatment efficacy of group vocal hygiene education for middle school teachers: acoustical analysis of voice and self-evaluation of vocal fatigue before and after the education.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4, 15-36. (송윤경?심현섭 (1999). 음성위생법 그룹교육의 유효성에 관한 연구 : 중등교사의 음성위생교육 전후의 음성분석 및 음성피로 자가평가를 통하여, 언어청각장애연구, 4, 15-36.) 

  19. Pyo, H.Y. (2011). 2011 ASAN voice therapy update. Seoul: ML communication. (표화영 (2011). 아산 음성치료 업데이트. 서울: 엠엘커뮤니케 이션.) 

  20. Timmermans, B., De Bodt, M., Wuyts, F., & Van de Heyning, P. (2003). Vocal hygiene in radio students and in radio professionals. Logopedics, Phoniatrics, Vocology, 28, 127-132. 

  21. Verdolini, K., & Ramig, L.O. (2001). Review: occupational risks for voice problems. Logopedics, Phoniatrics, Vocology, 26(1), 37-46. 

  22. Zraick, R.I., & Risner, B.Y. (2008). Assessment of quality of life in persons with voice disorders. Current Opinion in Otolaryngology & Head & Neck Surgery, 16(3), 188-193.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