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혼합 스타터를 이용한 묵은지의 제조 및 발효 특성
Production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Mukeunji with a Mixed Starter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2 no.9, 2013년, pp.1467 - 1474  

김효주 (전남식품산업연구센터) ,  신현경 (전남식품산업연구센터) ,  양은주 (전남식품산업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묵은지 발효에 적합한 종균 발효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하여 묵은지에서 분리한 유산균과 효모를 단일 또는 혼합 상태로 김치에 첨가하여 발효시킨 후 관능평가를 시행하여 묵은지 풍미에서 높은 기호도를 나타낸 유산균 ML17과 효모 MY7을 혼합 스타터로 선정하였다. 묵은지 스타터 균주는 rR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한 균주동정 결과에 따라 Lactobacillus curvatus ML17과 Saccharomyces servazzii MY7로 명명되었다. 혼합 스타터를 첨가하여 김치를 제조한 후 $10^{\circ}C$에서 7일 동안 1차 발효한 후, $-1^{\circ}C$에서 90일까지 숙성시키면서 발효 특성을 조사하였다. 대조구 김치에 비하여 스타터 김치의 pH 저하 및 산도의 증가가 빠르게 진행되어 발효 90일 후에는 1년 숙성 묵은지와 유사한 수준을 나타내었다. 물성 변화에서 김치의 경도는 전체 발효기간 동안 스타터 김치가 더 높은 경도 값을 유지하면서 아삭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미생물 균총 변화에서 총균수와 유산균수는 발효 30일에 최대 균수를 나타내었으며, 이후 감소하기 시작하여 발효 90일에는 스타터 김치의 총균수와 유산균수가 대조구 김치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효모수는 첨가된 스타터에 의하여 스타터 김치가 대조구 김치보다 전체 발효기간 동안 높은 균수를 유지하였다. 유산균과 효모 스타터는 발효 90일 동안 높은 점유율을 유지하여 발효 종균으로서의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유기산 함량은 스타터 김치에서 lactic acid와 citric acid의 함량이 대조구 김치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관능평가 결과 스타터 김치는 1년 숙성 묵은지와 유사한 묵은지 맛과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develop a starter culture system for the fermentation of mukeunji, we introduced lactic acid bacteria and yeast isolated from mukeunji into kimchi fermentation as a single or a mixed culture. On evaluating mukeunji flavor, we found that the mixed starter kimchi prepared with two strains, ML17 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묵은지 고유의 풍미를 형성하면서 품질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묵은지용 스타터를 개발하였다. 또한 스타터를 첨가한 김치의 발효 특성을 조사하여 묵은지로서의 이화학적 특성 및 관능적 특성을 분석하고, 장기 숙성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제조공정에 대한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 그러나 숙성하는 기간이 너무 길어 증가하는 수요에 따른 공급이 원활하지 않고 품질이 일정하지 않으며 장기 저장에 따른 비용 부담이 발생하여 일부 김치 제조업체에서는 의도적으로 과하게 숙성된 김치를 상품화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16,17). 본 연구에서는 묵은지 고유의 풍미를 형성하면서 품질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묵은지용 스타터를 개발하였다. 또한 스타터를 첨가한 김치의 발효 특성을 조사하여 묵은지로서의 이화학적 특성 및 관능적 특성을 분석하고, 장기 숙성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제조공정에 대한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김치는 어떤 식품인가? 김치는 주식인 밥과 함께 한국인의 식생활에 필수적인 부식으로 배추, 무 등의 여러 가지 채소류를 소금에 절인 다음 마늘, 고추 등의 향신료와 젓갈 등의 부재료를 첨가하여 숙성시킨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 발효식품이다(1). 영양적인 측면에서도 식이섬유소, 비타민, 무기질 등의 공급원이며 항산화 물질이 풍부한 고추와 마늘 등을 부재료로 사용하여 항산화, 항비만, 동맥경화 억제효과, 항암효과 등의 건강 기능성 효과가 보고되고 있다(2-5).
김치 제조업체가 묵은지를 상품화하는데 어떤 문제점을 갖는가? 묵은지는 양념이 많이 들어가지 않고 1년 이상 숙성된 묵은 김치를 뜻하는 말로서 독특한 풍미를 가지는 별미 김치이다. 그러나 숙성하는 기간이 너무 길어 증가하는 수요 에 따른 공급이 원활하지 않고 품질이 일정하지 않으며 장기 저장에 따른 비용 부담이 발생하여 일부 김치 제조업체에서는 의도적으로 과하게 숙성된 김치를 상품화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16,17). 본 연구에서는 묵은지 고유의 풍미를 형성하면서 품질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묵은지용 스타터를 개발하였다.
김치가 국제적인 식품으로서 위상이 높아지고 있는 이유는? 영양적인 측면에서도 식이섬유소, 비타민, 무기질 등의 공급원이며 항산화 물질이 풍부한 고추와 마늘 등을 부재료로 사용하여 항산화, 항비만, 동맥경화 억제효과, 항암효과 등의 건강 기능성 효과가 보고되고 있다(2-5). 김치는 2001년 국제식품규격 채택 및 2006년 미국 건강전문지 Health에서 세계 5대 건강식품으로 선정되면서 국제적인 식품으로서 위상이 높아지고 있다(6,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Lee HA, Song YO, Jang MS, Han JS. 2013. Effect of Ecklonia cava on the quality kimchi during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83-88. 

  2. Ko KH, Liu W, Lee HH, Yin J, Kim IC. 2013. Biological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lactic acid bacteria in different 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89-95. 

  3. Kim SY, Kim JD, Son JS, Lee SK, Park MS. 2011. Biochemical and molecular identification of antibacterial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446-452. 

  4. Park KY. 1995. The nutritional evaluation and antimutagenic and anticancer effects of 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 24: 169-182. 

  5. Kong YH, Cheigh HS, Song YO, Jo YO, Choi SY. 2007. Anti-obesity effects of kimchi tablet composition in rats fed high-fat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529-1536. 

  6. Codex. 2001. Codex: Alimentarius commission codex standard for kimchi. Codex Stan 223. 

  7. Raymond J. 2006. World's Healthiest Foods: Kimchi (Korea). Available from http://www.health.com/health/article/0,,20410300,00.html. 

  8. Park HJ, Kim SI, Lee YK, Han YS. 1994. Effect of green tea on kimchi qual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Korean J Soc Food Sci 10: 315-321. 

  9. Ku HS, Noh JS, Kim HJ, Cheigh HS, Song YO. 2007. Antioxidant effects of sea tangle added Korea cabbage kimchi in vitro and in vivo.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1497-1502. 

  10. Kim H, Mo EK, Sung CK. 2010. The effect of red ginseng extract on fermentation of baechu kimchi. Korean J Food Preserv 17: 555-562. 

  11. Bae MO, Kim HJ, Cha YS, Lee MK, Oh SH. 2009. Effects of kimchi lactic acid bacteria Lactobacillus sp. OPK 2-59 with high GABA producing capacity on liver function improvemen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499-1505. 

  12. Chang JY, Chang HC. 2010. Improvements in the quality and shelf life of kimchi by fermentation with the induced bacteriocin-producing strain Leuconostoc citreum GJ7 as a starter. J Food Sci 75: 103-110. 

  13. Kim YH, Kim HZ, Kim JY, Choi TB, Kang SM. 2005. Strain improvement of Leuconostoc mesenteroides as a acid-resistant mutant and effect on kimchi fermentation as a starter. Kor J Microbiol Biotechnol 33: 41-50. 

  14. Seok JH, Park KB, Kim YH, Bae MO, Lee MK, Oh SH. 2008. Produ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kimchi with enhanced levels of $\gamma$ -aminobutyric acid. Food Sci Biotechnol 17: 940-946. 

  15. Lee JJ, Jung HO, Lee MY, Chang HC. 2012. Characteristics of mandu with ripened Korean cabbage kimchi. Korean J Food Preserv 19: 209-215. 

  16. Kim YH. 2012. Evaluation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identification of microorganisms from mukeunji. M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p 7-8. 

  17. Yoo MJ, Kim HR, Chung HJ. 2001. Changes in physicochemical and microbiological properties in low-temperature and long-term fermented kimchi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Dietary culture 16: 431-441. 

  18.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Nucleotide blast search program. http://blast.ncbi.nlm.nih.gov/Blast.cgi. USA. 

  19. Thompson JD, Higgins DG, Gibson TJ. 1994. CLUSTAL W: improving the sensitivity of progressive multiple sequence alignment through sequence weighting, position-specific gap penalties and weight matrix choice. Nucleic Acids Res 22: 4673-4680. 

  20. 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Arlington, VA, USA. ch 33, p 7. 

  21. Choi SY, Lee SH, Koo YJ, Shin DH. 1989. Production of rapid-fermented kimchi with starter. Kor J Appl Microbiol Bioeng 17: 403-406. 

  22. Kim SD, Lee SH, Kim MJ, Oh YA. 1988. Changes in pectic substance of lower salted chinese cabbage kimchi with pH adjuster during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Nutr 17:255-261. 

  23. Rhee HS. 1995. The measurement methods of the textural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vegetables. Korean J Soc Food Sci 11: 83-91. 

  24. Chang KS, Kim MJ, Kim SD. 1995. Effect of ginseng on the preservability and quality of chinese cabbage kimchi. J Korean Soc Food Nutr 24: 313-322. 

  25. Chung HJ, Kim HR, Yoo MJ. 2005. Changes in texture and sensory properties of low-temperature and long-term fermented baechu kimchi during the fermentation. Korean J Food Culture 20: 426-432. 

  26. Chang JY, Kim IC, Chang HC. 2011. Effect of solar salt on the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kimchi. Korean J Food Preserv 18: 256-265. 

  27. Kim HJ, Kang SM, Yang CB. 1997. Effects of yeast addition as starter on fermentation of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790-799. 

  28. Kim SD, Kim KH, Oh YA. 1998. Effects of yeast addition during salting and preparation on fermentation of 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1077-1085. 

  29. Shin DH, Kim MS, Han JS, Lim DK, Bak WS. 1996. Changes of chemical composition and microflora in commercial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137-145. 

  30. Kim HO, Rhee HS. 1975. Studies on the nonvolatile organic acids in kimchis fermented at different temperatures. Korean J Food Sci Technol 7: 74-81. 

  31. Cho SH. 1988. Studies on kimchi fermentation added lactic acid bacteria starter. M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Korea. p 21-24. 

  32. Felis GE, Dellaglio F. 2007. Taxonomy of Lactobacilli and Bifidobacteria. Curr Issues Intest Microbiol 8: 44-61. 

  33. Choi KS, Sung C, Kim MH, Oh IK. 1999. Fermentation method of Kimchi using halophilic Lactobacillus sp. HL-48 and lactic acid. Kor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7:246-251. 

  34. Kim DK, Kim SY, Lee JK, Noh BS. 2000. Effects of xylose and xylitol on the organic acid fermentation of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889-895. 

  35. Han GJ, Choi HS, Lee SM, Lee EJ, Park SE, Park KY. 2011. Addition of starters in pasteurized brined baechu cabbage increased kimchi quality and health functionality.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10-11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