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소규모 기업 관리감독자의 안전보건 역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ole of Safety and Health of Supervisors in Small to Medium-sized Industries 원문보기

한국안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28 no.2, 2013년, pp.84 - 87  

김성빈 (대한산업안전협회) ,  박종근 (벽성대학 건설계열)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ational industrial accidents, most recently occurred in the small to medium-sized industries. These companies' management for the prevention of industrial accidents, the role of the supervisor has emerged as an important issue. Small to medium-sized industries to enhance their effectiveness in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관리감독자의 역할 및 안전의식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서 경기지역의 중소규모 기업체에서 근무하고 있는 77명의 관리감독자 대상으로 설문 및 직접면담을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 따라서 중소규모 기업의 산업재해예방에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안전보건업무에 직접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관리감독자의 업무실태를 설문조사과 직접면담을 하였다. 이에 대한 역할을 제공함으로서 안전보건업무를 체계적으로 참여 할 수 있도록 제안을 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소규모 기업의 산업재해예방에 어떤 점이 중요하다고 여겨지는가? 이에 중소규모 기업의 산업재해예방을 위해서는 관리감독자의 역할이 중요한 문제점으로 대두 되고 있다. 이들 기업의 관리감독자는 생산관리 및 인력 배치 등 생산의 전반에 걸쳐 관리하고 있다.
관리감독자들의 안전 보건문제는 실상이 어떠한 것으로 분석되는가? 3) 관리감독자들의 업무가 많아서 중요한 안전․보건문제만 기억하고 일상적인 안전․보건문제는 대충처리는 약 82%가 안전보건보다는 생산 활동이 우선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관리감독자들은 생산 공정에 대한 경험이 풍부함으로 안전보건이 접목될 수 있도록 체계적인 관리가 되어야 할 것이다.
공정의 위험성평가를 할 수 있는 전문화된 교육․훈련프로그램이 감돌자들에게 필요한 이유는? 관리감독자는 기업 내에서 생산물량 증가, 새로운 제품을 생산에 필요한 새로운 기계 도입시 선정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이들은 생산공정 변경 등에 대한 공정설비 배치이나 작업 공간 등을 결정하여 작업자를 배치하고 있다. 따라서 관리감독자들이 공정의 위험성평가를 할 수 있는 전문화된 교육․훈련프로그램이 체계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

  1.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Status by Year Industrial Accidents", 2011. 

  2.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2012. 

  3. Kyeong-Sik Kang, "A Study Improvement of Industrial Safety & Health Management Supervision System",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pp. 96-102, 2000. 

  4. Kyeong-Og Park,. "Modifying the Regulations of Workplace Safety and Health Education(WSHE) and the WSHE Report System",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pp. 169-173, 2008. 

  5. Kyeong-Og Park, "Safety and Health Education in Workplace and its Quality Improvement Strategies",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pp. 160-167,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