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evaluate fatigue endurance for an MTB(mountain bike) frame, FEM(finite element method) analysis was performed. For evaluating the fatigue endurance of the MTB frame, the S-N data for Al-6061 fillet weldment were compared with the stress analysis results through FEM analysis of the fram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산악용 자전거 프레임의 내구성을 평가하고자 유한요소해석으로 자전거 프레임의 응력해석결과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구조해석 결과에 대하여 프레임의 피로내구성을 판정하기 위해서는 페달력 피로시험의 경우 하중을 100,000회 가한 후, 수직 및 수평하중 피로시험의 경우 하중을 50,000회 가한 후에 균열의 발생 여부로 결정하므로 Al-6061 합금 용접부의 50,000~100,000회에 대한 수명선도를 이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현재 시중에서 많이 사용되는 MTB 프레임의 피로내구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MTB 프레임에 대하여 페달링 하중, 수직하중, 수평하중에 대한 피로내구성 평가를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고자 한다.
  • 한편 MTB 프레임의 피로 수명 선도를 바탕으로 구조 해석 결과와 비교분석하여 본 MTB 프레임의 피로 내구성을 평가하였다. 이를 통하여 자전거 산업의 핵심 요소인 프레임의 내구성을 평가하여 국내 자전거 프레임의 최적설계를 위한 기초자료로서 제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그림의 중앙 하단에 위치한 프레임 바텀 브라켓(bottom bracket)은 리어엔드와 같이 y축 방향의 모멘트를 제외한 모든 방향이 구속하도록 하였다. 수평하중은 그림의 왼쪽 끝 상단에 위치한 헤드튜브(head tube)에 더미포크(dummy fork)에 해당하는 강체요소를 구성하여 가하였다. 더미포크 길이는 산악용 프레임이므로 450 mm로 하였다.
  • 실제 피로실험과 유사하게 헤드 튜브에 연결된 지지대를 표현하여 이를 모든 방향으로 완전히 구속하였다. 페달링 하중은 그림의 중앙 하단에 위치한 크랭크 중심으로부터 150 mm 떨어진 위치에 가하였다.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의 자전거 수요가 증가하는 이유는? 현재 여가 생활이 활성화되고, 자전거 도로 확충 등과 같은 자전거 관련 인프라 증대하여 자전거 이용이 생활화되어 국내의 자전거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또한 현재 국내에서는 생활자전거, 산악자전거 및 도로용 자전거의 보급이 크게 확산되고 있으며 무공해 교통수단으로 인하여 도로 수송 분담률도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자전거의 핵심부품으로 안전성과 성능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부품은? 자전거는 200여개의 크고 작은 부품으로 구성된 조립제품이다. 특히 이들 부품 가운데 자전거의 뼈대라 할 수 있는 프레임은 완성자전거의 핵심부품으로 안전성과 성능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부품이다. 프레임의 하중이 집중되는 취약부위는 Fig.
자전거 프레임의 피로내구성 및 안전성 평가가 필요한 이유는? 1과 같이 주로 응력이 집중되는 용접부위로 알려져 있다. 또한 주행 중 발생한 피로균열에 의하여 균열이 전파하여 프레임 튜브(frame tube)가 분리되는 사례가 종종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프레임 파손으로 인하여 승차자의 낙차사고로 이어져 심각한 부상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주행 중의 하중에 대한 피로내구성 평가가 필수적이다. 그러나 자전거 프레임의 피로내구성 및 안전성 평가에 대한 사례 연구는 국내외적으로 드물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

  1. Pro/ENGINEERING, Advanced Tutorial (Release 20/2000i), Connect Press, Ltd. 

  2. Altair Hyper Mesh Basic Training, Vol. 1, Altair Eng. 

  3. KS R 8046 Mountain bike 

  4. S. J. Maddox, "Review of Fatigue Assessment Procedures for Welded Aluminium Structures", Int. J. Fatigue, Vol. 25, pp. 1359-1378, 2003. 

  5. J. G. Kaufman, "Properties of Aluminum Alloys", The Aluminum Association, Inc. pp. 162-170, 1999 

  6. R. R. Ambriz, D. Chicot, N. Benseddiq, G. Mesmacque and S. D. de la Torre, "Local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6061-T6 Aluminium Weld Using Micro-traction and Instrumented Indentation", European J. Mech. A/Solids, Vol. 30, pp. 307-315,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