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병원규모에 따른 간호사의 간호업무환경, 전문직업성과 직무만족의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Hospital Size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19 no.4, 2013년, pp.470 - 479  

이미혜 (단국대학교 간호학과 대학원) ,  김종경 (단국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and compare the characteristics and relations of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among nurses in general hospitals according to hospital size. Methods: The participants included 314 staff and charge nurses who were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병원규모에 따른 간호사의 간호업무환경을 파악하고, 간호사의 전문직업성과 직무만족관계를 비교하여, 간호사의 근무환경에 대한 제언과 바람직한 인력관리 문화와 분위기에 대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병원규모에 따른 간호사의 간호업무환경, 전문 직업성, 직무만족 정도 파악과 관계를 조사하고자 하며,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병원규모에 따른 간호사의 간호업무환경, 전문 직업성, 직무만족의 정도 파악과 관계를 보기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본 연구는 병원규모에 따른 간호업무환경, 전문직업성, 직무만족의 특성과 관계를 파악하고, 이를 비교함으로 그 차이를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병원규모에 따른 간호업무환경, 전문직업성, 직무만족의 특성과 관계를 파악하고, 이를 비교함으로 그 차이를 확인하여 병원규모에 따른 직무만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문직업성이란? 전문직업성은 특수한 지식과 기술을 토대로 광범위한 기능적 자율성을 갖고서 수행된 과업의 성과에 따라 보수를 받는 특정 분야의 전문직업을 갖거나 그러한 전문직업이 지니는 공통적 속성을 보유하는 것을 말한다(Hall, 1968). 본 연구에서는 Hall (1968)이 개발한 Professionalism Inventory Scale 50문항을 Snizek (1972)이 25문항으로 수정한 도구를 Baek 과 Kim-Godwin (2007)이 국문화한 도구이다.
병원규모에 따른 간호사의 간호업무환경, 전문 직업성, 직무만족 정도 파악과 관계를 조사하고자 실시한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표는? • 병원규모별 간호업무환경, 전문직업성, 직무만족의 정도를 파악한다. • 병원규모별 간호업무환경, 전문직업성, 직무만족과의 관계를 비교한다. • 병원규모가 간호업무환경, 전문직업성, 직무만족에 영향의 정도를 파악한다.
직무만족이란? 직무만족이란 개인의 직무와 직무경험에 대한 평가의 결과로 인해 즐겁거나 긍정적인 정서적 상태이다(Locke, 1976). 본 연구에서는 Stamp, Piedmont, Slavitt 과 Hasse (1978)가 의사, 간호사, 보건인력의 직무만족을 측정하기 위하여 48문항으로 개발한 도구를 Park과 Yun (1992)이 번역, 수정한 것으로, 총 41문항의 Likert 5점 척도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직무만족 정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iken, L. H., Clarke, S. P., Sloane, D. M., Lake, E. T., & Cheney, T. (2008). Effects of hospital care environment on patient mortality and nurse outcomes.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38, 223-229. http://dx.doi.org/10.1097/01. NNA.0000312773.42352.d7 

  2. Baek, H. C., & Kim-Godwin, Y. S. (2007). Translation and validation of Korean version of Hall's professionalism inventor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3, 509-515. 

  3. Buerhaus, P. I., Donelan, K., Ulrich, B. T., Norman, L., & Dittus, R. (2005). Is the shortage of hospital registered nurses getting better or worse? Findings from two recent national surveys of RNs. Nursing Economics, 23, 61-71. 

  4. Baernholdt, M., & Mark, B. A. (2009). The nurse work environmen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rates in rural and urban nursing units.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17, 994-1001. http://dx.doi.org/10.1111/j.1365-2834.2009.01027.x 

  5. Hall, R. H. (1968). Professionalism and bureaucratization.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33, 92-104. 

  6. Han, Y. H., Sohn, I. S., Park, K. O., & Kang, K. H. (2010). The relationships between professionalism, job involvemen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6, 17-31. 

  7. Hwang, J., Lou, F., Han, S. S., Cao, F., Kim, W. O, & Li, P. (2009). Professionalism: The major factor influencing job satisfaction among Korean and Chinese nurses. International Nursing Review, 56, 313-318. http://dx.doi.org/10.1111/j.1466-7657.2009.00710.x 

  8. Irvine, D. M., & Evans, M. G. (1995).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among nurses: Integrating research findings across studies. Nursing Research, 44, 246-253. 

  9. Jang, S. M., & Park, S. M. (2011). A comparative study on nurses' organizational culture and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hospital size differenc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 1-13. 

  10. Kang, K. N. (2010). Nurses' practice environment, nursing professionalism, career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in the small-medium sized hospital.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11. Kim, C. H., Yang, S. S., Kim, Y. J., Son, Y. J., You, M. A., & Song, J. E. (2009). A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nurses' turnover inten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5, 550-562. 

  12. Kim, J. K. (2007). A study of relationships among conflict,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general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3, 421-430. 

  13. Ko, H. J. (2010). Nurse work environments, job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leave among nurses in a general hospital.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14.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09). Hospital business analysis. Seoul: Author. 

  15. Krebs, J. P., Madigan, E. A., & Tullai-McGuinness, S. (2008). The rural nurse work environment and structural empowerment. Policy, Politics & Nursing Practice, 9, 28-39. http://dx.doi.org/10.1177/1527154408316255 

  16. Kwon, K. J., Chu, M. S., & Kim, J. A. (2009). The impact of nursing professionalism on the nursing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and retention intention among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5, 182-192. 

  17. Lake, E. T. (2002). Development of the practice environment scale of the nursing work index. Research in Nursing & Health, 25, 176-188. http://dx.doi.org/10.1002/nur.10032 

  18. Lee, J. W. (2011). Effect of nurse's professionalism on customer orientation, job satisfaction and service delivery level in specialty hospital.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1, 266-276. http://dx.doi.org/10.5392/JKCA.2011.11.1.266 

  19. Lee, S. Y. (2006). The influence of job characteristics and professionalism on empowerment perceived by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2, 587-596. 

  20. Locke, E. A. (1976). The nature and causes of job satisfaction. In Dunnette, M. D. (Ed.),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pp. 1297-1349). Chicago: Rand McNally. 

  21. Middleton, S., Griffiths, R., Fernandez, R., & Smith, B. (2008).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How does one Australian hospital compare with magnet hospital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Practice, 14, 366-372. http://dx.doi.org/10.1111/j.1440-172X.2008.00708.x 

  22. Moon, S. J., & Han, S. S. (2009). The prediction factor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nurs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5, 72-80. 

  23. OECD/Korea Policy Centre. (2010). Health at a glance 2009: OECD indicators. Seoul: Author. 

  24. Park, S. A., & Yun, S. N. (1992). Measurement of job satisfaction of nurses and health workers in health cent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2, 316-324. 

  25. Snizek, W. E. (1972). Hall's professionalism scale: An empirical reassessment.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37, 109-114. 

  26. Stamp, P. L., Piedmont, E. B., Slavitt, D. B., & Hasse, A. M. (1978). Measurement of work satisfaction among health professionals. Medical Care, 16, 337-352. 

  27. Sung, M. H., Seo, D. H., & Eum, O, B. (2010). Factors affecting low back pain in nurses in intensive care unit.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17, 343-350. 

  28. Westerman, J. W., & Simmons, B. L. (2007). The effects of work environment on the personality-performance relationship: an exploratory study. Journal of Managerial Issues, 19, 288-305. 

  29. Wynd, C. A. (2003). Current factors contributing to professionalism in nursing. Journal of Professional Nursing, 19, 251-561. http://dx.doi.org/10.1016/S8755-7223 (03)00104-2 

  30. Yoon, J. S., Kook, S. H., Lee, H, Y., Shin, I. S., & Kim, A. J. (1999). Sleep pattern, job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in nurses on rotating shift and daytime fixed work schedules.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8, 713-72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