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방 종합병원 간호사의 근무환경과 비판적 사고성향
Relationship between the Practice Environment of Nursing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f Nurses in Local General Hospitals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20 no.2, 2014년, pp.145 - 153  

이지윤 (강원대학교 간호학과.건강돌봄연구소) ,  박소영 (강원대학교 간호학과, 신한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actice environment of nursing and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f clinical nurses in local general hospitals. Methods: A convenience sample of 468 registered nurses was obtained from three local general hospital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간호근무환경과 비판적 사고능력의 관련성을 확인하는 것은 양질의 간호수행에 필요한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능력을 발전시키기 위한 폭넓은 관점을 가질 수 있고 중재개발에도 참고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간호근무환경과 비판적 사고성향의 관련성을 확인하여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를 향상시키기 위한 보다 구체적인 전략을 마련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500병상 미만의 지방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간호근무환경 정도를 파악하고, 간호근무환경과 비판적 사고성향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지방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의 근무환경과 비판적 사고성향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결과 교육수준과 간호근무환경 중 간호사-의사 간의 협력이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사가 실무를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 어떤 능력을 필요로 하는가? 환자의 재원일수가 단축되고 고도의 장비와 기술 중심의 의료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 현대의 병원 환경에서 간호사가 실무를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환자의 상태변화를 빠르게 인지하여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내고 결정하는 임상적 판단능력을 필요로 한다. 간호사가 빠르고 정확한 임상적 판단을 하는 과정은 임상 상황을 파악하여 사실과 근거에 기초한 판단을 하며 이를 통해 문제해결과 의사결정을 하는 것을 말하는데 이 과정에서 특히 필요한 능력이 비판적 사고능력이다[1].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능력이 좋으면 어떤 영향이 있는가?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능력에 관한 선행연구에 따르면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능력은 연령, 학력, 학부 교과과정, 임상경력, 근무지, 간호교육 이전의 다른 전공의 대학교육 여부 등 간호사들의 개인적 특성과 교육수준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6-8]. 그리고 비판적 사고능력이 좋으면 임파워먼트[9], 임상의사결정능력[1,10], 임상수행능력 등 실무수행능력이 우수하고[11], 직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11].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능력은 어떤 능력인가?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능력은 간호 실무에서 전문적 책임과 질적인 간호수행을 실현하는 필수적인 능력이다[4]. 비판적 사고는 문제 해결과 의사결정능력을 개선시키고 간호업무 수행능력을 향상시켜 환자간호의 질과 안전을 보장한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Park SM, Kwon IG. Factors influencing nurses' clinical decision making: Focusing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7;37(6):963-871. 

  2. Ennis R. Critical thinking: A streamlined conception. Teaching Philosophy. 1991;14(1):44-48. 

  3. Sung KS. The education for critical thinking. Journal of Korean Educational Idea. 2010;24(3):155-172. 

  4. Yoon J.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for the measurement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n nursing [dissertation]. Seou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2004. p. 10-35. 

  5. Fero LJ, Witsberger CM, Wesmiller SW, Zullo TG, Hoffman LA. Critical thinking ability of new graduate and experienced nurse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9;65(1):139-148.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08.04834.x 

  6. Wangensteen S, Johansson IS, Bjorkstrom ME, Nordstrom, G.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s among newly graduated nurse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10;66(10):2170-2181.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10.05282.x 

  7. Feng RC, Chen MJ, Chen MC, Pai YC. Critical thinking competence and disposition of clinical nurses in a medical center. The Journal of Nursing Research. 2010;18(2):77-87. http://dx.doi.org/10.1097/JNR.0b013e3181dda6f60 

  8. Kawashima A, Petrini MA. Study of critical thinking skills in nursing students and nurses in Japan. Nurse Education Today. 2004;24(4):286-292. http://dx.doi.org/10.1016/j.nedt.2004.02.001 

  9. Lee HJ. Study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empowerment of clinical nurses [master's thesis]. Seoul: Kyung Hee University; 2002. p. 55-57. 

  10. Park JA.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linical decision making of emergency nurses [master's thesis]. Kyeonggi-do: Ajou University; 2012. p. 15-23. 

  11. Sung MH, Eum OB. Relationships betwee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professional nursing competence and job satisfaction in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9;15(1):26-36. 

  12. Chan ZCY. A systematic review of critical thinking in nursing education. Nurse Education Today. 2013;33:236-240. http://dx.doi.org/10.1016/j.nedt.2013.01.007 

  13. Myrick, F. Preceptorship and critical thinking in nursing education. The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2002;41(4):154-164. 

  14. Kaya H, Sen H, Kececi A. Critical thinking in nursing education: Anatomy of a course. New Educational Review. 2011;23 (1):159-173. 

  15. Mangena, A, Chabeli, MM. Strategies to overcome obstacles in the facilitation of critical thinking in nursing education. Nurse Education Today, 2005;25(4):291-298. http://dx.doi.org/10.1016/j.nedt.2005.01.012 

  16. Lake ET, Friese CR. Variations in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Relation to staffing and hospital characteristics. Nursing Research. 2006;55(1):1-9. 

  17. Fowler LP. Improving critical thinking in nursing practice. Journal for Nurses in Staff Development: JNSD. 1998;14(4): 183-187. 

  18. Bittner NP, Tobin E. Critical thinking: Strategies for clinical practice. Journal for Nurses in Staff Development: JNSD. 1998;14(6):267-272. 

  19. Raterink G. Critical thinking: Reported enhancers and barriers by nurses in long-term care: Implications for staff development. Journal for Nurses in Staff Development: JNSD. 2011; 27(3):136-142. http://dx.doi.org/10.1097/NND.0b013e318217b3f3 

  20. Choi H, Cho D. Influence of nurses performance with critical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proces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Women Health Nursing. 2011;17(3):265-274. http://dx.doi.org/10.4069/kjwhn.2011.17.3.265 

  21. Lake ET. Development of the practice environment scale of the nursing work index. Research in Nursing & Health. 2002; 25:176-188. http://dx.doi.org/10.1002/nur.10032 

  22. Cho E, Choi M, Kim EY, Yoo IY, Lee NJ. Construct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ractice environment scale of nursing work index for Korean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1;41(3):325-332. http://dx.doi.org/10.4040/jkan.2011.41.3.325 

  23. Chaung SK.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problem solving ability and clinic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Fundamental Nursing. 2011;18(1):71-78. 

  24. Kwon JO, Kim E-Y. Impact of unit-level nurse practice environment on nurse turnover intention in the small and medium sized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2;18(4):414-423. http://dx.doi.org/10.11111/jkana.2012.18.4.414 

  25. Lee MH. A comparative study on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hospital size [master's thesis]. Cheonan: Dankook University; 2012. p. 18-35. 

  26. Jung SC, Jung D. Relationship betwee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clinical decision making and job satisfaction of cancer center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1;17(4):443-450. 

  27. Benner P. From novice to expert. The American Journal of Nursing. 1982;82(3):402-407. 

  28. Freire P. Pedagogy of the oppressed. 30th anniversary ed. New York: Continuum Press; 2000. p. 43-70. 

  29. Boschma G, Einboden R, Groening M, Jackson C, MacPhee M, Marshall H, et al. Strengthening communication education in an undergraduate nursing curriculum.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Scholarship. 2010;28(7):1-14. http://dx.doi.org/10.2202/1548-923X.2043 

  30. Weinberg DB. Code green: Money-driven hospitals and the dismantling of nursing. Ithaca,: ILR Press; 2003. p. 1-1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