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편측 무시 환자에서 시각 정보 차단이 머리 위치 정렬에 미치는 영향: 사례 연구
The Effect of Visual Cue Deprivation for the Head Alignment on Unilateral Neglect Patient: Case Report 원문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8 no.3, 2013년, pp.337 - 342  

장종성 (호남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박정미 (영남대학교의료원 물리치료실) ,  이미영 (대구한의대학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Unilateral neglect is characterized by difficulty shifting attention to the side of space opposite the brain lesion and frequently reducing use of contralesional extremities. This study was to identify whether the visual deprivation was responsible for head position on unilateral negle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편측 무시를 가진 편마비 환자에서 시각적 차단으로 나타나는 신체 정렬의 변화를 살펴보고, 다양한 중재법을 근거로 그 변화의 의미를 알아보고자 한다. ;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편측 무시 환자 중 오른쪽 대뇌 반구의 손상환자에게서 나타나는 발현율은? 편측 무시(unilateral neglect)는 뇌졸중으로 인해 빈번하게 발생하며, 뇌 병변의 반대쪽 공간으로 집중을 옮기기가 어렵고 신체 정위(orientation)에 편위(bias)가 생기는 신경학적 질환이다(Heilman KM, 1993; Perennou, 2006). 흔히, 오른쪽 대뇌 반구의 손상 환자에서 13%∼81%까지 다양한 범위의 발현율을 가진다(Pierce과Buxbaum, 2002). 일반적으로 편측 무시는 선 나누기검사(line bisection test)로 판별되는데, 이것은 일정 길이의 수평선에서 중앙이 되는 부분을 표시하는 것으로, 왼쪽 무시 환자들은 중앙선이 오른쪽으로 치우치는 양상을 나타내며, 외양적으로 선의 왼쪽 부분을 무시하는것처럼 보인다(Plummer 등, 2006).
편측 무시란 무엇인가? 편측 무시(unilateral neglect)는 뇌졸중으로 인해 빈번하게 발생하며, 뇌 병변의 반대쪽 공간으로 집중을 옮기기가 어렵고 신체 정위(orientation)에 편위(bias)가 생기는 신경학적 질환이다(Heilman KM, 1993; Perennou, 2006). 흔히, 오른쪽 대뇌 반구의 손상 환자에서 13%∼81%까지 다양한 범위의 발현율을 가진다(Pierce과Buxbaum, 2002).
선 나누기검사는 무엇인가? 흔히, 오른쪽 대뇌 반구의 손상 환자에서 13%∼81%까지 다양한 범위의 발현율을 가진다(Pierce과Buxbaum, 2002). 일반적으로 편측 무시는 선 나누기검사(line bisection test)로 판별되는데, 이것은 일정 길이의 수평선에서 중앙이 되는 부분을 표시하는 것으로, 왼쪽 무시 환자들은 중앙선이 오른쪽으로 치우치는 양상을 나타내며, 외양적으로 선의 왼쪽 부분을 무시하는것처럼 보인다(Plummer 등, 2006). 대부분의 뇌졸중 환자에서는 회복이 자연스럽게 일어나지만, 왼쪽 편측무시는 만성적으로 지속될 수 있다(Farne 등,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grell BM, Dehlin OIDahlgren CJ. Neglect in elderly stroke patients: a comparison of five tests. Psychiatry Clin Neurosci. 1997;51(5):295-300. 

  2. Ansuini C, Pierno AC, Lusher D et al. Virtual reality applications for the remapping of space in neglect patients. Restor Neurol Neurosci. 2006;24(4-6):431-41. 

  3. Bartolomeo P, Thiebaut de Schotten MDoricchi F. Left unilateral neglect as a disconnection syndrome. Cereb Cortex. 2007;17(11):2479-90. 

  4. Cha YJ, Kim L. The Comparison of Plantar Pressure Distribution regarding the Extent of Hemineglect in Adult Hemiplegia. Korean Soc Phys Med. 2010;5(1):43-51. 

  5. Doricchi F, Tomaiuolo F. The anatomy of neglect without hemianopia: a key role for parietal-frontal disconnection? Neuroreport. 2003;14(17):2239-43. 

  6. Farne A, Buxbaum LJ, Ferraro M et al. Patterns of spontaneous recovery of neglect and associated disorders in acute right brain-damaged patients.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2004;75(10):1401-10. 

  7. Funk J, Finke K, Muller HJ et al. Effects of lateral head inclination on multimodal spatial orientation judgments in neglect: evidence for impaired spatial orientation constancy. Neuropsychologia. 2010;48(6):1616-27. 

  8. Halligan P, Wilson BCockburn J. A short screening test for visual neglect in stroke patients. Int Disabil Stud. 1990;12(3):95-9. 

  9. Heilman KM, Watson RT, Valenstein E. Neglect and related disorders. 3rd ed.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93:279-336. 

  10. Honore J, Saj A, Bernati T et al. The pusher syndrome reverses the orienting bias caused by spatial neglect. Neuropsychologia. 2009;47(3):634-8. 

  11. Karnath HO, Fruhmann Berger M, Kuker W et al. The anatomy of spatial neglect based on voxelwise statistical analysis: a study of 140 patients. Cereb Cortex. 2004;14(10):1164-72. 

  12. Kerkhoff G. Multimodal spatial orientation deficits in left-sided visual neglect. Neuropsychologia. 1999;37(12):1387-405. 

  13. Kerkhoff G, Zoelch C. Disorders of visuospatial orientation in the frontal plane in patients with visual neglect following right or left parietal lesions. Exp Brain Res. 1998;122(1):108-20. 

  14. Menon-Nair A, Korner-Bitensky N, Wood-Dauphinee S et al. Assessment of unilateral spatial neglect post stroke in Canadian acute care hospitals: are we neglecting neglect? Clin Rehabil. 2006;20(7):623-34. 

  15. Menon A, Korner-Bitensky N. Evaluating unilateral spatial neglect post stroke: working your way through the maze of assessment choices. Top Stroke Rehabil. 2004;11(3):41-66. 

  16. Michel C, Pisella L, Halligan PW et al. Simulating unilateral neglect in normals using prism adaptation: implications for theory. Neuropsychologia. 2003;41(1):25-39. 

  17. Milner AD, Harvey M. Distortion of size perception in visuospatial neglect. Curr Biol. 1995;5(1):85-9. 

  18. Milner AD, Harvey M, Roberts RC et al. Line bisection errors in visual neglect: misguided action or size distortion? Neuropsychologia. 1993;31(1):39-49. 

  19. Mort DJ, Malhotra P, Mannan SK et al. The anatomy of visual neglect. Brain. 2003;126(Pt 9):1986-97. 

  20. Oie KS, Kiemel TJeka JJ. Multisensory fusion: simultaneous re-weighting of vision and touch for the control of human posture. Brain Res Cogn Brain Res. 2002;14(1):164-76. 

  21. Paolucci S, Antonucci G, Grasso MG et al. The role of unilateral spatial neglect in rehabilitation of right brain-damaged ischemic stroke patients: a matched comparison. Arch Phys Med Rehabil. 2001;82(6):743-9. 

  22. Perennou D. Postural disorders and spatial neglect in stroke patients: a strong association. Restor Neurol Neurosci. 2006;24(4-6):319-34. 

  23. Pierce SR, Buxbaum LJ. Treatments of unilateral neglect: a review. Arch Phys Med Rehabil. 2002;83(2):256-68. 

  24. Plummer P, Dunai J, Morris ME. Understanding the effects of moving visual stimuli on unilateral neglect following stroke. Brain Cogn. 2006;60(2):156-65. 

  25. Richard C, Rousseaux M, Saj A et al. Straight ahead in spatial neglect: evidence that space is shifted, not rotated. Neurology. 2004;63(11):2136-8. 

  26. Robertson IH, Tegner R, Tham K et al. Sustained attention training for unilateral neglect: theoretical and rehabilitation implications. J Clin Exp Neuropsychol. 1995;17(3):416-30. 

  27. Rode G, Tiliket C, Charlopain P et al. Postural asymmetry reduction by vestibular caloric stimulation in left hemiparetic patients. Scand J Rehabil Med. 1998;30(1):9-14. 

  28. Saj A, Honore J, Davroux J et al. Effect of posture on the perception of verticality in neglect patients. Stroke. 2005;36(10):2203-5. 

  29. Schindler I, Kerkhoff G, Karnath HO et al. Neck muscle vibration induces lasting recovery in spatial neglect.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2002;73(4):412-9. 

  30. Shumway-Cook A, Woolacott MH. Motor control: translating research into clinical practice. 4th ed.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Wilkins, 2012. 

  31. Smania N, Bazoli F, Piva D et al. Visuomotor imagery and rehabilitation of neglect. Arch Phys Med Rehabil. 1997;78(4):430-6. 

  32. Urbanski M, Thiebaut de Schotten M, Rodrigo S et al. Brain networks of spatial awareness: evidence from diffusion tensor imaging tractography.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2008;79(5):598-601. 

  33. Young GC, Collins DHren M. Effect of pairing scanning training with block design training in the remediation of perceptual problems in left hemiplegics. J Clin Neuropsychol. 1983;5(3):201-1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