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애니메이션 교육 표준 분석 및 개선점 연구
An Analysis of 'Animation Education Standards' and Recommendations for Improvement 원문보기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no.32, 2013년, pp.63 - 90  

김재웅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  박유신 (서울 양진초등학교)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2011 문화예술교육표준연구-만화 애니메이션"에서 제시한 애니메이션 교육표준의 연구 과정 및 결과를 분석하고, 의미를 탐색하여 개선점을 제안하는 데에 있다. '애니메이션 교육표준'의 개발은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애니메이션에 대한 문헌 연구 및 실제적 인식에 대한 조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또한 국내외의 관련 교육과정을 표준 개발에 반영하였다. 교육 표준의 구성은 애니메이션의 다양한 양상을 반영하여 일곱 가지 영역으로 설정되었으며, 학령별 5단계로 구성되어 각 영역에서 학생들의 학습 목표와 관련된 기대수준이 서술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애니메이션 교육표준'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독립교과로서 애니메이션의 특성이 반영되었다. 둘째, 문화예술교육적 관점을 강조하였다. 셋째, 애니메이션 교육표준은 기본적인 기대수준을 제공하며 다양한 학습 활동에 개방적이다. 넷째, 각 영역의 기대수준은 실제 수업에서 상호 보완적으로 중복되어 적용된다. 각 영역의 범주는 애니메이션 교육과 관련된 주제 중심으로 설정되었다. 개선점으로는 다음과 같은 점을 들 수 있다. 첫 번째, 독립된 애니메이션 교육표준의 개발이 필요하다. 두 번째, 영역 설정의 범주에 있어서 층위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세 번째, 애니메이션의 독특한 미학적 성격이 영역 및 기대수준 기술에 반영되어야 한다. 네 번째, 기대수준의 기술이 보다 체계화 될 필요가 있다. 다섯번째, 교육표준의 적용을 도울 수 있는 교수학습활동의 실제에 대한 기술이 추가될 필요가 있다. "2011 문화예술교육표준연구-만화 애니메이션"은 애니메이션 교육의 기초적인 학령별 영역별 기대수준을 포괄적으로 제시하여 애니메이션 교육의 체계성 및 교육학적인 성취기준을 제안한 첫 번째 연구였다는 데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이는 향후 애니메이션 교과교육의 연구 및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현장에서의 교수학습활동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standards for the animation education in '2011 Arts and Culture Education Standards: Cartoon and Animation'. Animation Education Standards has been developed by discussion about Arts and Culture Education, and by study of documents about animation, and by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애니메이션 교육의 활성화는 어떤 요구를 불러왔는가? 애니메이션 교육의 활성화는 애니메이션 교육과 관련된 독립적이고 체계화된 교육표준에 대한 요구를 불러왔다. 다양한 문화예술교육의 장에서 이루어지는 애니메이션 교육의 경우, 교육의 다양성과 새로운 예술교육의 실천적 측면에 있어서는 긍정적이나 단계별로 체계화된 학생의 성취기준 및 애니메이션의 학술적 연구와 관련된 학습 내용이 부족하다고 볼 수 있다.
문화예술교육을 통합예술교육이라 하는 것은 무엇을 반영한 것인가? 세 번째, 문화예술교육은 통합예술교육이다. 이는 다양한 예술 장르가 어울려 공감각적 예술적 경험을 만들어내는 현대 예술의 미학적 성격을 반영한다. 동시에 예술이 독자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문화적 맥락 위에서 서로 상호작용하면서 형성되고, 향유되는 존재라는 문화예술교육의 기본적 아이디어에 기초한다.
국가 교육과정에서 애니메이션 교육은 무엇이 강조되는가? 다양한 문화예술교육의 장에서 이루어지는 애니메이션 교육의 경우, 교육의 다양성과 새로운 예술교육의 실천적 측면에 있어서는 긍정적이나 단계별로 체계화된 학생의 성취기준 및 애니메이션의 학술적 연구와 관련된 학습 내용이 부족하다고 볼 수 있다. 국가 교육과정에서의 애니메이션 교육의 경우, 애니메이션의 감상이나 창작 등의 총체적 경험이 아닌, 국어과나 미술과 등 학과 교육과정과 관련된 부분적 특성이 강조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신승환, 문화예술교육의 철학적 지평, 한길아트, 2008. 

  2. Ross D Parke 외, 이민희 외 역, 지난 한 세기 동안의 발달심리학 개관; "발달심리학 거장들의 핵심이론 연구 ,학지사, 2004, 

  3. 앤 뱀포드, 백 령 역, 예술이 교육에 미치는 놀라운 효과, 2007, p 93. 

  4. 톰 앤더슨, 멜로리 밀브란트, 김정희 외 역, 삶을 위한 예술교육, 예경, 2007. p50 

  5. 김재웅 외, 2012 우수교수학습지도안 개발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2. 

  6. 김재웅 외, 문화예술교육표준연구, 2011,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7. 김선아 외, 2010 문화예술교육 콜로퀴엄시리즈,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0. 

  8. 황정현 외, 문화예술교육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09. 

  9. 2009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2012.07),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0. 2009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2011.08),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1. BFI(2000), English&mediacenter, Film Institute, Moving Image in the Classroom. 

  12. Film Education Working Group (Great Britain). Making Movies Matter: Report of the Film Education Working Group. (1999). 

  13. Gary Collins ed. Blue Print for teaching and learning in Moving image (2007), NewYork City Department of education. 

  14. NAGB(2008),arts education assessment framework. U.S. Department of Education Washington, DC. 

  15. National Arts Education Associations(1994), National Standards for visual Art. 

  16. Retrieved September 30, 2011, from Universitaet Leipzig, Wortachatz Web site: http://corpora.informatik.uni-leipzig.de/ 

  17. Retrieved September 30, 2011, from Das offizielle Hauptstadtportal, Lehrplaene Kunst/ Bildende Kunst Web site: http://www.berlin.de/sen/bildung/unterricht/lehrplaene/as Project Deutscher 

  18. Wortschartz der Uni Leipzig,http://wortschatz.uni-leipzig.d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