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어판 코펜하겐 사회심리적 업무환경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Copenhagen Psyco-social Questionnaire Scale 원문보기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22 no.1, 2013년, pp.1 - 12  

전경자 (순천향대학교 간호학과) ,  최은숙 (경북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s to test the validity and criteria-relate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Copenhagen Psyco-social Questionnaire version II (COPSOQ-K) assessing the psychosocial working environment. Methods: The COPSOQ-K was developed through forward-backward translation techniqu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덴마크 국립산업보건연구소에서 개발한 COPSOQ II (Pejtersen et al., 2010)를 한국어로 번역하고 한국어판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 방법론적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덴마크 국립산업보건연구소에서 개발한 COPSOQ II를 우리 실정에 맞게 번안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함으로써 추후 한국의 사회심리적 업무환경을 평가하는 연구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회심리적 업무 환경은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최근 국내외를 막론하고 산업안전보건에서 사회심리적 업무환경 요인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사회심리적 업무 환경은 근골격계질환, 심혈관질환, 정신질환, 스트레스, 소진, 삶의 질 저하, 질병결근, 이직, 생산성 저하를 야기할 수 있어, 개인, 사업장, 나아가 사회전체에 영향을 미친다(Kristensen, Hannerz, Ho̸gh, & Borg, 2005). 이러한 사회심리적 업무환경에 대한 정확한 평가와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을 위해서는 광범위한 사회심리적 업무환경 요인을 포괄하면서 표준화되고 타당도가 검증된 사회심리적 업무환경 측정도구를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국인 직무 스트레스 도구와 근로환경조사 자료의 특징은? , 2012). 한국인 직무 스트레스 도구와 근로환경조사 도구는 포괄적인 사회심리적 업무환경을 측정할 수 없어 사회심리적 업무환경 측정도구로서의 타당도가 다소 부족하다고 할수 있다. 또한, 한국인 직무 스트레스 도구와 근로환경조사 도구는 사회심리적 업무환경의 측정수준을 개인, 업무, 부서, 회사, 일-개인 측면으로 체계적으로 평가하여 개인, 부서, 사업장 차원의 사회심리적 중재 전략을 세우는데 한계를 가지고 있다.
덴마크 국립산업보건연구소가 사회심리적 환경이 다양한 직종에 종사하는 직장인들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개발한 것은? 덴마크 국립산업보건연구소는 직장의 사회심리적 환경이 다양한 직종에 종사하는 직장인들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코펜하겐 사회심리적 업무환경 측정도구(Copenhagen Psyco-social Questionnaire, COPSOQ)를 개발하였다. COPSOQ는 1997년에 초판이 개발된 이후 2010년에 COPSOQ II (Pejtersen, Kristensen, Borg, & Bjorner, 2010)로 전면 개정되었으며,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가 충분히 검증되었고(Bjorner, Albertsen, & Rugulies, 2010; Bjorner & Pejtersen, 2010; Rugulies, Aust, & Pejtersen, 2010; Thorsen & Bjorner, 2010), 사회심리적 업무환경을 포괄적으로 측정할 수 있어 유럽 및 일본 등 아시아 국가에서 최근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한국에서는 소개된 적이 없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Bjorner, J. B., & Pejtersen, J. H. (2010). Evaluating constructvalidity of the second version of the Copenhagen Psy-chosocial Questionnaire through analysis of differential item functioning and differential item effect. Scandinavian Journal of Public Health, 38 (Suppl 3), 90-105. 

  2. Bjorner, J. B., Albertsen, K., & Rugulies, R. (2010). Introduction to the supplement on the Copenhagen Psychosocial Ques-tionnaire-in honour of Tage Sondergard Kristensen. Scan-dinavian Journal of Public Health, 38 (Suppl 3), 90-105. 

  3. Chang, S. J., Kang, D. M., Kang, M. G., Koh, S. B., Kim, S. A., Kim, S. Y., et al. (2004). Standardization of job stress measurement scale for Korean employees (The 2nd year project). Incheo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Institute. 

  4. Choi, E. S., Kim, T. G., June, K. S., Lim, J., Cho, S, J., & Ha, Y. M.(2012). Depth analysis of Korean working condition survey -A study on the policy utilization of European working con-ditions.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Institute. 

  5. Kristensen, T. S,, Hannerz, H., Hogh, A., & Borg, V. (2005). The Copenhagen Psychosocial Questionnaire-A tool for the assessment and improvement of the psychosocial work environment. Scandinavian Journal of Public Health, 31 (6), 438-449. 

  6. Nuebling, M., & Hasselhorn, H. M. (2010). The Copenhagen Psy-chosocial Questionnaire in Germany: From the validation of the instrument to the formation of a job-specific database of psychosocial factors at work. Scandinavian Journal of Public Health, 38, 120-124. 

  7. Pejtersen, J. H., Kristensen, T. S., Borg, V., & Bjorner, J. B. (2010). The second version of the Copenhagen Psychosocial Questionnaire. Scandinavian Journal of Public Health, 38 (Suppl 3), 8-24. 

  8. Rugulies, R., Aust, B., & Pejtersen, J. H. (2010). Do psychosocial work environment factors measured with scales from the Copenhagen Psychosocial Questionnaire predict register- based sickness absence of 3 weeks or more in Denmark? Scandinavian Journal of Public Health, 38 , 42-50. 

  9. Thorsen, S. V., & Bjorner, J. B. (2010). Reliability of the Copen-hagen Psychosocial Questionnaire. Scandinavian Journal of Public Health, 38 (Suppl 3), 8-2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