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종합병원 간호사의 부서별 사회심리적 업무환경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Impacts of Psychosocial Work Environment on Nurses' Job Satisfaction Based on the Type of Hospital Departments 원문보기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12 no.1, 2018년, pp.47 - 56  

원효진 (백석문화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nursing work environments based on department type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environment and job satisfaction. Methods : The participants were 420 nurses from the ward, emergency room, intensive car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그러나 간호업무환경을 다룬 대부분의 국내 연구는 부서별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으며, 병원 규모에 따른 간호사의 간호업무환경을 비교한 연구[13]와 병동 간호사[14][15] 또는 응급실 간호사[16]만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있을 뿐이다. 이에 본 연구는 근무부서에 따른 간호사의 업무환경 정도를 파악하고 직무만족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간호사의 근무환경에 대한 새로운 접근과 바람직한 인력관리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사의 근무환경 표준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AACN[5]에서는 간호사의 근무환경 표준을 의사소통 기술, 진정한 리더십, 간호업무에 대한 인정, 적절한 간호인력, 효과적인 의사결정, 진정한 협력으로 제시하였다. 간호행정가협의회[6]에서는 건강한 근무환경의 구성요소를 협력적인 업무 문화와 개방적이고 믿음이 가는 의사소통, 명확한 간호업무 범위와 양질의 간호를 제공할 수 있는 간호사, 관리자의 리더십과 의사결정에 간호사의 참여, 그리고 지속적인 교육의 지지와 업무에 대한 적절한 보상으로 제시하였다.
간호사의 직무에 대한 만족도가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또한 조직관리에서 가장 중요하게 관심을 두고 있는 것은 직무에 대한 만족도로 직무에 대한 만족이 크면 직업을 바꾸려는 의도가 적고 적극적으로 직무를 수행하면서 이직이나 결근 등으로 야기 되는 눈에 보이지 않는 손실을 줄일 수 있다. 직무 만족이 중요시되고 있는 것은 직무 자체가 주는 기쁨 또는 스트레스로 이어지는 내면적인 가치와 관련될 수 있고 환자 간호에 긍정적 혹은 부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여 간호에 대한 만족도와 조직의 생산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8]. 간호사가 인식하는 업무환경이 좋을수록 간호사의 직무성과를 높이고 간호의 질을 높이며 직무만족의 증가로 이어져, 재직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므로 간호사의 유치와 보유에 관련이 있다고 하였다[4].
간호사의 역할과 업무환경은 무엇인가? 현대 조직에서 조직의 다양한 환경과 조직규모, 조직구조, 조직분위기 등의 조직적 요인은 그 구성원에게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1]. 간호사는 의료기관과 환자 사이에서 다양하고 복잡한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고, 간호사의 업무환경은 대상자의 건강관리 계획을 수립하고 수행하는 고전적 간호업무 상황에만 국한되지 않고 병원 내의 타 의료 인력과의 상호작용을 포함하는 사회적 자본, 심지어는 조직이나 기관의 경제적 효율성 측면까지를 고려해야 하는 것으로 확장되고 있다[2]. 간호 업무환경은 전문적 간호수행을 강화하거나 제한시키는 업무환경의 조직적 특성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3], 간호사가 환자에게 수준 높은 간호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조직의 특성이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S.J. Jang(2004), Factors influencing empowerment of social workers in public sector, Korean Social Security Studies, Vol.20(1);117-146. 

  2. P.V. Bogaert, V.D. Heusden, O. Timmermans, E. Franck(2014), Nurse work engagement impacts job outcome and nurse-assessed quality of care: model testing with nurse practice environment and nurse work characteristics as predictors, Front Psychol, Vol.5;1-11. 

  3. E. Lake(2002), Development of practice environment scale of the nursing work index, Research in Nursing and Health, Vol.25(3);176-188. 

  4. L.H. Aiken, D.S. Havens, D.M. Sloane(2000), The magnet nursing services recognition program - A comparison of two groups of magnet hospitals. American Journal of Nursing, Vol.100(3);26-36. 

  5. American Association of Critical-Care Nurses(2005), AACN's Health work environment initiative backgrounder, Aliso Viejo, Calif: AACN, p.1. 

  6. American Organization of Nurse Executives(2006), Principles and elements of a healthful practice/work environment. Retrieved February 11, 2007, from http://www.aone.org/aone/pdf/principlesandElementsHealthfulWorkPractice.pdf, p.1. 

  7. K.J. June, E.S. Choi(2013),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copenhagen psyco-social questionnaire scal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ol.22(1);1-12. 

  8. E.J. Kim(2006), A study relation between burnout experience and job satisfaction of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Seoul, Korea, pp.1-77. 

  9. M. Baemgoldt, B.A. Mark(2009), The nurse work environmen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rates in rural and urban nursing units,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Vol.17;994-1001. 

  10. B.P. Van, S. Clarke, E. Roelant, H. Meulemans, H.P. Van de(2010), Impacts of unit-level nurse practice environment and burnout on nurse-reported outcomes: a multi-level modeling approach. Journal of Clinical Nursing, Vol.19(11);1664-1674. 

  11. L. Eaton-Spiva, P. Buitrago, L. Trotter, A. Macy, M. Lariscy, D. Johnson(2010), Assessing and redesigning the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40(10);36-42. 

  12. U.J. Oh(2010), Relations among verbal abuse, job satisfaction, burnout and turnover in nurses working in acute hospita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pp.1-75. 

  13. M.H. Lee, J.K. Kim(2013), A comparative study on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hospital siz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19(4);470-479. 

  14. E.J. Choi, J.H. Hwang, I.S. Jang(2017), Effects of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and self-esteem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mong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23(2);161-169. 

  15. E.J. Ju, Y.C. Kwon, M.H. Nam(2015), Influence of clinical nurses' work environment and emotional labor on happiness index,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21(2);212-222. 

  16. H.Y. Jung, M.H. Sung(2014), Relationships among work environmen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an emergency department,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Vol.20(1);29-36. 

  17. J.H. Pejtersen, T.S. Kristensen, V. Borg, J.B. Bjorner(2010), The second version of the Copenhagen psychosocial questionnaire. Scandinavian Journal of Public Health, Vol.38(3);8-24. 

  18. S.B. Im, M.Y. Lee, S.Y. Kim(2015), Nurses'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social support in a general hospita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1(9);1-9. 

  19. M.S. Lee(2012), Study of nurses in emergency department on the stress and job satisfaction related to nursing of emergency pediatric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pp.1-60. 

  20. H.J. Ko(2010), Nurses work environments, job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leave among nurses in a general hospital,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pp.1-50. 

  21. L. Begat, B. Ellefsen, E. Severinsson(2005), Nurses' satisfaction with their work environment and outcomes of clinical nursing supervision on nurses' experience of well-being a Norwegian study,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Vol.12(3);221-230. 

  22. L. Aiken, D. Havens, D. Sloane(2009), The magnet nursing services recognition program-a comparison of two groups of magnet hospitals,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100(3);26-35. 

  23. J.H. Ha(2016), An ethnography on daily lives of nurses in emergency departments,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Vol.23(4);448-459. 

  24. E.S. Lee, S.W. Ryu(2017), Effect of supportive work environment on the job satisfaction of registered nurses : Resonant leadership and structural empowerment,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11(2);43-5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