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충돌시험을 통한 교통사고 재현 연구
A Study on Traffic Accident Reconstruction through Vehicle Crash Test 원문보기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v.21 no.6, 2013년, pp.58 - 63  

김관희 (보험개발원 자동차기술연구소) ,  임종훈 (보험개발원 자동차기술연구소) ,  박인송 (보험개발원 자동차기술연구소) ,  전용범 (보험개발원 자동차기술연구소) ,  조종두 (인하대학교 대학원 기계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is very difficult to evaluate the impact speed, who caused the accident and what the injury risk of the vehicle occupants was from the outcome of the accident. That's the main reason why there are so many insurance fraud related to vehicle accident. In this study, a vehicle crash accident suspec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1) 사고 차량의 손상형태와 유사한 손상형태를 유발하기 위해 27kph, 37kph, 70kph속도로 3번의 충돌시험을 실시하였다. 27kph의 시험 속도에서 발생한 손상형태가 사고 차량의 손상형태와 가장 유사한 것으로 나타나 사고 차량의 충돌 속도는 약 20~30kph 범위인 것으로 판단된다.
  • 27kph, 37kph 및 70kph의 속도로 3번의 충돌시험을 실시하였으며, 각 시험에서 차량 파손정도에 대한 분석과 운전석과 전방 탑승자석에 탑재한 성인 남성 인체모형의 상해위험을 평가하였다.
  • 머리의 부상을 평가하기 위한 파라메타로는 HIC(Head Injury Criteria)와 3ms동안 작동하는 가속도 값을 사용하며 목의 부상위험은 목에 작용하는 인장하중과 Nij값에 근거한다. 가슴 부상위험은 3ms 동안 가슴에 작용하는 가속도와 점성기준(viscous criteria) 그리고 흉골 압축률로 평가한다. 마지막으로 하체부상위험은 대퇴부에 작용하는 압축하중으로 평가한다.
  • 계측 장비는 Faro Arm(Platinum)을 사용하였으며, 각 계측 위치에서 시험 전후 차량의 형상을 계측하여 차량 전체 파손 정도를 분석하였으며 계측점 위치는 운전대 중심, 앞 범퍼, 운전석 A 필라, 조수석 A 필라, 조수석 계기판, 조수석 도어 앞뒤, 오른쪽 앞 타이어 중심으로 하고 변형량 측정 방법은 운전석 도어 스트라이커에 대한 각 계측점의 시험 전후 거리를 비교하였다.
  • 또한 실제 사고 차량의 운전석과 전방 탑승자석에 성인 남성 2인이 탑승하고 있었다는 사실에 근거하여 운전석과 전방 탑승자석에 Hybrid III 50th percentile 남성 더미를 탑재하여 충돌 시 부상위험을 평가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대형 승용차량이 다리 교각과 정면충돌하여 전방 탑승자가 사망한 사고의 충돌 당시 속도 및 충돌 방향 등에 대한 정확한 추정을 위해 실차 충돌시험을 실시하였으며, 해당 속도에서 운전자와 전방 탑승자의 부상위험을 평가하였다.
  • 사고 차량의 손상형태에 대한 분석을 통해 사고 당시의 충돌 속도를 추정하고 해당 속도에서 운전석 및 전방 탑승자석 탑승자의 부상위험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한 사고재현 시험에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 사고 차량이 충돌한 교량 분리대는 사고 시 파손되거나 변형되지 않았음이 사고조사서를 통해 파악됨에 따라 컴퓨터 구조해석을 통해 교량분리대의 강성, 무게, 크기, 형상 등에 대한 사양을 도출하여 충돌한 교각과 동일한 형상과 치수의 고정물을 제작하여 설치하였다.
  • 시험은 27kph, 37kph 및 70kph의 속도로 운전석 및 전방 탑승자는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로 실시하였으며, 각 속도별로 차량의 파손상태 및 부상위험을 분석하였다. 사고조사서를 분석한 결과 주행 중 조향 핸들을 우측으로 회전했다는 진술과 사고 현장의 도로폭 및 차량의 파손형태를 고려하여 교량 교각 중심과 사고 차량 진행방향이 이루는 각도를 약 15도로, 교량과 차량의 겹침량은 차량 전폭의 30%로 결정하였다.
  • 시험 대상차량은 사고 차량과 동일한 K사 대형 승용차로 운전석과 전방 탑승자석에 에어백이 모두 장착된 차량을 선정하였다. 시험은 27kph, 37kph 및 70kph의 속도로 운전석 및 전방 탑승자는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로 실시하였으며, 각 속도별로 차량의 파손상태 및 부상위험을 분석하였다. 사고조사서를 분석한 결과 주행 중 조향 핸들을 우측으로 회전했다는 진술과 사고 현장의 도로폭 및 차량의 파손형태를 고려하여 교량 교각 중심과 사고 차량 진행방향이 이루는 각도를 약 15도로, 교량과 차량의 겹침량은 차량 전폭의 30%로 결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대형 승용차량이 다리 교각과 정면충돌하여 전방 탑승자가 사망한 사고의 충돌 당시 속도 및 충돌 방향 등에 대한 정확한 추정을 위해 실차 충돌시험을 실시하였으며, 해당 속도에서 운전자와 전방 탑승자의 부상위험을 평가하였다. 실제 사고와 보다 근접하게 사고를 재현하기 위해 사고가 발생한 현장에 대한 조사 및 사고조사 보고서에 대한 검토를 실시하였으며, 사고 차량이 충돌한 교각과 동일한 규격의 고정물을 제작하여 설치하였다.
  • 운전석 및 전방 탑승자석에 탑재한 더미에 기록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머리와 목, 가슴 그리고 다리의 부상위험을 평가하였다.
  • 운전석과 전방 탑승자 석에 탑재한 더미(인체모형)에 기록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탑승자의 상해위험을 평가하였다.
  • 충돌사고 재현을 위해 차대차 충돌시험이 가능한 ECV(Electronically Controlled Vehicle) 주행 충돌 시스템을 사용하였으며, ECV 시스템의 구성도는 Fig. 1과 같다.

대상 데이터

  • 시험 대상차량은 사고 차량과 동일한 K사 대형 승용차로 운전석과 전방 탑승자석에 에어백이 모두 장착된 차량을 선정하였다. 시험은 27kph, 37kph 및 70kph의 속도로 운전석 및 전방 탑승자는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로 실시하였으며, 각 속도별로 차량의 파손상태 및 부상위험을 분석하였다.
  • 충돌 시 탑승자의 상해위험을 평가하기 위해 Hybrid III 50th percentile male을 사용하였으며, 더미와 차체에 장착된 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고 분석하기 위한 데이터 집적 장비 DAS(Data Acquisition system)는 MiniDAU와 NA33을 사용하였다. 또한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2년의 보험사기를 목적으로 한 자동차 사고 현황은 어떠한가? 자동차 사고가 발생하면 사고 당시의 속도, 가해자 또는 피해자 그리고 사고 차량 탑승자의 부상위험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매우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사실로 인해 보험사기를 목적으로 한 자동차 사고가 증가하고 있는데, 2012년 보험사기로 적발된 금액 4천 5백억원의 약 60.4%인 2천 7백억원이 자동차보험에서 발생되었으며 이는 2011년의 2천 4백억원에비해 13.7% 증가한 수치이다.1)
데이터 집적 장비 DAS의 역할은? 충돌 시 탑승자의 상해위험을 평가하기 위해 Hybrid III 50th percentile male을 사용하였으며, 더미와 차체에 장착된 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고 분석하기 위한 데이터 집적 장비 DAS(Data Acquisition system)는 MiniDAU와 NA33을 사용하였다. 또한 0.
자동차 전방 충돌 시험에서 머리와 목, 가슴 그리고 다리의 부상위험을 판단하는 기준은? 머리의 부상을 평가하기 위한 파라메타로는 HIC(Head Injury Criteria)와 3ms동안 작동하는 가속도 값을 사용하며 목의 부상위험은 목에 작용하는 인장하중과 Nij값에 근거한다. 가슴 부상위험은 3ms동안 가슴에 작용하는 가속도와 점성기준(viscous criteria) 그리고 흉골 압축률로 평가한다. 마지막으로 하체부상위험은 대퇴부에 작용하는 압축하중으로 평가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

  1.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http://insucop.fss.or.kr, 2012. 

  2. P. Prasad and H. J. Mertz, The Position of the United States Delegation to the ISO Working Group 6 on the Use of HIC in the Automotive Environment, SAE, pp.1-15, 1985. 

  3. G. Kim and I. Park, "Evaluation of Occupant Protection of Van and Light Truck Vehicle," Transactions of KSAE, Vol.20, No.3, pp.13-19, 2012. 

  4. A. M. Nahum and J. W. Melvin, Accidental Injury Biomechanics and Prevention, 2nd Edn., Springer, pp.89-102, 2002. 

  5. Insurance Institute for Highway Safety, Frontal Offset Crashworthiness Evaluation Guidelines for Rating Injury Measures, pp.1-9, 2004. 

  6. ISO Technical Report, Road Vehicles-injury Risk Curves for Evaluation of Occupant Protection in Frontal Impact, ISO/TR 7861, pp.1-24, 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