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병원 간호사들의 감정노동과 우울수준과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s between Emotional Labour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Nurses in University Hospitals 원문보기 논문타임라인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4 no.8, 2013년, pp.3794 - 3803  

김경옥 (충남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학과) ,  조영채 (충남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예방의학교실 및 의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학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의 감정노동과 우울수준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대전광역시의 3개 대학병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 514명을 대상으로 2012년 4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의 기간 동안에 구조화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사용한 설문조사에 의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대상 간호사들의 감정노동수준에 따른 우울수준은 감정노동의 총 평균점수가 낮은 군보다 높은 군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며, 우울수준과 감정노동 요인들 간의 상관관계에서도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우울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수로는 연령, 여가시간여부, 커피음용여부, 주관적인 건강상태, 업무의 육체적인 부담정도, 업무에 대한 만족도, 업무에 대한 적성여부 및 감정노동 점수가 유의한 변수로 선정되었다. 이들 전체 변수들의 설명력은 39.4%이었으며, 특히 감정노동변수의 투입으로 11.0%의 설명력을 증가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는 조사대상 간호사들이 경험하고 있는 감정노동과 우울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감정노동은 다른 변수보다 우울에 대한 설명력을 증가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우울수준을 낮추기 위해서는 감정노동을 적절하게 통제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시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s between emotional labour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nurses in university hospitals. Subjects were 514 nurses working at three university hospitals in Daejeon City, and the survey was a structured self- administered questionnaire based f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관련행위 특성 및 직업관련 특성에 따른 감정노동과 우울수준을 파악하고, 특히 감정노동과 우울증상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대학병원간호사들을 대상으로 감정노동과 우울수준과의 상관관계 및 우울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알아보고자 시도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감정노동과 우울수준의 측정도구는 타당도가 검증된 도구들을 사용하였으며, 도구의 신뢰도를 의미하는 Cronbach's α 값도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감정노동이란 무엇인가? 감정노동이란 대인 업무를 하는 동안 공식적으로 편안한 표정과 동작을 만들기 위해 자신의 감정을 관리하는 업무로서 이에 대해 임금이 지불되는 감정적인 노동이다[1]. 환자의 경우 불편한 심신 상태로 인해 의료진의 올바른 응대에도 불구하고 자칫 불평을 하기 쉬운데다가 병원은 간호사들에게 질병을 가진 환자를 지지하고, 나쁜 소식을 접한 가족 구성원을 위로하며, 규범적 감정을 고객에게 일관성 있게 표출하도록 요구하게 됨으로서 간호사들의 감정노동은 더욱 더 심해질 것으로 예상된다[2].
간호사의 우울은 어떠한 문제를 발생시키는가? 간호사의 우울은 대인간의 효과적 상호작용을 저해하며 인지적 대처기전의 효율성을 감소시킴으로서 근무의욕과 업무수행 능률의 감소, 환자 간호의 질 저하 및 이직현상 등을 유발하여 병원조직의 인력관리문제를 야기 하게 된다[4]. 따라서 최근 간호사들에게 강도 높게 요구 되는 감정노동과 감정노동을 수행하면서 경험하게 되는 우울증상과의 관련성을 검토해 볼 필요성이 있다고 본다.
간호사의 역할이 간호업무 수행의 차원을 넘어 병원의 생산성과 서비스의 질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 배경은 무엇인가? 의학기술의 발전과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현대인 들은 의료의 질적 수준뿐만 아니라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병원을 선호하고 있다. 따라서 의료서비스 제공자인 간호사의 역할도 간호업무 수행의 차원을 넘어 병원의 생산성과 서비스의 질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역할 변화와 확장된 업무분담으로 인해 간호사는 실무 현장에서 자주 감정노동에 접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Motowidlo SJ., Manning MR., & Packard JS. Occupational stress : It's causes and consequences for job performance. Journal Applied Psychology 71(4):618-629, 1986. DOI: http://dx.doi.org/10.1037/0021-9010.71.4.618 

    상세보기 crossref
    인용구절

    인용 구절

    감정노동이란 대인 업무를 하는 동안 공식적으로 편안한 표정과 동작을 만들기 위해 자신의 감정을 관리하는 업무로서 이에 대해 임금이 지불되는 감정적인 노동이다[1].

  2. Gray B. The emotional labour of nursing: Defining and managing emotions in nursing work. Nurse Edu Today, 29:168-175, 2009. DOI: http://dx.doi.org/10.1016/j.nedt.2008.08.003 

    상세보기 crossref
    인용구절

    인용 구절

    환자의 경우 불편한 심신 상태로 인해 의료진의 올바른 응대에도 불구하고 자칫 불평을 하기 쉬운데다가 병원은 간호사들에게 질병을 가진 환자를 지지하고, 나쁜 소식을 접한 가족 구성원을 위로하며, 규범적 감정을 고객에게 일관성 있게 표출하도록 요구하게 됨으로서 간호사들의 감정노동은 더욱 더 심해질 것으로 예상된다[2].

  3. Lee BI, Joung HS, Kim SR. Lee KY.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with Emotional Labor among Workers in the Service Industry. Journal of Korean Community Nursing, 15(4):566-576, 2004. 

    인용구절

    인용 구절

    따라서 감정노동 종사자가 본인의 감정을 인위적으로 통제함으로써 나타날 수 있는 이차적인 건강상의 문제로 우울증상이 흔히 보고되고 있다[3].

    감정노동은 Brotheridge와 Lee[9]가 개발한 Emotional Labour Scale을 Lee[3]가 수정 보완한 한국어판 감정노동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4. Motowidlo SJ., Manning MR., & Packard JS. Occupational stress : It's causes and consequences for job performance. Journal Applied Psychology, 71(4):618-629, 1986. DOI: http://dx.doi.org/10.1037/0021-9010.71.4.618 

    상세보기 crossref
    인용구절

    인용 구절

    간호사의 우울은 대인간의 효과적 상호작용을 저해하며 인지적 대처기전의 효율성을 감소시킴으로서 근무의욕과 업무수행 능률의 감소, 환자 간호의 질 저하 및 이직현상 등을 유발하여 병원조직의 인력관리문제를 야기하게 된다[4].

  5. Kim SY, Chang SJ, Kim HY, Rho JH.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Korean industrial service employees. Th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14(3):227-235, 2002. 

    인용구절

    인용 구절

    그동안 감정노동과 우울증상에 관한 선행연구를 보면, Kim 등[5]은 감정노동군으로 백화점, 호텔, 외식업체 종사자들을, 비감정노동군으로는 공공기관의 사무직 근로자와 전자제품 조립공장의 생산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하여 연구한 결과 감정노동군에서 우울수준이 더 높다고 보고하고 있다.

    Kim 등[5]은 백화점, 호텔, 외식업체에서 대면접객서비스를 수행하는 근로자를 대상으로, Byon 등[8]은 병원, 보건소, 은행, 할인점, 콜센터에서 근무하는 서비스업 여성 근로자를 대상으로, Chu 등[7]은 일부 은행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감정노동이 높을수록 우울 수준이 높다고 보고하고 있어 본 연구결과와 유사하였다.

  6. Lee YC, Kim HC, Jeong DY, Kim DH, Kim JH, Lee DH, Park SK, Lim JH. Emotional labor, job stress and depressive symptoms of the medical doctors in an university hospital.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 Environmental Medicine. 5:168-169, 2008. 

    인용구절

    인용 구절

    또한 일개 대학병원 전공의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6]를 비롯하여 은행업 종사자[7], 서비업 종사자[8]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임상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7. Chu SH, Ryou HC, Bae KJ, Song JC, Lee SJ, Kim IA. Association between emotional labor and symptoms of depression among bankers. The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 Environmental Medicine. 22(4):316-323, 2010. 

    인용구절

    인용 구절

    또한 일개 대학병원 전공의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6]를 비롯하여 은행업 종사자[7], 서비업 종사자[8]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임상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Kim 등[5]은 백화점, 호텔, 외식업체에서 대면접객서비스를 수행하는 근로자를 대상으로, Byon 등[8]은 병원, 보건소, 은행, 할인점, 콜센터에서 근무하는 서비스업 여성 근로자를 대상으로, Chu 등[7]은 일부 은행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감정노동이 높을수록 우울 수준이 높다고 보고하고 있어 본 연구결과와 유사하였다.

  8. Byun GH. Emotional labor, job stress and depressive symptoms of working women on service.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 Environmental Medicine. 11:332-333, 2011. 

    인용구절

    인용 구절

    또한 일개 대학병원 전공의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6]를 비롯하여 은행업 종사자[7], 서비업 종사자[8]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임상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Kim 등[5]은 백화점, 호텔, 외식업체에서 대면접객서비스를 수행하는 근로자를 대상으로, Byon 등[8]은 병원, 보건소, 은행, 할인점, 콜센터에서 근무하는 서비스업 여성 근로자를 대상으로, Chu 등[7]은 일부 은행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감정노동이 높을수록 우울 수준이 높다고 보고하고 있어 본 연구결과와 유사하였다.

  9. Brotheridge CM, Lee RT.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emotional labour scale.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76(3):365-379, 2003. DOI: http://dx.doi.org/10.1348/096317903769647229 

    상세보기 crossref
    인용구절

    인용 구절

    감정노동은 Brotheridge와 Lee[9]가 개발한 Emotional Labour Scale을 Lee[3]가 수정 보완한 한국어판 감정노동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10. Weissman MM, Locke BZ. Comparison of a self-report symptom rating scale(CES-D) with standardized depression rating scales in psychiatric populations. Am J Epidemiol, 102: 430-431, 1975. 

    crossref
    인용구절

    인용 구절

    우울수준의 평가는 미국의 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NIMH)에서 역학조사용으로 개발한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CES-D)을 사용하였다[10].

  11. Kim HJ, Kim JH. Emotional labor, social support, and Depressive symptoms of clinical nurses in a province Korea. 20(3):308-318, 2011. 

    원문보기 상세보기 crossref 타임라인에서 보기
    인용구절

    인용 구절

    동일 척도를 사용하여 일개 종합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Kim[11]의 연구에서도 감정노동 수준이 평균 3.28점으로 보고하고 있어 본 연구결과와 유사함을 보여주고 있다.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에서도 임상경력이 낮을수록[11,20], 직위가 낮을수록[11,21,23], 업무에 만족하지 않을수록[23], 교대근무자가 비교대근무자[26]에서 우울수준이 높게 나타나 본 연구와 유사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Kim[11]의 연구에서도 감정 노동 수준이 높을수록 우울수준이 높다고 보고하고 있어 감정노동이 심할수록 우울수준도 높아지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12. Lee SN. Relation of among emotional labor, burn out and job involvement of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information in clinical nursing Hanyang university. 2010. 

    인용구절

    인용 구절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12-14]에서도 미혼군보다 기혼군에서, 학업수준이 높을수록 감정노동수준이 더 높다고 보고하고 있어 본 연구와 유사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13. Seo YS, Sung KW. Relation of emotional labor, job involvement and job satisfaction for nurse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J Korean Gerontol Nurs. 13(3):196-203, 2011. 

    인용구절

    인용 구절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12-14]에서도 미혼군보다 기혼군에서, 학업수준이 높을수록 감정노동수준이 더 높다고 보고하고 있어 본 연구와 유사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14. Kim SH. Effect of emotional labor on psychiatric health of ambulatory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2012. 

    인용구절

    인용 구절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12-14]에서도 미혼군보다 기혼군에서, 학업수준이 높을수록 감정노동수준이 더 높다고 보고하고 있어 본 연구와 유사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그 밖에 외래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Kim[14]의 감정노동 연구에서도 감정표현의 빈도가 높을수록 진심행위 및 표면행위가 유의하게 높다고 하였으며, 감정표현이 다양할수록 유의하게 높은 수준의 감정노동을 경험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나 감정노동 하위영역별 상관성에 대해서는 본 연구결과와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15. Lee KJ, Lee E. The relationship of emotional labor, empowerment, job burnout and turn over intention of clinical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2):130-142, 2011. DOI: http://dx.doi.org/10.5807/kjohn.2011.20.2.130 

    원문보기 상세보기 crossref 타임라인에서 보기
    인용구절

    인용 구절

    종합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15]에서도 직위가 높을수록 감정노동이 높다고 보고하고 있으며, 종합전문요양기관에 근무하는 간호사 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16]에서도 일반간호사들이 책임간호사들보다 감정노동이 낮은 것으로 보고하고 있어 본 연구결과를 뒷받침 해 주고 있다.

  16. Cha SK, Shin YS, Kim KY, Lee BY, Ahn SY, Jang HS, Kwon YJ, Kim DH. The degree of emotional labor and the its related factors among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5(2):23-35, 2009. 

    인용구절

    인용 구절

    종합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15]에서도 직위가 높을수록 감정노동이 높다고 보고하고 있으며, 종합전문요양기관에 근무하는 간호사 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16]에서도 일반간호사들이 책임간호사들보다 감정노동이 낮은 것으로 보고하고 있어 본 연구결과를 뒷받침 해 주고 있다.

  17. Lee HJ, E YS, Park NH, Lee GJ. Factors discriminating nurses' depression among person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J Korean Acad Nurs. 32(6):867-877, 2002. 

    원문보기 상세보기 crossref
    인용구절

    인용 구절

    동일한 척도를 사용하여 간호사를 대상으로 분석한 선행연구[17-21]의 우울 평균점수를 보면 13.68점에서 26.65점까지 다양하게 보고하고 있어 연구자 마다 약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8. Lee WH, Kim CJ.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perceived stress, fatigue and anger in clinical nurses. J Korean Acad Nurs. 36(6):925-932, 2006. 

    원문보기 상세보기 crossref 타임라인에서 보기
    인용구절

    인용 구절

    동일한 척도를 사용하여 간호사를 대상으로 분석한 선행연구[17-21]의 우울 평균점수를 보면 13.68점에서 26.65점까지 다양하게 보고하고 있어 연구자 마다 약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9. Yoon HS, Kim HL, Kwon IS, Cho YC. Type A behavior pattern and its association with stress, depression and fatigue in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7(2):180-190, 2008. 

    인용구절

    인용 구절

    동일한 척도를 사용하여 간호사를 대상으로 분석한 선행연구[17-21]의 우울 평균점수를 보면 13.68점에서 26.65점까지 다양하게 보고하고 있어 연구자 마다 약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0. Kim JH, Hyun MY, Kim SY. Job stress, depression, social support and coping strategies of clinical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8(2):219-232, 2009. 

    인용구절

    인용 구절

    동일한 척도를 사용하여 간호사를 대상으로 분석한 선행연구[17-21]의 우울 평균점수를 보면 13.68점에서 26.65점까지 다양하게 보고하고 있어 연구자 마다 약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선행연구에서도 조사 대상자의 제 특성별 우울평균점수는 연령이 높을수록[22-24], 미혼자보다 기혼자에서[20-25], 학력이 낮은 군보다 높은 군[22]에서 우울 수준이 낮게 나타났다고 보고 하여 본 연구결과를 뒷받침 해 주고 있다.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에서도 임상경력이 낮을수록[11,20], 직위가 낮을수록[11,21,23], 업무에 만족하지 않을수록[23], 교대근무자가 비교대근무자[26]에서 우울수준이 높게 나타나 본 연구와 유사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21. Yoon SH. Occupational stress and depression in clinical nurses. Journal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5(3):463-470, 2009. 

    인용구절

    인용 구절

    동일한 척도를 사용하여 간호사를 대상으로 분석한 선행연구[17-21]의 우울 평균점수를 보면 13.68점에서 26.65점까지 다양하게 보고하고 있어 연구자 마다 약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선행연구에서도 조사 대상자의 제 특성별 우울평균점수는 연령이 높을수록[22-24], 미혼자보다 기혼자에서[20-25], 학력이 낮은 군보다 높은 군[22]에서 우울 수준이 낮게 나타났다고 보고 하여 본 연구결과를 뒷받침 해 주고 있다.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에서도 임상경력이 낮을수록[11,20], 직위가 낮을수록[11,21,23], 업무에 만족하지 않을수록[23], 교대근무자가 비교대근무자[26]에서 우울수준이 높게 나타나 본 연구와 유사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22. Lee S. The effect of ego-state and life position of clinical nurses of depression.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10(4):604-614, 2001. 

    인용구절

    인용 구절

    한편, 선행연구에서도 조사 대상자의 제 특성별 우울평균점수는 연령이 높을수록[22-24], 미혼자보다 기혼자에서[20-25], 학력이 낮은 군보다 높은 군[22]에서 우울 수준이 낮게 나타났다고 보고 하여 본 연구결과를 뒷받침 해 주고 있다.

  23. Kim HS, Yim HW, Lee JY, Cho HJ, Jo SJ, Lee WC. Influences of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on the depression of some clinical nurses. 19(2):125-134, 2007. 

    인용구절

    인용 구절

    한편, 선행연구에서도 조사 대상자의 제 특성별 우울평균점수는 연령이 높을수록[22-24], 미혼자보다 기혼자에서[20-25], 학력이 낮은 군보다 높은 군[22]에서 우울 수준이 낮게 나타났다고 보고 하여 본 연구결과를 뒷받침 해 주고 있다.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에서도 임상경력이 낮을수록[11,20], 직위가 낮을수록[11,21,23], 업무에 만족하지 않을수록[23], 교대근무자가 비교대근무자[26]에서 우울수준이 높게 나타나 본 연구와 유사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24. Joung GY. The effects of job stress for depression in clinical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6(2):158-167, 2007. 

    인용구절

    인용 구절

    한편, 선행연구에서도 조사 대상자의 제 특성별 우울평균점수는 연령이 높을수록[22-24], 미혼자보다 기혼자에서[20-25], 학력이 낮은 군보다 높은 군[22]에서 우울 수준이 낮게 나타났다고 보고 하여 본 연구결과를 뒷받침 해 주고 있다.

  25. Schaefor J, Moss RH. Effects of work stress and work climate on long-term care staff's job morale and functioning. Res Nurs Health. 19:63-73, 1996. DOI: http://dx.doi.org/10.1002/(SICI)1098-240X(199602) 19:1 3.0.CO;2-J 

    crossref
    인용구절

    인용 구절

    한편, 선행연구에서도 조사 대상자의 제 특성별 우울평균점수는 연령이 높을수록[22-24], 미혼자보다 기혼자에서[20-25], 학력이 낮은 군보다 높은 군[22]에서 우울 수준이 낮게 나타났다고 보고 하여 본 연구결과를 뒷받침 해 주고 있다.

  26. Kim YK, Yoon DY, Kim JI, Chae CH, Hong YS, Yang CG, Jeong KY, Kim JY. Effects of health on shift work. Korean J Occup Environ Med. 14(3):247-256, 2002. 

    인용구절

    인용 구절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에서도 임상경력이 낮을수록[11,20], 직위가 낮을수록[11,21,23], 업무에 만족하지 않을수록[23], 교대근무자가 비교대근무자[26]에서 우울수준이 높게 나타나 본 연구와 유사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