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신 여성의 산전우울 실태 및 영향요인
Status of Antepartum Depression and Its Influencing Factors in Pregnant Women 원문보기 논문타임라인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4 no.8, 2013년, pp.3897 - 3906  

이은주 (대구과학대학교 간호학과) ,  박정숙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임신 여성을 대상으로 산전우울의 발생 정도와 이와 관련된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D광역시 소재 종합병원 및 산부인과 병원 외래를 방문하거나 원내 특강을 받는 160명의 임부를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우울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 한국형 EPDS(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서술적 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와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임신 여성의 우울점수는 평균 $7.80{\pm}4.86$점(0-30점)이었으며, 대상자의 56.3%가 정상(0-8점), 23.1%가 경계선(9-12점), 20.6%는 심각한 수준(13점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임신 여성의 산전우울 영향요인으로는 주관적 건강상태, 임부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순이었으며, 이 변수들은 산전우울을 36.7%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산전우울을 예방하기 위해 이러한 변수들이 충분히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ate and influencing factors on antepartum depression in pregnant women.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based study was performed in 160 pregnant women who visited outpatient clinics or attended special lectures of the general hospital in D metropol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임신 여성의 우울 발생빈도 및 우울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파악하여 산전, 산후우울을 예방하고 관리하는 간호중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임신 여성의 산전우울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여 우울을 예방하고 관리하는 간호중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비비례층화표출법을 사용하여 D광역시에 소재한 대학병원 1곳과 여성전문병원 2곳에서 산부인과 외래를 방문한 160명의 임부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EPDS를 사용하여 임부의 산전우울 정도를 파악하고, 선행연구들에서 유의하게 보고된 다양한 변수들을 포함하여 임신 여성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는 임신 여성에게 발생할 수 있는 산전우울의 예방과 관리를 위한 간호중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임부를 대상으로 산전우울 정도와 이와 관련된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임신 여성의 우울 발생빈도는 어떠한가? 임신 여성의 우울 발생빈도는 5-15%[4,10] 정도로 보고되고 있는데, 최근 고령 산모와 조산 등 고위험 임신이 증가하는 추세에 비추어 보면[11] 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미 선진국에서는 산전우울의 심각성을 인식하여 다양한 국가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여성의 임신 기간 중 어떤 것들을 경험하는가? 임신은 여성의 전 생애에 걸쳐 가장 높은 스트레스를 일으킬 수 있는 중대한 사건으로, 여성은 임신 기간 중 다양한 신체적 변화뿐만 아니라 정서적 변화, 사회적 변화 및 역할 변화까지 도 경험하게 된다[1]. 특히 급격한 호르몬의 변화로 인한 입덧, 체중증가 등의 신체적 불편감, 태어날 아이의 성별, 향후 양육부담감 등은 임신 여성을 불안한 상태나 우울에까지 이르게 한다[2].
산전우울은 태아에게 어떤 영향을 줄 수 있는가? 임신 여성들은 산전우울로 인하여 체중 감소와 불면증 등을 경험하게 되고, 산전관리에 소홀해지며, 담배, 약물, 알코올 등에 의존하는 경우도 생기게 된다. 또한 태아에게도 스트레스를 주게 되어 저체중아[3], 조산, 태아 사망[4] 등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산전우울을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게 되면 임신 여성이 일상생활을 유지하는 것이 어려워질 수 있으며[5], 잠재적으로 산후우울증으로 발전 되고[6] 자살 충동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H. J. Lee, O. K. Hyun, and J. H. Rha, "Longitudinal study on the changes of mothers' stress and cortisol from pregnancy to postpartum period",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ence, 17(3), 109-121, 2006. 

  2. M. K. Kwon, "Antenatal Depression and Mother-Fetal Interaction", J Korean Acad Child Health Nurs, 13(4), 416-426, 2007. 

  3. H. W. Kim and Y. Y. Jung, "Effects of Antenatal Depression and Antenatal Characteristics of Pregnant Women on Birth Outcomes: A Prospective Cohort Study", J Korean Acad Nurs, 42(4), 477-485, 2012. DOI: http://dx.doi.org/10.4040/jkan.2012.42.4.477 

  4. O. Chatillon, & C. Even, C. "Antepartum depression: Prevalence, Diagnosis and treatment", Encephale, 36(6), 443-451, 2010. 

  5. American Congress of Obstetricians and Gynecologists. Screening for Depression During and After Pregnancy [Internet], [cited 2010 Feb] Available From: http://www.acog.org. (accessed May, 10, 2013) 

  6. H. J. Cho, et al., "A Study of Predicting Postpartum Depression and the Recovery Factor from Prepartum Depression", The Korean Society of perinatology, 15(3), 245-254, 2004. 

  7. J. L. Melville, A. Gavin, Y. Guo, M. Y. Fan, & W. J. Katon, "Depressive Disorders During Pregnancy: Prevalence and Risk Factors in a Large Urban Sample", Obstet Gynecol, 116(5), 1064-1070, 2010. DOI: http://dx.doi.org/10.1097/AOG.0b013e3181f60b0a 

  8. R. Kelly, D. Zatzick, & T. Anders, "The detection and treatment of psychiatric disorders and substance use among pregnant women cared for in obstetrics", American Journal Psychiatry, 158, 213-219, 2001. DOI: http://dx.doi.org/10.1176/appi.ajp.158.2.213 

  9. O. Vesga-Lopez, C. Blanco, K. Keyes, M. Olfson, B. F. Grant, & D. S. Hasin, "Psychiatric disorders in pregnant and postpartum women in the United States", Arch Gen Psychiatry, 65, 805-815, 2008. DOI: http://dx.doi.org/10.1001/archpsyc.65.7.805 

  10. B. N. Gaynes, et al., "Perinatal depression: prevalence, screening accuracy, and screening outcomes", Evid Rep Technol Assess (Summ), 119, 1-8, 2005. 

  11. Korean Society of Maternal Fetal Medicine, Ministry of Health & Welfare. "The survey on the actual conditions of delivery room and delivery of high-risk pregnancy", p1, 2012. 

  12. University Management center for health promotion. "The study for policy plan on the actual depressed condition of perinatal and the decrease of incident rate", p33-37, 2010. 

  13. Ministry of Health & Welfare. "Maternal and Child Health Policy 2013", p5, 2012. 

  14. S. K. Choi, S. Y. Ahn, J. C. Shin, and D. G. Jang, "A clinical study of depressive symptoms during pregnancy",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 Gynecology, 52(11), 1102-1107, 2009. 

  15. H. W. Kim and Y. Y. Jung, "Influencing Factors on Antenatal Depression", Korean J Women Health Nurs, 16(2), 95-104, 2010. DOI: http://dx.doi.org/10.4069/kjwhn.2010.16.2.95 

  16. W. Hwee and S. Y. Park, "The Relationships between Anxiety, Depression, Prenatal Stress, Maternal-Fetal Attachment and Gratitude", J Korean Soc Matern Child Health, 16(2), 274-286, 2012. 

  17. H. J. Cho, J. H. Kwon, "A test of the Attachment Model of Prepartum Depression",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1, 727-744, 2002. 

  18. M. E. Lee and Y. R. Kweon, "Psycho-social Factors Associated with Depression in Pregnant Women",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20(3), 252-260, 2011. 

  19. E. S. Kim, S. Y. Rhu,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Sociopsychological Factors in Pregnant Women", J Korean Soc Matern Child Helath, 12(2), 228-241, 2008. 

  20. C. A. Lancaster, K. J. Gold, H. A. Flynn, H. Yoo, S. M. Marcus, & M. M. Davis, "Risk factors for depressive symptoms during pregnancy: a systematic review", American Journal Obstetric Gynecology. 202(1), 5-14, 2010. DOI: http://dx.doi.org/10.1016/j.ajog.2009.09.007 

  21. J. E. Song, "Influencing Factors of Postpartum Depression between 4 to 6 Weeks after Childbirth in the Postpartum Women", Korean J Women Health Nurs, 15(3), 216-223, 2009. DOI: http://dx.doi.org/10.4069/kjwhn.2009.15.3.216 

  22. S. J. Jun, H. K. Kim, S. M. Lee, and S. A. Kim, "Factors Influencing Middle-aged Women's Depression", The J of Korean Community Nursing, 15(2), 266-272, 2004. 

  23. J. S. Kim, H. S. Hong, and Y. K. Na, "A study of Fatigue, Depression and Sleep Disorders in Patients with Chronic Liver Disease", J Korean Biol Nurs Sci, 14(1), 1-7, 2012. DOI: http://dx.doi.org/10.7586/jkbns.2012.14.1.1 

  24. K. S. Lee, J. S. Kang, I. S. Kwon, and Y. C. Cho, "Influence of Sleep Quality, Occupational Stress and Fatigue on Depression Among Small-scale Manufacturing Male Worker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2(5), 2230-2240, 2011.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1.12.5.2230 

  25. B. Harris, P. Huckle, R. Thomas, S. Johns, & H. Fung, "The use of rating scales to identify post-natal depression", Br J Psychiatry, 154, 813-7, 1989. DOI: http://dx.doi.org/10.1192/bjp.154.6.813 

  26. J. Cohen,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88 

  27. J. L. Cox, J. M. Holden, & R. Sagovsky, "Detection of postnatal Depresson: Development of the 10 item 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 British Journal fo psychiatry, 150(JUNE), 782-786, 1987. 

  28. K. W. Han, M. J. Kim, and J. M. Park, "The 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 Korean Version : Reliability and Validity", J Korean Soc Biol Ther Psychiatry, 10(2), 201-207, 2004. 

  29. G. Breedlove, & D. Fryzelka, "Depression Screening During Pregnancy", J Midwifery Womens Health, 56(1), 18-25, 2010. DOI: http://dx.doi.org/10.1111/j.1542-2011.2010.00002.x 

  30. M. Rosenberg,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 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31. B. J. Jeon,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Yonsei Form, 11, 107-129, 1974. 

  32. H. R. Ahn, "An experimental study of the effects of Husband's supportive behavior reinforcement education on stress relief of primigravidas", J Korean Acad Nurs, 15(1), 5-16, 1985. 

  33.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HIRA trend of policy. [Internet]. [cited 2012 May 1], Available From: http://www.hira. or.kr. (accessed June, 25, 2013) 

  34. H. S. Jung, "The Effect of psychoanalytically informed music therapy on social avoidance & distress, depression, somatization, and the growth index of domestic violence women victims", [master thesis], Seoul: MyongGii University, 2006. 

  35. E. H. Moon, J. Y. Kim, M. K. Jung, H. M. Son, and J. A. Oh, "Anxiety-depression and Maternal Fetal Attachment Behaviors of Pregnant Women with Preterm Labor and Normal Pregnant Women", Korean parent-child health journal, 9(2), 128-139, 2006. 

  36. K. W. Kim and E. H. Lee, "Womans experience of Risk Situation on the High-Risk Pregnancy", Korean J Women Health Nurs, 4(1), 161-178, 1989. 

  37. K. S. Bang, "Infants' Temperament and Health Problems according to Maternal Postpartum Depress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1(4), 444-450, 2011. 

  38. J. H. Youn, and I. S. Jeong, "Predictors of Postpartum Depression : Prospective cohort study", J Korean Acad Nurs, 43(2), 225-235, 2013. DOI: http://dx.doi.org/10.4040/jkan.2013.43.2.225 

  39. E. J. Cho, "Subjective sleep quality in depressed and non-depressed mothers during the late postpartum period", Korean J Women Health Nurs, 15(2), 108-120, 2009. DOI: http://dx.doi.org/10.4069/kjwhn.2009.15.2.108 

  40. Ministry of Health & Welfare, Postpartum depression [Internet]. [cited 2010 Mar 8], Available From: http://health.mw.go.kr. (accessed June, 12, 2013) 

  41. M. R. Choi and I. H. Lee, "The Moderating and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Depression",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2(2), 363-383, 2003. 

  42. J. Y. Bae, "Construction of a Postpartum Depression Model",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11(4), 572-587,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