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임부의 임신경험과 임신 중 체중변화에 대한 태도와의 관계
Correlates of the Pregnancy Experience and Attitude regarding Weight Change during Pregnancy in Primigravida Women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25 no.2, 2019년, pp.143 - 153  

신기수 (중앙대학교 적십자간호대학) ,  김미옥 (단국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We aimed to examine the correlations between pregnancy experience and attitude regarding weight change during pregnancy. Methods: This correlative study was conducted from July 2017 to October 2017 by involving 156 primigravida women who were over pregnancy 20 weeks in Seoul and Gyeonggi-d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특히, 초임부의 경우는 임신을 경험하면서 경산부에 비하여 주변의 상황에 대하여 좀 더 민 감하게 받아들일 수 있으며 우울 등의 부정적인 정서를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나[11] 초임부의 임신경험과 체중 증가에 따른 심리적 위험 요인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임부를 대상으로 임신경험과 임신 중 체중변화에 대한 태도를 파악하고, 임 신경험과 임신 중 체중변화에 대한 태도와의 상관관계를 조사함으로 이후 건강한 임신과 출산을 위한 간호중재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임부의 체질량지수관련 세계보건기구 아시아태평양 지역과 대한비만학회에서 제시된 과체중으로 진단하는 체질량지수는? 체질량지수는 비만도를 측정 하는데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지표이자 임신 기간 동안 임부의 체중 증가의 적정성 여부를 평가하는 기준이다[18]. 과체중과 비만 기준을 제시하는 체질량지수는 국가와 관련 단체마다 다소 차이가 있지만, 세계보건기구 아시아태평양 지역과 대한비만학회에서는 23 kg/m2 이상 의 체질량지수를 과체중으로 진단하고 있으며 이는 우리나라 성인에서 비만관련 질환이 25 kg/m2 를 기점으로 1.5배에서 2배 증가하는데 근거를 두고 있다[19]. 임부의 경우는 과체중과 비만을 따로 분리하지 않고 임신 전 체질량지수 18.
임부가 적정수준의 임신 중 체중 증가를 초과했을 경우 나타나는 부정적인 영향은? 현재 국민건강보험공단과 대한산부인과학회[6]는 태아를 보호하고 모체의 장기적인 건강 유지를 위해 우리나라 임부의 개별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에 근거한 적정수준의 임신 중 체중 증가를 권장하고 있으나, 최근 다양한 식생활 문화와 운동부족으로 인해 임신 중 체중 증가는 권장기준을 훨씬 능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7]. 임신 중 적정 수준 이상의 체중 증가는 출산 후 모체와 신생아 비만의 주요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8], 임부에게 부정적인 신체상뿐만 아니라 임신성고혈압에 걸릴 위험을 증가시키며 조기 양막파수, 거대아 출산 등의 고위험 임신 및 출산 요인을 가중시키는 것으로 작용하고 있다[9]. 이는 또한 임신경험에 대하여 부정적인 태도를 갖게 하며 임신기간 동안 임부의 삶의 질 저하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어[10] 임신 중 적절한 체중 증가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체질량지수란? 1%를 차지하였다. 체질량지수는 비만도를 측정 하는데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지표이자 임신 기간 동안 임부의 체중 증가의 적정성 여부를 평가하는 기준이다[18]. 과체중과 비만 기준을 제시하는 체질량지수는 국가와 관련 단체마다 다소 차이가 있지만, 세계보건기구 아시아태평양 지역과 대한비만학회에서는 23 kg/m2 이상 의 체질량지수를 과체중으로 진단하고 있으며 이는 우리나라 성인에서 비만관련 질환이 25 kg/m2 를 기점으로 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Lowdermilk DL, Perry SE, Cashion K, Alden KR. Maternity & women's health care. 11th ed. St. Louis, MO: Elsevier; 2016. p. 301-306. 

  2. Huang J, Li HJ, Wang J, Mao HJ, Jiang WY, Zhou H, et al. Prenatal emotion management improves obstetric outcomes: a randomized control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Clinical and Experimental Medicine. 2015;8(6):9667-9675. 

  3. Kang SK, Choi JH, Chung MR. The relationships among pregnant women and their spouses' communications with their parents, marital communications, stress-coping style, and subjective well-being. Journal of Children's Literature and Education. 2015;16(3):529-551. 

  4. Turk R, Sakar T, Erkaya R. The effect of pregnancy on happiness. Procedia-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2017;237:1247-1253. 

  5. Mehta UJ, Siega-Riz AM, Herring AH. Effect of body image on pregnancy weight gain. Maternal and Child Health Journal. 2011;15(3):324-332. 

  6. Sung SC. Maternal obesity management. Seoul: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 Korean Society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2016. p. 1-8. 

  7. Kim M, Kim HJ, Shin G. Exercise patterns and factors affecting exercise time in pregnant women.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2017;19(4):258-265. 

  8. Muktabhant B, Lawrie TA, Lumbiganon P, Laopaiboon M. Diet or exercise, or both, for preventing excessive weight gain in pregnancy.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015;(6):CD007145. 

  9. Toma R, Aoki S, Fujiwara K, Hirahara F. Associations of pre-pregnancy obesity with adverse pregnancy outcomes and the optimal gestational weight gain in Japanese women. Clinical and Experimental Obstetrics & Gynecology. 2017;44(2):190-194. 

  10. McCarthy EA, Walker SP, Ugoni A, Lappas M, Leong O, Shub A. Self-weighing and simple dietary advice for overweight and obese pregnant women to reduce obstetric complications without impact on quality of life: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BJOG: An International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aecology. 2016;123(6):965-973. 

  11. Li Y, Zeng Y, Zhu W, Cui Y, Li J. Path model of antenatal stress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Chinese primipara in late pregnancy. BMC Pregnancy and Childbirth. 2016;16(1):180-187. 

  12. Faul F, Erdfelder E, Lang AG, Buchner A.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2007;39(2):175-191. 

  13. DiPietro JA, Christensen AL, Costigan KA. The pregnancy experience scale-brief version. Journal of Psychosomatic Obstetrics and Gynaecology. 2008;29(4):262-267. 

  14. Palmer JL, Jennings GE, Massey L. Development of an assessment form: attitude toward weight gain during pregnancy. Journal of the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1985;85(8):946-949. 

  15. Statistics Korea. Birth statistics in 2017. Daejeon: Statistics Korea; 2018. p. 4. 

  16. Statistics Korea. Women's life based on the statistics in 2018. Daejeon: Statistics Korea; 2018. p. 24. 

  17. The Korea Times. 2.5 times increase in sexually transmitted disease [Internet]. Seoul: Lee ST; 2017 [cited 2019 Jan 10]. Available from: http://www.hankookilbo.com/News/Read/201710131033777083. 

  18. Women's Health Nursing Study Community. Women's health nursing. 8th ed. Paju: Soomoonsa; 2016. p. 116. 

  19.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Body mass index, BMI [Internet]. Seoul: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2017 [cited 2019 Jan 10]. Available from: http://www.kosso.or.kr/general/general/sub02.html. 

  20. Ovesen P, Rasmussen S, Kesmodel U. Effect of prepregnancy maternal overweight and obesity on pregnancy outcome. Obstetrics and Gynecology. 2011;118(2 Pt 1):305-312. 

  21. Ha JY, Kim HJ, Kang CS, Park SC. An association of gestational weight gain and prepregnancy body mass index with perinatal outcomes.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 Gynecology. 2011;54(10):575-581. 

  22. Haugen M, Brantsæter AL, Winkvist A, Lissner L, Alexander J, Oftedal B, et al. Associations of pre-pregnancy body mass index and gestational weight gain with pregnancy outcome and postpartum weight retention: a prospective observational cohort study. BMC Pregnancy and Childbirth. 2014;14(1):201. 

  23. Seol KO, Park SY, Park JE. Materialism, lookism and disordered eating symptoms among young adult women: social comparison and body dissatisfaction as mediators.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016;28(3):875-896. 

  24. Heery E, Wall PG, Kelleher CC, McAuliffe FM. Effects of dietary restraint and weight gain attitudes on gestational weight gain. Appetite. 2016;107:501-510. 

  25. Golian Tehrani S, Bazzazian S, Dehghan Nayeri N. Pregnancy experiences of first-time fathers in Iran: a qualitative interview study. Iranian Red Crescent Medical Journal. 2015;17(2):e12271. 

  26. Van der Gucht N, Lewis K. Women's experiences of coping with pain during childbirth: a critical review of qualitative research. Midwifery. 2015;31(3):349-358. 

  27. Bayrampour H, McDonald S, Tough S. Risk factors of transient and persistent anxiety during pregnancy. Midwifery. 2015;31(6):582-589. 

  28. Hill B, Skouteris H, McCabe M, Fuller-Tyszkiewicz M. Body image and gestational weight gain: a prospective study. Journal of Midwifery & Women's Health. 2013;58(2):189-194. 

  29. Langer O. Prevention of obesity and diabetes in pregnancy: is it an impossible dream? Americ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2018;218(6):581-58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