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소병원 간호사의 피로와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와의 관계
Relationships of Fatigue to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Clinical Nurses at Small & Medium-Sized Hospital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4 no.9, 2013년, pp.4218 - 4226  

최소은 (목포대학교 간호학과) ,  김상돌 (강원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중소병원 간호사의 피로와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와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대상자는 K시와 B시에 위치한 2 곳의 중소병원 간호사 162명 이었고, 자료수집 기간은 2013년 2월 1일부터 28일까지 이었다. 자료분석카이제곱검정, t-test, ANOVA, Scheff$\acute{e}$ test 및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를 사용하였다. 높은 수준의 피로는 직무만족 및 동료 하부요인과 각각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r=-0.29, p=.0214; r=-0.29, p=.0239), 이직의도와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33, p=.0089). 또한 직무만족은 승진 및 전반적인 직무만족 하부요인이 이직의도와 각각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17, p=.0268; r=-0.19, p=.0144). 그러므로 간호관리자는 피로 유발요인 및 이직의도를 예방하고 감소시키기 위하여, 직장내 동료와의 관계, 승진 및 전반적인 직무만족 하부요인 등을 충분히 숙고하여 안전한 작업환경을 조성하고, 효과적인 조직관리시스템을 적용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is a descriptive study to identify relationships of fatigue to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clinical nurses. The subjects were 162 clinical nurses at 2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in K and B citie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February 1st throughout 28th, 2013. The coll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자는 간호 직원들의 이직의 도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이직의도의 원인변수를 탐색 하여 그 원인을 해결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것으로 추정 하였다. 그리하여 본 연구자는 선행연구 결과를 토대로, 중소병원의 간호현장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들의 피로 변수가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와의 상관성이 있는지 궁금하였고 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중소병원 간호사의 피로와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와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 대상자는 K시와 B시에 소재한 300병상 미만의 2개의 중소병원 간호사 162명을 대상으로 전수 조사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연구대상 병원에서 간호부장 및 간호단위의 간호관리자들에게 연구의 개요를 설명하고 협조 및 허락을 얻어, 연구 참여에 대한 서면동의서를 받은 후 설문지 작성법을 설명하였다. 자료 수집기간은 2013년 2월 1일부터 2013년 2월 28일까지 이었으며, 총 170부를 배부하여 162부가 회수되어 총 95%의 응답율을 보였고, 162부를 통계분석에 사용하였다.
  • 또한 대학병원은 물론 간호 인력난이 보다 심각한 중소병원의 간호관리자들은 직원들의 이직의 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방안들을 모색하고 있다[5]. 이에 본 연구자는 간호 직원들의 이직의 도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이직의도의 원인변수를 탐색 하여 그 원인을 해결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것으로 추정 하였다. 그리하여 본 연구자는 선행연구 결과를 토대로, 중소병원의 간호현장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들의 피로 변수가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와의 상관성이 있는지 궁금하였고 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 선행연구들에서 간호사수가 부족한 원인으로 직무만족을 주요변수로 추정 또는 확인 중에 있으나 간호직무 관련 산업피로에 대해서는 소홀히 다루는 경향이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선행연구들을 통해 산업피로로 인해 직무만족이 저하되거나 혹은 이직의도를 갖게 되리라고 추정하였고 이를 확인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피로는 무엇인가? 피로는 지나친 육체적, 정신적 활동으로 초래되는 지침(tiredness)의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11], 본 연구에서는 한국산업안전공단에서 개발한 다차원 피로척도(MFS) 19문항으로 측정한 점수를 말한다[1]. 이 척도는 전반적인 피로 8개 항목, 일상생활기능장애 6개 항목, 상황적 피로 5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고, 응답 점수 범위는 1점에서 7점까지로 최소 1점에서 최대 133점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주관적으로 지각하는 피로정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Jamal(1984)은 직무만족을 무엇이라 하였는가? Jamal(1984)에 의하면 직무만족이란 개인이 직무에 대해 호의적으로 느낀 감정적, 정서적 평가로서의 개인의 반응이며, 과제 또는 직무에 대한 감정적 반응 정도이다[20]. 본 연구에서는 송윤정(2011)이 직무기술지표와 미네소타 대학 부설연구소에서 개발한 직무만족 요인을 토대로 Sauders Herzberg의 2요인 이론에 입각하여 개발한 도구를 이용해 측정하였다.
미국에서 간호사의 피로로 인하여 몇 건의 사고가 발생하였는가? 즉, 간호사의 피로는 간호사로 하여금 근무 시 의식이 명료하지 못하게 하고, 업무의 집중도를 저하시켜 일을 마무리하는데 방해가 되며, 불안한 행동과 더불어 환자간호에 필수적으로 수반되는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하지 못하게 하는 사례를 유발하고 있다. 이로 인해 미국에서는 한 해 동안 100,000건 이상의 간호사 고가 발생되고 있다[2]. 이울러 간호사의 피로는 환자안전은 물론 간호사로 하여금 직무에 대한 만족을 떨어뜨리고 무단결근을 하거나 이직을 고려하다가 결국 직장을 그만두게 하기도 하는 위험요소로 작용하고 있다[4-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S. J. Chang, S. B. Koh, M. G. Kang, et al., "Correlates of self-related fatigue in korean employees",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Public Health, Vol. 38, No. 1, pp. 71-81, 2005. 

  2. S. Tabone, "Nurse fatigue: the human factor. Texas Nursing", Vol. 78, No. 5, pp. 8-10, 2004. 

  3. Canadian Nurse Association, "Evaluating the impact of nurse fatigue on patient safety", Canadian Nurses, Vol. 104, No. 8, p. 18, 2008. 

  4. S. Tabone, "Data suggest nurse fatigue threatens patient safety: is prescribing the nurse's work hours the only answer?", Texas Nursing, Vol. 78, No. 2, pp. 4-7, 2004. 

  5. L. M. Barker & M. A. Nussbaum, "Fatigue, performance and the work environment: a survey of registered nurse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 67, No. 6, pp. 1370-1382, DOI: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10.05597.x 

  6. L. M. Barker & M. A. Nussbaum, "The effects of fatigue on performance in simulated nursing work", Ergonomics, Vol. 54, No. 9, pp. 815- 29, 2011. DOI: http://dx.doi.org/10.1080/00140139.2011.597878 

  7. K. Reed, "Nursing fatigue and staffing costs: What's the connection?", Nursing Management, Vol. 44, No. 4, pp. 47-50, DOI: http://dx.doi.org/10.1097/01.NUMA.0000428198.52507.0a 

  8. Ministry of Health & Welfare, OECD Health Data 2012[cited 2012 September 4], Available From: http://www.mw.go.kr(accessed May 11, 2013) 

  9. M. Sandy, "Effects of rotating night shifts: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 50, No. 4, pp. 433-439, 2005. DOI: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05.03409.x 

  10. M. J. Schaffner, "Sourc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work-related nurse fatigue: a preliminary evidence-based model",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Medical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2006. 

  11. E. S. Choi & M. S. Song, "Concept analysis : Fatigue", Journal of Korean Woman's Healthcare Nursing, Vol. 9, No. 1, pp. 61-69, 2003. 

  12. K. M. Lee, "Study on relationship of work stress, fatigue, and job satisfaction of emergency room nurses. Unpublished master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2003. 

  13. M. O. Oh, M. H. Sung, & Y. W. Kim, "Job stress, job satisfaction and commitment to organization in emergency department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ol. 17. No. 2, pp. 215-229, 2011. 

  14. H. Y. So, H. S. Yoon, & Y. C. Cho, "Effects of quality of sleep and related factors for fatigue symptoms of nurses in an university hospital", Journal of Korean Adult Nursing, Vol. 20, No. 4, pp. 513-525, 2008. 

  15. Y. S. Byeon, "The effects of 2 or 3 shift rotation on the fatigue and sleep", The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ol. 7, No. 2, pp. 5-15, 2005. 

  16. H. Y. Jun, J. H. Park, & H. B. Yim,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the fatigue of clinical nurses", Bulletin of Dongnam Health College, Vol. 18, no. 2, pp. 95-107, 2000. 

  17. K. H. Lee, & J. Y. Kim, "Effects of shiftwork nurses' fatigue on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ol. 20, No. 1, pp. 74-82, 2011. DOI: http://dx.doi.org/10.5807/kjohn.2011.20.1.074 

  18. S. Y. Kim, I. S. Kwon, & Y. C. Cho,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fatigue symptoms among nurses in a university hospital", Journal of the Korea Academi-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3, No. 4, pp. 1759-1768, 2012. 

  19. S. N. Park, "The effect of aroma inhalation on sleep and fatigue recovery in night shift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ashon University of Medicine and Science, Incheon, 2011. 

  20. Y. J. Song, "Study on the effect of emotional hardship 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of nurses", Unpublished master thesis, Catholic University, Seoul, 2011. 

  21. S. M. Wi, & Y. J. Yi, "Influence of emotional labor on job satisfaction, intent to leave, and nursing performance of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18, No. 3, pp. 310-39, 2012. DOI: http://dx.doi.org/10.11111/jkana.2012.18.3.310 

  22. B. J. Jeong, H. S. Kim, & S. K. Hwang, et al., "A study on according to the nursing shortage of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 5, No. 1. pp. 15-29,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