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한국의 식용 천일염 수요 및 공급 규모를 예측한 내용을 담고 있다. 2007년 염관리법 규정에 의해 식용으로 허용된 천일염은 그 이전에는 광물로 분류되어있었기 때문에 식용 천일염 관련 별도의 연도별 통계자료가 정비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최근 식용 천일염에 대한 소비자 수요증대와 더불어, 산업계에서 시장규모 파악 및 그 성장가능성에 대한 관심이 높다. 이 연구는 식용 천일염 수급 추정을 위한 관련 자료가 제한적인 상황에서 생산을 위한 기후여건, 생산업체 현황, 소비추세, 수출입 동향 등을 고려하여 식용 천일염 수요 및 공급규모를 예측하였다. 연구결과, 2013-2017년 동안 생산량은 222-384천 톤 수준, 수입량은 498-565천 톤, 수출량은 2.67-3.62천 톤, 소비량은 767-996천 톤 수준에 이를 것으로 예측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contains material of the supply-demand forecasting of solar salt for food in Korea. The solar salt was granted admission for food by the act of salt management in 2007. So, the yearly statistics of solar salt for food are not enough to forecast the supply-demand unsing econometrics. Howe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7]은 천일염 주산지인 전남 신안군의 생산자조직에 관한 연구를 바탕으로, 천일염 산업의 안정적인 기반조성을 위한 제도적, 행정적 발전방안을 모색하고 생산자조직의 역할 제고방안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는 천일염 산업 발전을 뒷받침하기 위해 필요한 제도를 정비하고 지원정책을 강구해야 할 정부의 노력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며, 정부차원의 종합적인 연차별 중장기 육성계획이 수립되어야 함을 지적하였다. Go[3]은 국내 천일염 산업의 현황파악을 시도하였고,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하여 천일염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계측하였다.
  • 그러나 2007년 이후 식용으로 허용되어, 분석을 위한 연도별 통계자료가 충분치 않아 관련 연구가 극히 미진한 실정이다. 이 연구는 통계자료가 제한적인 상황에서, 염전면적 변화추이, 산업계의 생산동향, 수출입동향, 소비추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식용 천일염에 대한 2013-2017년 동안의 수요 및 공급 규모를 예측한 내용을 소개하고 있다[1].

가설 설정

  • 즉, 2012년 2.4천 톤(2009∼2011 3개년 평균) 수준에서 향후 5년 이후인 2017년에 3.6천 톤까지 약 50% 증가하는 상황을 반영하고, 연도별 전기재고 수준은 연 5만 톤 수준이 유지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천일염의 특징은? 한국에서 천일염은 1963년 「염관리법」제정이래 45년간 광물로 분류되어 있었으나, 그 식용 가치가 주목되면서 2007년 11월 「염관리법」의 개정을 통해 식용으로 허용되었다. 한국에서 생산되는 식용 천일염은 주로 남해안과 서해안 지역에서 생산되고 있으며, 염화나트륨 순도가 80∼86%로 낮지만, 미네랄 성분이 풍부하여 세계에서 명품소금으로 알려져 있는 프랑스의 게랑드 소금 및 이탈리아의 코마치오 소금과 비교해도 품질이 손색이 없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1-3]. 최근 한국 식용 천일염에 대한 수요 증대와 더불어 산업계는 식용 천일염 시장의 수급규모 및 그 성장가능성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다[9].
전남 신안군과 영광군 지역에서 생산하는 소금의 차이는? 국내 천일염 생산시설은 전남 신안군과 영광군 지역에 대부분 집중되어 있다. 신안군에서 대부분 식용 소금을 생산하고 있는 반면, 영광군에서는 식가공용을 주로 생산하고 있다[4,8,10].
한국에서 생산되는 식용 천일염은 어디서 생산되는가? 한국에서 천일염은 1963년 「염관리법」제정이래 45년간 광물로 분류되어 있었으나, 그 식용 가치가 주목되면서 2007년 11월 「염관리법」의 개정을 통해 식용으로 허용되었다. 한국에서 생산되는 식용 천일염은 주로 남해안과 서해안 지역에서 생산되고 있으며, 염화나트륨 순도가 80∼86%로 낮지만, 미네랄 성분이 풍부하여 세계에서 명품소금으로 알려져 있는 프랑스의 게랑드 소금 및 이탈리아의 코마치오 소금과 비교해도 품질이 손색이 없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1-3]. 최근 한국 식용 천일염에 대한 수요 증대와 더불어 산업계는 식용 천일염 시장의 수급규모 및 그 성장가능성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다[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Choi, Byung-Ok, et al., Research on the Feasibility Study for the Establishment of Salt Research Center, Research Paper(C201238),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2012. 

  2. Doo, Jeong Wan, "The Rationalization of the Distribution Structure of Sun-dried Salt-focused on Shinangun, Jeollanamdo-", Journal of Korean Island, Vol. 23 No. 4, pp. 67-84, 2011. 

  3. Go, Du-Gab, "A Study on the Economic Impact Effect of the Solar Salt Production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Vol. 21 No. 1, pp. 1-28, 2009. 

  4. Gwak, Min-Sun, A Study on the Development Scheme of Korean Salt Industry,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2005. 

  5. Han, Jae-Hwan and Byung-Ok Choi, Policy Issues of Sea Salt Industry, Research Paper(D289),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2011. 

  6. Jeon, Chang-Gon, et al, Mid to Long-Term Development Strategy for Soal Salt Processing Industry, Research Paper(R633-4),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2011. 

  7. Kim, Jong-Ik and Na-Young Park, "A Study on the Strategic Alternatives for Role of Organizations of Organic Salt Producers and Development of Organic Salt Industry", The Korean Journal of Cooperative Studies, Vol. 26 No. 2, pp. 131-149, 2009. 

  8. Lee, Je Hong, "A Study on Efficiency of the Solar Salt Production in Shinangun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Journal of Korean Island, Vol. 23 No. 4, pp. 85-100, 2011. 

  9. Park, Jong Hwan, et al, Final Research Paper of the Study on the Mid to Long-Term Outlook of Supply-Demand of Korean Solar Salt, Industry Academy Cooperation Foundation, Mokpo National University, 2011. 

  10. Roskill Information Services Ltd. Salt: Global Industry Markets and Outlook, 13th Edition, ISBN 978-0-86214-569-9,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