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T2 강조 복부자기공명영상에 대한 최적의 지방소거 기법의 정량적 평가 : TSE-SPIR 와 GE-PROSET 비교
Quantitative Evaluation of Optimized Fat-Suppression Techniques for T2 Weighted Abdominal MR Imaging : Comparison of TSE-SPIR and GE-PROSET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4 no.10, 2013년, pp.4962 - 4969  

구은회 (청주대학교 방사선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실험의 목적은 TSE-SPIR 지방소거기법과 GE-PROSET 지방소거기법을 비교하여 복부자기공명영상에서 최적의 T2 강조 지방소거기법을 평가하고자 한다. 자기공명영상 검사는 16채널 다중채널을 사용하여 1.5 T(Philips, Medical System, Achieva)기기로 수행하였다. 모든 영상은 TSE-SPIR과 GE-PROSET을 이용하여 축면상(axial plane)을 얻었다. TSE-SPIR과 GE-PROSET에 대한 후복막 지방의 평균 SNRs는 31.50, 4.15 이었으며, 장간막 지방에 대한 SNRs는 32.39, 7.03이었다. TSE-SPIR과 GE-PROSET에서 장과 후복막 지방, 장간막 지방의 CNRs는 152.69, 74.54 와 26.12, 68.78이었다. 장벽에 대한 묘출도는 TSE-SPIR(2.4), GE-PROSET(1.8)로 TSE-SPIR가 높게 나타났으며, 췌장벽(pancreas wall)에 대한 묘출도는 TSE-SPIR(1.90), GE-PROSET(2.80)로 GE-PROSET가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T2 강조 지방소거 복부자기공명영상에서 GE-PROSET 지방소거기법 보다 TSE-SPIR 지방소거기법이 우위성 있은 평가를 얻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 is to evaluate of optimized FS techniques for T2 weighted abdominal MRI compared of TSE-SPIR fat suppression and GE-PROSET fat suppression. All MR examinations were performed on a 1.5 T(Philips, Medical System, Achieva) scanner using 16 channel mult-coils. All images w...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TSE 지방소거기법은 GE 지방소거기법에 비해 검사 소요시간이 길기 때문에 환자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에는 움직임이 있는 영상보다 영상의 질은 떨어지지만 움직임이 없는 영상이 환자에 대한 정보를 더욱더 많이 제공하기 때문에 GE 지방소거기법에 대한 대처가능성을 고려할 필요성이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실험의 목적은 1.5T MRI 기기를 사용하여 복부 검사 시 지방소거기법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TSE-SPIR과 GE-PROSET 기법을 비교하여 병변을 묘출하는데 가장 적합한 지방소거 기법을 알아보고, 정량적 평가를 통하여 두 기법에 대한 임상적 유용성을 고려하고자 한다.
  • GE-PROSET 지방소거 기법은 TSE-SPIR 기법보다 낮은 평가를 얻었지만, 복부 내 췌장을 비롯하여 주변장기를 묘출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므로 복부 질환에 대한 임상적 가치로 유용한 기법이라고 생각한다. 이에 본 저자는 두 기법에 대한 장, 단점을 고려하여 볼 때 복부질환에 대한 지방소거 검사 시 두 기법에 대한 장점을 적용하여 적절하게 사용하기를 권장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기공명영상은 무엇을 가지고 있는가? 자기공명영상은(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은 물과 지방 사이에 화학적 이동현상을 가지고 있다. 지방은 기본적으로 강한 신호를 가지고 있어 잘못된 인공물을 형성하기도 한다.
기존 보고에서 GE 지방소거기법은 HASTE 지방소거 기법에 비하여 정성적 분석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지만 본 실험에서는 어떤 결과가 나왔는가? 기존 보고에서 GE 지방소거기법은 HASTE 지방소거 기법에 비하여 정성적 분석에서 96 %와 60 %로 HASTE 지방소거 기법에 비하여 GE 지방소거기법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22]. 그러나 본 실험에서 TSE 지방소거 기법과 GE 지방소거 기법을 비교했을 때 정량적, 정성적 평가결과가 83.3%와 13.3%로 췌장묘출을 제외하고 모두 TSE 지방소거 기법이 우위의 결과를 얻었다(Table 1, p<0.05). GE-PROSET 기법은 TR을 짧게 하여 지방소거를 할 수가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204ms로 최대한 작게 설정하여 실험을 하였다.
지방은 무엇을 형성하는가? 자기공명영상은(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은 물과 지방 사이에 화학적 이동현상을 가지고 있다. 지방은 기본적으로 강한 신호를 가지고 있어 잘못된 인공물을 형성하기도 한다. 지방소거(fat suppression)를 통해 영상을 얻는데 가장 기본이 되는 방법으로 화학적 이동 선택포화(chemical shift selective saturation; CHESS)기법이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T.W. Chan, J. Listerud, H. Y. Kressel, "Combined chemical-shift and phase-selective imaging for fat suppression: theory and initial clinical experience", Radiology, Vol. 181, No. 1, pp. 41-47, 1991. 

  2. K. Darge, S. A. Anupindi, D. Jaramillo, " MR Imaging of the Abdomen and Pelvis in Infants, Children, and Adolescents" Radiolgy, Vol. 261, No. 1, pp. 12-29, 2011. 

  3. A. M. Naraghi, L. M. White, C. Patel, G. Tomlinson, E. C. Keystone, " Comparison of 1.0-T Extremity MR and 1.5-T Conventional High-Field-Strength MR in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Radiology, Vol. 251, No. 3, pp. 829-837, 2009. DOI: http://dx.doi.org/10.1148/radiol.2521081507 

  4. A. Oto, R. D. Ernst, R. Shah, M. Koroglu, G. Chaljub, A. F. Gei, N. Zacharias, G. Saade, " Right-lower-quadrant pain and suspected appendicitis in pregnant women: evaluation with MR imaging. initial experience", Radiology Vol. 234, No. 2, pp. 445-451, 2005. DOI: http://dx.doi.org/10.1148/radiol.2341032002 

  5. F. Maccioni, A. Bruni, A. Viscido, M. C. Colaiacomo, A. Cocco, C. Montesani, R. Caprilli, M. Marini, "MR imaging in patients with Crohn disease: value of T2- versus T1-weighted gadolinium-enhanced MR sequences with use of an oral superparamagnetic contrast agent", Radiology, Vol. 238, No. 2, pp. 517-530, 2006. DOI: http://dx.doi.org/10.1148/radiol.2381040244 

  6. J. Florie, M. N. Wasser, K. Arts-Cieslik, E. M. Akkerman, P. D. Siersema, J. Stoker, "Dynamic contrast-enhanced MRI of the bowel wall for assessment of disease activity in Crohn's disease", AJR Am J Roentgenol, Vol. 186, No. 5, pp. 1384-1392, 2006. DOI: http://dx.doi.org/10.2214/AJR.04.1454 

  7. M. M. von Falkenhausen, G. Lutterbey, N. Morakkabati -Spitz, O. Walter, J. Gieseke, R. Blomer, W. A. Willinek, H. H. Schild, C. K. Kuhl, "High-Field-Strength MR Imaging of the Liver at 3.0 T: Intraindividual Comparative Study with MR Imaging at 1.5 T", Radiology, Vol. 241, No. 1, pp. 156-166, 2006. DOI: http://dx.doi.org/10.1148/radiol.2411051221 

  8. Y. Hirokawa, H. Isoda, Y. S. Maetani, S. Arizono, K. Shimada, T. Okada, T. Shibata, K. Togashi, "Hepatic Lesions: Improved Image Quality and Detection with the Periodically Rotated Overlapping Parallel Lines with Enhanced Reconstruction Technique-Evaluation of SPIO-enhanced T2-weighted MR Images", Radiology, Vol. 251, No. 2, pp. 388-397, 2009. DOI: http://dx.doi.org/10.1148/radiol.2512081360 

  9. J. Augui, O. Vignaux, C. Argaud, J. Coste, H. Gouya, P. Legmann, "Liver: T2-weighted MR Imaging with Breath-hold Fast-Recovery Optimized Fast Spin-Echo Compared with Breath-hold Half-Fourier and Non-Breath-hold Respiratory-triggered Fast Spin-Echo Pulse Sequences", Radiology, Vol. 223, No. 3, pp. 853-859, 2002. DOI: http://dx.doi.org/10.1148/radiol.2233011011 

  10. T. Yokoo, M. Bydder, G. Hamilton, M. S. Middleton, A. C. Gamst, T. Wolfson, T. Hassanein, H. M. Patton, J. E. Lavine, J. B. Schwimmer, C. B. Sirlin, "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Diagnostic and Fat-Grading Accuracy of Low-Flip-Angle Multiecho Gradient-Recalled-Echo MR Imaging at 1.5 T", Radiology, Vol. 251, No. 1, pp. 67-76, 2009. DOI: http://dx.doi.org/10.1148/radiol.2511080666 

  11. C. Muhle, J. Metzner, G. Brinkmann, B. Kuhn, L. Bischoff, A. Hutzelmann, F. Wesner, M. Heller, "Comparison of T2-weighted turbo spin-echo and ultrafast HASTE sequence in the diagnosis of cervical myelopathies and spinal stenoses and static and kinematic MRT of the spine", Rofo., Vol. 167, No. 5, pp. 467-73, 1997. DOI: http://dx.doi.org/10.1055/s-2007-1015565 

  12. E. L. Hahn , "Spin Echoes", Physics Review. Vol. 80, pp. 580-594, 1950. DOI: http://dx.doi.org/10.1103/PhysRev.80.580 

  13. T. C. Lauenstein, P. Sharma, T. Hughes, K. Heberlein, D. Tudorascu, D. R. Martin, " Evaluation of Optimized Inversion-Recovery Fat-Suppression Techniques for T2-Weighted Abdominal MR Imaging", Journal of Magnetic Resonance Imaging, Vol. 27, No. 6, pp. 1448-1454, 2008. DOI: http://dx.doi.org/10.1002/jmri.21350 

  14. M. R. Schmid, J. Hodler, P. Vienne, C. A. Binkert, M. Zanetti, "Bone Marrow Abnormalities of Foot and Ankle: STIR versus T1-weighted Contrast-enhanced Fat-suppressed Spin-Echo MR Imaging", Radiology, Vol. 224, No. 2, pp.463-469, 2002, DOI: http://dx.doi.org/10.1148/radiol.2242011252 

  15. M. A. Brown, R. C. Semelka, "MR Imaging Abbreviations, Definitions, and Descriptions: A Review", Radiology, Vol. 213, No. 3, pp. 647-662, 1999. 

  16. G. M. Kukuk, J. Gieseke, S. Weber, D. R. Hadizadeh, M. Nelles, F. Traber, H. H Schild, W. A. Willinek, " Focal Liver Lesions at 3.0 T: Lesion Detectability and Image Quality with T2-weighted Imaging by Using Conventional and Dual-Source Parallel Radiofrequency Transmission", Radiolgoy, Vol. 259, No. 2, pp. 421-428, 2011. DOI: http://dx.doi.org/10.1148/radiol.11101429 

  17. E. M. Hecht, A. E. Holland, G. M. Israel, W. Y. Hahn, D. C. Kim, A. B. West, J. S. Babb, B. Taouli, V. S. Lee, G. A. Krinsky, " Hepatocellular Carcinoma in the Cirrhotic Liver: Gadolinium-enhanced 3D T1-weighted MR Imaging as a Stand-alone Sequence for Diagnosis", Radiology, Vol. 239, No. 2, pp. 438-447, 2006. DOI: http://dx.doi.org/10.1148/radiol.2392050551 

  18. O. Hauger, E. Dumont, J. F. Chateil, M. Moinard, F. Diard, " Water Excitation as an Alternative to Fat Saturation in MR Imaging: Preliminary Results in Musculoskeletal Imaging", Radiology, Vol. 2002, No.3, pp.657-663, 2002. DOI: http://dx.doi.org/10.1148/radiol.2243011227 

  19. B. Turkbey, P. A. Pinto, H. Mani, M. Bernardo, Y. Pang, Y. L. McKinney, K. Khurana, G. C. Ravizzini, P. S. Albert, M. J. Merino, P. L. Choyke, " Prostate Cancer: Value of Multiparametric MR Imaging at 3T for Detection?Histopathologifc Correlation", Radiology, Vol. 225, No. 1, pp. 89-99, 2010. DOI: http://dx.doi.org/10.1148/radiol.09090475 

  20. Y. K. Kim, W. J. Lee, M. J. Park, S. H. Kim, H. Rhim, and D. G. Choi, " Hypovascular Hypointense Nodules on Hepatobiliary Phase Gadoxetic Acid-enhanced MR Images in Patients with Cirrhosis: Potential of DW Imaging in Predicting Progression to Hypervascular HCC", Radiology, Vol. 265, No. 1, pp. 104-114, 2012. DOI: http://dx.doi.org/10.1148/radiol.12112649 

  21. M. W. Wilson, R. K. Kerlan, N. A. Fidelman, A. P. Venook, M. L. Berge, J. Koda, R. L. Gordon, " Hepatocellular Carcinoma: Regional Therapy with a Magnetic Targeted Carrier Bound to Doxorubicin in a Dual MR Imaging/ Conventional Angiography Suite-Initial Experience with Four Patients", Radiology, Vol. 230, No. 1, pp. 287-293, 2004. DOI: http://dx.doi.org/10.1148/radiol.2301021493 

  22. R. N. Low, C. P. Sebrechts, D. A. Politoske, M. T. Bennett, S. Flores, R. J. Snyder, J. H. Pressman, "Crohn Disease with Endoscopic Correlation: Single-Shot Fast Spin-Echo and Gadolinium-enhanced Fat-suppressed Spoiled Gradient-Echo MR Imaging", Rdadiology, Vol. 222, No. 3, pp. 652 - 660, 2002. 

  23. A. B. Rosenkrantz, P. Storey, A. G. Gilet, B. E. Niver, J. S. Babb, C. H. Hajdu, V. S. Lee, " Magnetization Transfer Contrast-prepared MR Imaging of the Liver: Inability to Distinguish Healthy from Cirrhotic Liver", Radiology, Vol. 262, No. 1, pp.136-143, 2012. DOI: http://dx.doi.org/10.1148/radiol.11111043 

  24. M. W. Ahn, U. S. Kim, G. B. Kim," Usefulness of the ProSet MRI for Diagnosis of the Extraforaminal Disc Herniation", J Korean Soc Spine Surg., Vol. 20, No. 1, pp. 28-33, 2013. DOI: http://dx.doi.org/10.4184/jkss.2013.20.1.28 

  25. L. Z. Yi," The MRI PROSET Sequence Imaging and Clinical Application Value on Lumbosacral Nerve Root", Guangxi Medical University, 2009. 

  26. Alerci M, Oberson M, Fogliata A, Gallino A, Vock P, Wyttenbach R., "Prospective, intraindividual comparison of MRI versus MDCT for endoleak detection after endovascular repair of abdominal aortic aneurysms", Eur Radiol., Vol. 19, No. 5, pp. 1223-1231, 2009. DOI: http://dx.doi.org/10.1007/s00330-009-1318-5 

  27. N. Arai, T. Miyati, S. Matsunaga, Y. Motono, Y. Ueda, H. Kasai, Y. Suzuki, T. Matsuda, " New Method of Determining Regional Fat Fraction with Modulus and Real Multiple Gradient-echo(MRM-GRE)", Jpn J Radiol Technol., Vol. 63, No. 3, pp. 312-318, 2007. DOI: http://dx.doi.org/10.6009/jjrt.63.312 

  28. P. D. Friedman, S. V. Swaminathan, R. Smith, " SENSE Imaging of the Breast", AJR., Vol. 184, No. 2, pp. 448-451, 2005. DOI: http://dx.doi.org/10.2214/ajr.184.2.01840448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