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패션 디자인에 나타난 가상공간의 페르소나 표현
Virtual Space Persona Expressed in Fashion Illustration 원문보기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v.15 no.5, 2013년, pp.671 - 681  

김순자 (상명대학교 패션디자인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ersona means the mask of personality where the internal ego exposes itself to the outside. The complicated structure and diversity of contemporary society has provided men with a more variegated and diversified persona; in addition, advancements in internet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s creates th...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에서 몸은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의 몸은 정체성의 혼란과 부재의 문제를 다루는 근본으로 제기되고 있다. 또한 의복은 생물학적 존재인 몸을 커뮤니케이션 가능한 기호로서의 몸으로 전환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포스트모너니즘 시대의 관점에서 의복은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의 몸은 정체성의 혼란과 부재의 문제를 다루는 근본으로 제기되고 있다. 또한 의복은 생물학적 존재인 몸을 커뮤니케이션 가능한 기호로서의 몸으로 전환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인간의 사회성의 기반은 의복을 입은 몸이며 패션은 사회적 몸과 관련된 인간의 심리적 인식의 변화를 제시하는 것이다.
현대인이 겪는 자아상실과 존재감 부재와 같은 심리적 위기감은 어떤 현상으로 이어지는가? 한편으로 현대인들은 이러한 사회의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자아상실과 존재감의 부재라는 심리적 위기감에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위기감은 자신의 정체성을 사회적 요구와 가치 기준에 따라 의식적으로 형성하고 조절하는 인간의 페르소나적 성향을 외면에 드러나는 촉매제로 사용하게 되었고 이러한 시대적 흐름을 필연적으로 반영한 사회문화적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많은 학자들은 가상공간에서의 새로운 정체성을 페르소나로 규정하고 있다(Mackinnon, 1995: Turkle, 199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Azuma, H. (2007). Dobutsuka suru posutomodan 동물화하는 포스트 모더니즘 (U. M. Lee Trans.) Seoul: Munhakdongne. (Original work published 2001) 

  2. Bae, Y. J. (2002). A study on the persona formation in CMC.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oo. 

  3. Baek, U. I. (2003). Digital human. Culture & I, 6, 52-54. 

  4. Bromberg, H. (1996). Are MUDs communities? identity, belonging and consciousness in virtual worlds. In Bob Shields (Eds.), Cultures of internet: virtual spaces, real histories, living bodies. 143-152, London: Sage. 

  5. Castle, T. (1986). Masquerade and civilization. Stanford: Stanford University Press. 

  6. Campbell, J. (1976). The portable Jung. New York: Penguin Book. 

  7. Davies, H. (2009). British fashion designers. London: Laurence King Publishing Ltd. 

  8. Ellmann, R. (1979). The man and the mask. New york: Norton. 

  9. Hall, C. S., & Nordby, V. J. (2004). A primer of Jungian psychology. (H. S. Kim Trans). Seoul: Moonye Publishing Co. Ltd. (Original work published 1973) 

  10. Han, C. H. (2007). A case study on persona building in digital spa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11. Jean Paul Gaultier. (2004). Gap press, 58, p. 70. 

  12. Jenny Fax. (2012). Fashion News, 169. p. 60. 

  13. Junya Watanabe. (2008). Book Moda, 97, p. 159. 

  14. Kaneko Isao (2002). Book Moda, 62, p. 329. 

  15. Kim, K. H., & Lee, O. H. (2002). A study on symbolic of the mask dancing.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0(4), 404-418. 

  16. Kim, S. Y. (2008). The styles and characteristics of masks as expressed in modern fash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8(4), 13-25. 

  17. Lee, E. H. (2008). A study on art works pursue it of persona.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18. Lee, J. H. (2000). Internet and cyber society. Seoul: Communication Books. 

  19. Lee, M. J. (2003).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digital communication culture on modern fash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20. Lee, Y. K. (2001). A study on the formation of the self-identity in virtual spaces. Unpublished ma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1. Levy, P. (2002). Qu'est-ce que le virtuel? 디지털 시대의 가상현실 (J. Y. Jean Trans). Seoul: Kungree Press. (Original work published 1995) 

  22. Levi-Straus, C. (1979). The way of the masks. Seatt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3. Lim, S. M. (2004). The study of exposure and concealment in fashion. - Focusing on the Fruud's psychoanalysi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8(11), 1395-1403. 

  24. Mackinnon, R. C. (1995). Cybersociety: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and community. London: Sage. 

  25. Marjan Dejodjov Pejoski. (2001). Book Moda, 55, p. 214. 

  26. Martin Margiela. (2009). Book Moda, 104, p. 196. 

  27. Merci beaucoup. (2006). Book Moda, 85, p. 263. 

  28. Mikio Sakabe. (2012). Fashion News, 169, p. 65. 

  29. Ne-net. (2012). Style sigh. 4, p. 62. 

  30. Oh, J. Y. (2000). The studies of formative nature in mask depicting inner world of human be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31. Park, J. H. (2008). A study on specialty of persona item at fashion show.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Seoul. 

  32. Reid, E. (1991). Electro-polis: communication and community on internet relay chat. Intertek, 3(3), 7-15. 

  33. Rhi, B. Y. (1998). Analytical psychology. Seoul: Ilchokak. 

  34. Rhi, B. Y. (2002). Self and self-actualization. Seoul: Hangilsa Publishing Co. Ltd. 

  35. Shin, S. J. (2004). The research for the self-expression through social mark, persona.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ok-min university, Seoul. 

  36. Stein, M. (1998). Jung's map of the soul. Chicago: Caurs Publishing company. 

  37. The front line of fashion. (2009). Tokyo: BNN Inc. 

  38. Turkle, S. (1995). Life on the screen: Identity in the age of internet. New York: Simons & Schuster. 

  39. Undercover. (2006). Book Moda. 86, p. 137. 

  40. Wallace, P. M. (1999). The psychology of the internet.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1. Waskul, D., & Douglass, M. (1997). Cyberself: The emergence of self in on-line chat. Information Society, 13(4), 375-397. 

  42. Watt, J. (2012). Alexander Macqueen fashion visionary. London: Goodman Books. 

  43. Yim, E. H. (2007). Transfiguration in fashion desig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7(4), 70-80. 

  44. Zidianakis, V. (2006). Not a toy: fashioning radical characters. Berlin: Pictoplasma. 

  45. Zizek, S. (2007). How to read Lacan. (J. S. Park Trans.) Seoul: Woongin thinkbig. Co. Ltd. (Original work published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