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오령산의 고혈압 치료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임상 논문을 중심으로
A Systematic Review on Antihypertensive Effects of Oryeong-san 원문보기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The journal of internal Korean medicine, v.34 no.3, 2013년, pp.289 - 297  

이혜윤 (우석대학교 한의과대학 한의학과) ,  강기완 (우석대학교 한의과대학 한의학과) ,  이은 (우석대학교 한의과대학 한의학과) ,  이승호 (우석대학교 한의과대학 본초학교실) ,  한창호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내과학교실) ,  장인수 (우석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내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clinical studies on antihypertensive effects of Oryeong-san. Methods : We searched papers using KTKP, Oasis, CNKI, PubMed, Embase, Science Direct, CINAHL, J STAGE and CiNii, and the key words "Oryeong-san (韓)", "Wuling-san (中)", "Gorei-san (日)...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고혈압 치료제로서 일차 선택되는 양방의 이뇨제에 착안하여, 한방의 대표적 利水劑인 五苓散의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다음과 같이 고찰하고자 한다.
  • 이는 五苓散이 세포막에서 수분의 투과성을 높이는 aquaporin을 저해하여 이뇨작용을 나타내는 기전을 통해 입증된 것이다21,22. 이는 五苓散이 신세뇨관의 수분 재흡수 억제를 통한 이뇨 효과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thiazide계 이뇨제와 유사한 작용을 할 것으로 기대되는바, 본 연구에서는 五苓散의 고혈압 치료제로서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국내외의 여러 문헌을 대상으로 체계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그러나 연구 대상에 속하는 많은 논문이 동물이나 세포주, 혈관 절편을 활용한 실험 논문이었으며, 임상 연구는 많지 않았다2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혈압은 어떤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는가? 고혈압은 뇌혈관질환, 심장질환, 신부전증, 동맥경화증 등 심각한 합병증을 일으키는 만성질환으로1, 고혈압 기준은 2003년에 발표된 JNC 7지침(The seventh report of the Joint National Committee on Preventi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Pressure)에 따르면 수축기 혈압이 140 mmHg 이상 또는 확장기 혈압이 90 mmHg 이상이다2.
고혈압의 기준은 무엇인가? 고혈압은 뇌혈관질환, 심장질환, 신부전증, 동맥경화증 등 심각한 합병증을 일으키는 만성질환으로1, 고혈압 기준은 2003년에 발표된 JNC 7지침(The seventh report of the Joint National Committee on Preventi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Pressure)에 따르면 수축기 혈압이 140 mmHg 이상 또는 확장기 혈압이 90 mmHg 이상이다2.
이수제로서 五苓散은 어떤 작용을 하는가? 대표적인 이수제로서 五苓散을 들 수 있으며, 특히 五苓散은 일본의 신경외과 전문의들은 두통과 만성경막하혈종을 비롯한 뇌질환에 사용하여 부종을 방지하고 뇌압을 강하시키는 데 일차 선택으로 활용하고 있다. 이는 五苓散이 세포막에서 수분의 투과성을 높이는 aquaporin을 저해하여 이뇨작용을 나타내는 기전을 통해 입증된 것이다21,22. 이는 五苓散이 신세뇨관의 수분 재흡수 억제를 통한 이뇨 효과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thiazide계 이뇨제와 유사한 작용을 할 것으로 기대되는바, 본 연구에서는 五苓散의 고혈압 치료제로서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국내외의 여러 문헌을 대상으로 체계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대한고혈압학회. 고혈압. 서울: 대한의학서적; 2009, p. 7, 16, 91. 

  2. Chobanian AV, Bakris GL, Black HR, Cushman WC, Green LA, Izzo JL et al. The seventh report of the joint national committee on preventi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pressure: the JNC 7 report. JAMA 2003:2560-72. 

  3. 전국한의과대학심계내과학교실. 한방순환신경내과학. 서울: 군자출판사; 2010, p. 171. 

  4. 蔡光先, 越玉庸 主編. 中西醫結合內科學. 北京: 中國中醫學出版社; 2005, p. 181-91. 

  5. 정진원. 고혈압의 최신진료지침과 약제선택. 대한내과학회지 2011;80(3):283. 

  6. 한의과대학 방제학교수 공편저. 방제학. 서울: 영림사; 2003, p. 504-6. 

  7. 윤용갑. 동의방제와 처방해설. 서울: 의성당; 2007, p. 429-33. 

  8. 彭紹傑, 鄭方媛, 曾榮, 顧亞威. 施慧達聯合丹?五?散治療原發性高血壓80例療效觀察. 雲南中醫中藥雜志 2011;32(9):23-4. 

  9. 全毅紅. 加味五?散合六味地黃湯對早期高血壓腎 損害的作用?究. 首都醫藥 2011;下:44-6. 

  10. 範玉網. 五?散治療代謝綜合征的理論和臨床?究. 廣州中醫藥大學 博士學位論文 2012:1-50. 

  11. 星野 綾美, 巽 武司, 佐藤 浩子, 小暮 敏明, 伊 藤 克彦, ? 裕子, et al. アンギオテンシンIIレ セプタ?ブロッカ?でコントロ?ル不十分な高 血?症に五?散の?用が奏?した一例. 北關東?學 2009;59(2):176. 

  12. 胡智芬. 五?散加味聯合??酸??地平治療慢性 腎炎高血壓下肢水腫醫案一則. 實用中醫內科雜志 2012;26(8):65-6. 

  13. 朱沛?. 五?散治愈腎性高血壓. 四川中醫 1987:22. 

  14. 矢數道明. 用八物降下湯合五?散治療高血壓和浮腫. 醫學文選 1987:62-3. 

  15. ?大毛. 五?散對血壓、大便的雙相調節作用. 中國實驗方劑學雜志 1997;3(1):44-5. 

  16. Okabe T. Differential diagnosis of arterial hypertension by systems review and treatment with medicinal herbs: A preliminary report. Int Med J 2007; 14(2):113-6. 

  17. 보건복지부. 2011 국민건강통계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5기 2차년도. 질병관리본부; 2012, p. 415-20. 

  18. 이원로. JNC-7: 새로운 고혈압 관리지침의 개요. 심장과 혈관; 2003, p. 7. 

  19. 장인수, 한창호, 선승호, 황의형. 고혈압 한의 임상진료지침. In 보건복지부. 한의약 만성질환 관리제도 도입 방안 연구. 2012, p. 195-271. 

  20. 박경호, 최학주, 노성수, 구영선, 김동희. 청열도 담탕이 고혈압에 미치는 영향.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7;21(3):626-33. 

  21. 장인수, 권승원, 김경욱. 뇌혈관질환에 대한 五?散 치료의 일본 유용성 : 2011년 제20회 일본뇌신경외과한방의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을 중심으로. 대한중풍학회지 2011;11(1):1-7. 

  22. 미야가미 미쯔스케 (松上 光祐) 著, 조기호 권승원 ?. 뇌신경질환의 한방치료. 서울: 군자출판사; 2011, p. 20-1, 29-30. 

  23. 김창석, 김영은, 김철, 김진형, 예상준, 송미영. 고혈압의 한약 치료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대한예방한의학회지 2011;15(3):17-38. 

  24. Jamerson K, Weber MA, Bakris GL, Dahlof B, Pitt B, Shi V, et al. Benazepril plus amlodipine or hydrochlorothiazide for hypertension in highrisk patients. N Engl J Med 2008 Dec 4;359(23) :2417-28. 

  25. National Clinical Guideline Centre (UK). Hypertension: The Clinical Management of Primary Hypertension in Adults: Update of Clinical Guidelines 18 and 34 [Internet]. London: Royal College of Physicians (UK); 2011 Aug. 

  26. Task Force for the management of arterial hypertension of the European Society of Hypertension; Task Force for the management of arterial hypertension of the European Society of Cardiology. 2013 ESH/ESC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Arterial Hypertension. Eur Heart J. 2013 Jul;34(28):2159-219. doi: 10.1093 /eurheartj/eht151 

  27. 채성철. 이뇨제가 최우선인가. 심장과혈관 2003; 5(3):11-5. 

  28. 김기식. 고혈압 치료에 이뇨제가 꼭 필요한가. 임상내과 Zonedoctor.co.kr 2003 [accessed 2013 August 26] URLhttp://www.zonedoctor.co.kr/doctor /doctor_list.asp?cate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