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o report a case of the treatment of primary hypertension by Oryung-san (五苓散: Wulingsan in Chinese, Goreisan in Japanese) monotherapy. Methods : The blood pressure (BP) fluctuation was checked of a woman who had sudden BP elevation without a history of hypertension treatment. There we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저자는 급성 고혈압 환자 1례를 대상으로 오령산 과립제(Table 1)를 투여하여 양호한 혈압 강하 효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혈압이란 무엇인가? 고혈압은 만성 순환기질환 중에서 발생빈도가 가장 높은 질환으로, 뇌혈관질환, 심장질환, 신부전증, 동맥경화증 등의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어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질병이다1. 현재 고혈압의 치료약은 작용 기전에 따라서 안지오텐신 전환효소(ACE) 억제제, 안지오텐신Ⅱ수용체 차단제(ARB), 알파차단제, 베타차단제, 칼슘차단제(CCB), 이뇨제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1, 2013년 11월에 발표된 대한고혈압학회 고혈압 진료지침(안)에서는 ACE억제제, 안지오텐신차단제, 베타차단제, 칼슘차단제, 이뇨제를 일차선택약으로 지정하고 있다2.
thiazide계 이뇨제는 항고혈압제로서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지만 일차선택약으로서의 문제점이 있기도 하다, 이 문제점은 무엇인가? 현재 고혈압의 관리에는 다양한 약재가 사용되고 있지만, 그중에서도 thiazide계 이뇨제는 항고혈압제로서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5,18. 그러나, thiazide계 이뇨제는 혈압강하 작용이 완만하고 효과가 약하기 때문에 단독투여나 일차선택약으로서의 사용에 이견이 있었다. 때문에 2011년 영국 NHS의 NICE 지침과 유럽의 ESC/ESH 2013년 7월 개정판에서 잇달아 일차선택약에서 제외되기도 했다19,20.
현재 사용되는 고혈압의 치료약은 어떤 것이 있는가? 고혈압은 만성 순환기질환 중에서 발생빈도가 가장 높은 질환으로, 뇌혈관질환, 심장질환, 신부전증, 동맥경화증 등의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어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질병이다1. 현재 고혈압의 치료약은 작용 기전에 따라서 안지오텐신 전환효소(ACE) 억제제, 안지오텐신Ⅱ수용체 차단제(ARB), 알파차단제, 베타차단제, 칼슘차단제(CCB), 이뇨제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1, 2013년 11월에 발표된 대한고혈압학회 고혈압 진료지침(안)에서는 ACE억제제, 안지오텐신차단제, 베타차단제, 칼슘차단제, 이뇨제를 일차선택약으로 지정하고 있다2. 특히 이뇨제의 경우 미국 JNC 7 지침(Seventh report of the Joint National Committee on Prevention, Detec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Pressure.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전국한의과대학심계내과학교실. 심계내과학. 군자출판사; 2010, p. 171-8. 

  2. 대한고혈압학회 진료지침제정위원회. 2013년 대한고혈압학회 고혈압 진료지침(안). 2013 [accessed 2013 Nov 16] URLhttp://www.koreanhypertension. org/ 

  3. Joint National Committee. The seventh report of the Joint National Committee on preventi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pressure. JAMA 2003;289(19):2560-71. 

  4. 김희준, 윤경민, 임은영, 변준석, 김대준, 곽민아. 방풍통성산으로 호전된 고혈압 환자 3례 보고.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9;23(3):740-3. 

  5. 이혜윤, 이은, 이승호, 한창호, 장인수. 오령산이 고혈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체계적 고찰-임상 논문을 중심으로.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13;34(3): 289-97. 

  6. 대한한의사협회. 고혈압 한의 임상진료지침. ver.1.9 2012.10 In. 보건복지부. 한의약 만성질환 관리제도 도입 방안 연구. p. 191-264. 

  7. 양나래, 한창호. 항고혈압제제를 복용 중인 성인 고혈압 환자의 한열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13;34(3):267-77. 

  8. 문아지, 김태정, 이성근, 김남권, 이기상. 고혈압- 뜸 임상시험 참여자들의 혈압 관리행동에 대한 질적연구.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12;33(4):543-57. 

  9. 최인영, 한창호, 최동준, 정승현, 신길조. 고혈압 환자에서 혈압 조절 여부에 따른 氣血水 辨證과 삶의 질 비교.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10;31(4): 880-91. 

  10. 최인영, 한창호, 최동준, 정승현, 신길조, 이원철. 고혈압 환자에서 혈압 조절 여부에 따른 脈象 및 삶의 질 비교.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9;30(4) :880-92. 

  11. 배형섭, 신애숙, 박성욱, 손일석, 정우상, 문상관, 등. 足三里 자침이 고혈압환자의 혈압과 내피세포 의존성 혈관확장반응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8;29(3):657-65. 

  12. 김보성, 장인수, 이태호, 여진주, 손동혁, 임영진, 등. 족삼리 애구가 고혈압 환자의 혈압 강하에 미치는 영향: 무작위배정 임상연구. 대한한의학회지 2005;26(3):66-73. 

  13. 임영남, 심성용, 한지완, 고호연, 박종형, 김동우, 등. 영골.강압혈 자침이 혈압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4;25(2):167-73. 

  14. 윤상필, 김이동, 이상호, 김은주, 김태훈, 박영민, 등. 중풍환자 1기 고혈압에 淸血丹의 항고혈압효과.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4;25(2):195-201. 

  15. Tsumura & Co. Tsumura Goreisan extract granules for ethical use. Revised: May 2007 (4th version) [accessed 2013 Nov 16] URL http://www.tsumura.co.jp/english/products/pi/JPR_T017.pdf 

  16. 건강보험관리공단. 2012년 지역별의료이용통계. [accessed 2013 Nov 20] URLhttp://www.nhic.or.kr 

  17. 보건복지부. 2011 국민건강통계 국민건강영양조사 제5기 2차년도. 질병관리본부; 2012, p. 415-20. 

  18. 채성철. 이뇨제가 최우선인가. 심장과혈관 2003; 5(3):11-5. 

  19. National Clinical Guideline Centre (UK). Hypertension: The Clinical Management of Primary Hypertension in Adults: Update of Clinical Guidelines 18 and 34. London: Royal College of Physicians (UK); 2011 Aug. [accessed 2013 Nov 16] URL http://www.nice.org.uk/ 

  20. Task Force for the management of arterial hypertension of the European Society of Hypertension; Task Force for the management of arterial hypertension of the European Society of Cardiology. 2013 ESH/ESC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Arterial Hypertension. Eur Heart J 2013 Jul;34(28):2159-219. doi:10.1093/eurheartj/eht151 

  21. Zador Z, Stiver S, Wang V, Manley GT. Role of aquaporin-4 in cerebral edema and stroke. Handb Exp Pharmacol 2009;(190):159-70. doi:10.1007/978-3-540-79885-9_7. 

  22. 김민지, 한현진, 이승호, 강세영, 장인수. 일본뇌신경외과한방의학회 연구 동향-2012년 학술대회 논문을 중심으로. 대한중풍학회지 2013;14(1). In press. 

  23. 장인수, 권승원, 김경욱. 뇌혈관질환에 대한 五?散 치료의 일본 유용성. 대한중풍학회지 2011; 12(1):1-7. 

  24. 미야가미 미쯔스케. 뇌신경질환의 한방치료. 군자출판사; 2011, p. 2-2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