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assessed the application of Oryung-san (Wuling-san or Gorei-san), a common diuretic in traditional medicine, as an antihypertensive agent. Methods: Experimental studies of the pharmacological properties of Oryung-san, including diuretic action and lowering effects on blood p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Ahn의 연구에서는 신성고혈압을 유발한 쥐를 대상으로 하여 오령산의 이뇨작용 및 강압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Sprague Dawley rat의 좌측신동맥에 클립을 끼워 2K1C 신성고혈압을 유발시킨 후 sham군과 2K1C군 두 군에 대해 오령산을 3주 동안 경구 투여한 결과 2K1C군의 수축기 혈압은 감소하였고, 신장피질의 ACE, AT1P의 mRNA발현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 고혈압에서 일차 선택약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티아지드계 이뇨제처럼, 한의학의 利水劑를 고혈압에서 적용할 수 있지 않을까라는 가설이 본 연구의 시작이었으며, 그 중 한의학에서 대표적인 利水劑인 오령산의 고혈압 치료약물로서의 가능성을 모색해보았다.
  • 뿐만 아니라, 급성신부전을 유발한 쥐를 대상으로 한 실험을 통하여, 오령산의 신장보호효과까지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오령산은 이뇨효과 뿐만 아니라 전해질 불균형 상태에서 항이뇨작용을 통한 수액대사 조절의 가능성을 보여줌으로써, 利尿劑가 아닌 체내수분 대사를 조절하는 利水劑의 의미를 재확인함과 동시에 티아지드계 이뇨제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오령산(五苓散)은 ≪傷寒論·辨太陽病脈證幷治中≫에 처음 등장하는 처방으로 저령(豬苓), 복령(茯苓), 택사(澤瀉), 백출(白朮), 육계(肉桂)로 구성되어 있으며, 利水滲濕하고 溫陽化氣 함으로써 水濕이나 痰飮의 정체로 나타나는 질환에 쓰이는 방제이다11.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利水劑인 오령산의 고혈압 치료 약물로서의 가능성을 모색해 보고자한다.
  • 이상에서 오령산의 고혈압 치료제의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하지만, 오령산이 고혈압 치료제의 가능성을 높이고 높은 수준의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서는, 티아지드계 이뇨제와 오령산의 효과를 비교하는 잘 설계된 대규모 임상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서양의학에서 고혈압 약물 치료의 원칙은? 서양의학에서 고혈압 약물 치료의 원칙은 다음과 같다. 2기 고혈압(≥160/100 mmHg) 또는 고위험 (표적장기손상, 심뇌혈관질환) 1기 고혈압(≥140/90mmHg)은 생활습관 개선을 시작함과 동시에 항고혈압제를 투여할 것을 권고하고 있으며, 심뇌혈관 질환이나 표적장기 손상이 없는 1기 고혈압은 수개월 간의 생활습관 개선 후 목표혈압 이하로 혈압조절이 안된다면 약물치료를 시작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10. 표적장기 손상이 없는 1기 고혈압은 단일제로 시작하고 2-3개월 후 목표혈압 이하로 조절이 안되면 약제의 용량을 올리거나 약제를 추가하는 병용요법을 고려하며, 표적장기 손상이 있는 1기 고혈압 또는 2기 고혈압은 처음부터 2제 이상의 병용요법을 고려한다10. 고혈압의 일차 선택약은 안지오텐신전환효소억제제(ACEI), ARB, CCB, 티아지드계 이뇨제, 베타 차단제(BB)이며, 병용요법으로는 ARB와 CCB, ARB와 티아지드계 이뇨제, CCB와 티아지드계 이뇨제가 1차로 권고되는 약물의 조합이다10.
고혈압은 어떻게 진단하는가? 수축기 혈압이 140 mmHg 이상 또는 확장기 혈압이 90 mmHg 이상인 경우 고혈압으로 진단하며4,국내 뇌혈관질환 환자의 35%, 심혈관질환 환자의 21%를 고혈압이 차지할 정도로 기여가 큰 위험인자라고 보고되고 있어5,6, 지속적인 치료와 관리가 필요한 중요한 질병이다. 보건복지부의 국민건강통계에 의하면, 만 30세 이상의 고혈압 환자 비율이 1998년 29.
고혈압이란? 고혈압은 만성 순환기질환 중에서 발생빈도가 가장 높은 질환으로, 뇌혈관 질환, 심혈관 질환, 신장 질환, 동맥경화증 등의 중요한 위험인자이다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Choi SW, Han SW, Ok JS, Yoo BS, Shin MS, Park SH, et al. A multicenter cohort study of primary hypertension in Korea: study design and interim analysis of the Korean registry of target organ damage in hypertension(KorHR). Clin Hypertens 2017;23(1):16. 

  2. Whelton PK. Epidemiology of hypertension. Lancet 1994;344(8915):101-6. 

  3. Guo X, Zhou B, Nishimura T, Teramukai S, Fukushima M. Clinical effect of qigong practice on essential hypertension: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Journal of alternative and complementary medicine. J Altern Complement Med 2008;14(1):27-37. 

  4. Chobanian AV, Bakris GL, Black HR, Cushman WC, Green LA, Izzo JL, et al. The seventh report of the joint national committee on preventi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pressure: the JNC 7 report. JAMA 2003;289(19):2560-72. 

  5. Shin J, Park JB, Kim KI, Kim JH, Yang DH, Pyun WB, et al. 2013 Korean Society of Hypertension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hypertension: part I-epidemiology and diagnosis of hypertension. Clin Hypertens 2015;21:1. 

  6. Kim HC, Oh SM. Noncommunicable diseases: current status of major modifiable risk factors in Korea. J Prev Med Public Health 2013;46(4):165-72. 

  7. KPMA. Pharmaceutical Industry Data Book. 2016. [accessed 2017 Aug. 25] URLhttp://www.kpma.or.kr/attach/1611_KPMA%20DATA%20BOOK_ver1.pdf 

  8. E-Daily News. Development of hypertension drug '3 in 1 combination'. [accessed 2017 Aug. 25] URLhttp://www.edaily.co.kr/news/NewsRead.edy?SCDJC61&newsid01341526612814560&DCDA00306&OutLnkChkY 

  9.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Medical Statistics Index. 2015. [accessed 2017 Aug. 25] URLhttps://www.khiss.go.kr/board/bbs_read.jsp?tnameMINBOARD358&bbsidB301&cat_bbsid&bbs_seq434&jkey&jword&pg4&htxt_code12536978062659050219061516896964&wj_vcs&reverseNum182&forwardNum31 

  10. Korean Academy of Medical Sciences. Evidence-based Guideline for Hypertension in Primary Care. 2014. [accessed 2017 Aug. 25] URLhttp://www.guideline.or.kr 

  11. The education committee of Korean medicine college for Herbal formula science. Herbal formula science. Seoul: Yeonglimsa; 2003, p. 504-6. 

  12. Zhao YY, Xie RM, Chao X, Zhang Y, Lin RC, Sun WJ. Bioactivity-directed identification of diuretic compounds from Polyporus umbellatus. J Ethropharmacol 2009;126(1):184-7. 

  13. Yuan D, Mori J, Komatsu KI, Makino T, Kano Y. An anti-aldosteronic diuretic component(drain dampness) in Polyporus sclerotium. Biol Pharm Bull 2004;27(6):867-70. 

  14. Zhu YP. Chinese Materia Medica Chemistry: Pharmacology and Applications. Amsterdam: Harwood Academic Publishers; 1998, p. 501-2. 

  15. Wu ZL, Ren H, Lai WY, Lin S, Jiang RY, Ye TC, et al. Sclederma of Poria cocos exerts its diuretic effect via suppression of renal aquaporin-2 expression in rats with chronic heart failure. J Ethropharmacol 2014;155(1):563-71. 

  16. Feng YL, Chen H, Tian T, Chen DQ, Zhao YY, Lin RC. Diuretic and anti-diuretic activities of the ethanol and aqueous extracts of Alismatis rhizoma. J Ethropharmacol 2014;154(2):386-90. 

  17. Chen DQ, Feng YL, Tian T, Chen H, Yin L, Zhao YY, et al. Diuretic and anti-diuretic activities of fractions of Alismatis rhizoma. J Ethropharmacol 2014;157:114-8. 

  18. Hattori T, Nishimura H, Makino B, Shindo S, Kawamura H. Sairei-to inhibits the production of endothelin-1 by nephritic glomeruli (2): alisols, possible candidates as active compounds. Nihon Jinzo Gakkai Shi 1998;40(2):33-41. 

  19. Satoh K, Yasuda I, Nagai F, Ushiyama K, Akiyama K, Kano I. The effects of crude drugs using diuretic on horse kidney (Na++K+)-adenosine triphosphatase. Yakugaku Zasshi 1991;111(2):138-45. 

  20. Lee SI. Studies on the diuretic action of Oryeongsan and Kami-Oryeongsan. Kor J Pharmacog 1981;12(1):31-43. 

  21. Ahn YM. Oryeongsan has different effects on water and electrolyte balance by routes of administration. Master's Thesis, Wonkwang University 2011:58. 

  22. Ahn YM, Cho KW, Kang DG, Lee HS. Oryeongsan (Wulingsan), a traditional Chinese herbal medicine, induces natriuresis and diuresis along with an inhibition of the renin-angiotensin-aldosterone system in rats. J Ethnopharmacol 2012;141:780-5. 

  23. Kim KA, Min YK, Lee HS, Ryu DG. Effects of the gastric administration of Oryungsan water extract on the renal function, plasma renin activity and plasma levels of atrial natriuretic peptide in the rats. J Oriental Physiology 1996;11(2):89-98. 

  24. Kurita T, Nakamura K, Tabuchi M, Orita M, Ooshima K, Higashino H. Effects of Gorei-san: a traditional Japanese Kampo medicine, on aquaporin 1, 2, 3, 4 and V2R mRNA expression in rat kidney and forebrain. J Med Sci 2011;11(1):30-8. 

  25. Ahn YM. Effects of Oryeongsan on Regulation of Renal Function and Hormonal Balance in Hypertensive Rats. Ph.D. Thesis, Wonkwang University 2016:82. 

  26. Han YP, Wang NS, Mi SQ, Liu QD. Effect of Wuling powder on rats with renal hypertension. Zhong Xi Yi Jie He Xue Bao 2003;1(4):285-8. 

  27. Cho DH, Doo HK, Kim IS, Sohn SY, Chung YH, Han YH, et al. Effects of Gamioryeongsan, Gamiyukmijihwangtang and vinegar on rats with acute renal failure induced by gentamicin sulfate. J Kyung Hee Univ 1991;7(3):287-311. 

  28. Ahn SY. Effects of Oryeongsan and Yukmijihwangtang on rats with acute renal failure induced by gentamicin sulfate. Mas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1993:59. 

  29. Lee MG. Effects of Paljungsan and Kamioryungsan on rats with acute renal failure induced by gentamicin sulfate. Mas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1997:43. 

  30. Tsumura & Co. Tsumura Goreisan extract granules for ethical use. Revised: May 2007(4th version) [accessed 2017 Aug. 25] URLhttp://www.tsumura.co.jp/english/products/pi/JPR_T017.pdf 

  31. Park H, Hwang Y, Ha J, Jung K, Ma J. Acute Toxicity Study on Oryeong-san in Mice. Herbal Fomula Science 2013;21(1):111-8. 

  32. Zhang Y, Wang N, Liu Q, YE S, OU W. Evaluation of Toxicity of WLS. Chinese Journal of Modern Drug Application 2008;2(12):16-8. 

  33. Lee H, Kang K, Lee E, Lee S, Han C, Jang I. A Systematic Review on Antihypertensive Effects of Oryeong-san. Korean J Orient Int Med 2013;34(3):289-97. 

  34. Peon X, Cheng X, Sung R, Kong B. Clinical observation on 80 cases of primary hypertension treated by Amlodipine and Danqi Wuling powder. Yunnan Journal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and Materia Medica 2011;32(9):23-4. 

  35. Quan Y. Investigation of renal protective effect in early hypertensive renal injury by supplemented Wuling San combined with Liuweidihuang decoction. Capital Medicine 2011;(08):44-6. 

  36. Fan Y. Clinical research on treatment of Wuling power on metabolic syndrome. Guangzhou University of Chinese Medicine 2012:1-50. 

  37. Jang I, Kim M, Han H, Jeong M, Kang S. Treatment of primary hypertension by Oryung-san monotherapy: a case report. J Internal Korean Med 2014;35(1):106-10. 

  38. Jeon U. Principles and Practice of Diuretic Therapy. Korean J Med 2011;80(1):8-14. 

  39. Ding XQ, Pan Y, Wang X, Ma YX, Kong LD. Wuling San ameliorates urate under-excretion and renal dysfunction in hyperuricemic mice. Chin J Nat Med 2013;11(3):214-21. 

  40. Yang Y, Zhang DM, Liu JH, Hu LS, Xue QC, Ding XQ, et al. Wuling San protects kidney dysfunction by inhibiting renal TLR4/MyD88 signaling and NLRP3 inflammasome activation in high fructose-induced hyperuricemic mice. J Ethnopharmacol 2015;169:49-59. 

  41. Takei H, Nakai Y, Hattori N, Yamamoto M, Takeda S, Yamamoto M, et al. The herbal medicines Saireito and Boiogito improve the hypertension of pre-eclamptic rats induced by Nomega-Nitro-L-arginine methyl ester. Phytomedicine 2007;14:591-600. 

  42. Qiu Y, Yu F, Zhang W, Zhou M. Clinical observation on effect of Wuling powder on electrolyte in patients with nephrotic syndrome. CJGMCM 2016;31(18):2665-8. 

  43. Kim SY. Influence of Goryeosin infusion solution on the change of serum electrolytes in rats. Dajeon Univ 1990:1-38. 

  44. Ito Y. Pathophysiology of the Goreisan show lowering of osmolality set point. Japanese Journal of Oriental Medicine 1978;28:91-9. 

  45. Isohama Y. Modulation of aquaporin water channel function by Kampo medicines. Kampo and the newest therapy 2008;17:27-35. 

  46. Sakamoto A, Kuriyama K, Konoshita Y, Hodaka K, Kainuma M. A case of hyponatremia complicated with small cell lung cancer successfully treated with Goreisan. Kampo Med 2015;66(2):124-30. 

  47. The education committee of Korean medicine college for cardiology and neurology. The cardiology and neurology in Korean medicine Vol. 2. Seoul: Woori medical books; 2016, p. 196-8, 366-75. 

  48. The Korean society of hypertension. Hypertension management guidelines. [accessed 2017 Aug. 25] URLhttp://www.koreanhypertension.org 

  49. Chae S. Is diuretics the top priority? Cardiovascular Update 2003;5(3):11-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