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크램 운동 시 시각-촉진 되먹임이 큰볼기근 활성도와 골반 회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Visual and Palpation Feedback on Muscle Activity of Gluteus Maximus and Motion of Pelvic Rotation during Clam Exercise 원문보기

대한물리치료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v.25 no.5, 2013년, pp.337 - 342  

고은경 (마산대학교 물리치료과) ,  정도영 (중부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determine the effect of visual and tactile feedback on muscle activity of the gluteus maximus (Gmax) and abdominal muscles and the motion of pelvic rotation during performance of clam exercise (CE). Methods: Thirteen subjects without low back pain were 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0,12 이전 연구에서 엎드린 자세에서 무릎 구부린 상태에서 한쪽 다리 회전과 한쪽다리 굴곡 그리고 바로 누운 자세에서 능동적 다리 올리기 시 골반의 움직임을 알아 보았지만,3,6,7,13,14 아직까지 옆으로 누운 자세에서 다리 밖으로 들어올리기 시 골반의 움직임과 복근들과 큰볼기근(gluteus maximus)에 대한 근활성도를 알아본 연구는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옆으로 누운 자세에서 다리 밖으로 들어올리기, 즉, 임상에서 주로 엉덩관절의 가쪽회전근과 벌림근의 강화를 위한 크램 운동 시 시각과 촉각 되먹임이 골반 회전과 복근들과 큰볼기근의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 본 연구는 시각과 촉각 되먹임이 크램 운동 시 큰볼기근과 복근들의 근활성도와 골반 회전 움직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큰 볼기근의 근활성도는 시각과 촉각 되먹임과 함께 한 크램 운동이 되먹임 없이 하는 크램 운동보다 유의하게 컸고 골반의 회전 각은 유의하게 작았다.
  • 본 연구에서는 옆으로 누운 자세에서 다리 밖으로 들어올리기, 즉, 임상에서 주로 엉덩관절의 가쪽회전근과 벌림근 강화를 위한 크램 운동 시 시각과 촉각 되먹임이 골반의 움직임과 복근들과 큰볼기근의 근활성도에 영향을 끼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1) 골반 회전 각은 감소, (2) 큰볼기근의 근활성도는 증가, 그리고 (3) 동측의 내복사근과 반대측의 외복사근의 근활성도는 증가할 것이라고 본 연구에서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에서는 옆으로 누운 자세에서 다리 밖으로 들어올리기, 즉, 임상에서 주로 엉덩관절의 가쪽회전근과 벌림근 강화를 위한 크램 운동 시 시각과 촉각 되먹임이 골반의 움직임과 복근들과 큰볼기근의 근활성도에 영향을 끼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1) 골반 회전 각은 감소, (2) 큰볼기근의 근활성도는 증가, 그리고 (3) 동측의 내복사근과 반대측의 외복사근의 근활성도는 증가할 것이라고 본 연구에서 가설을 설정하였다.
  •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 몇 가지가 있다. 첫째, 시각적 그리고 촉각적 되먹임 각각의 효과를 알아보지 못했다는 것이다. 따라서 시각적 되먹임과 촉각적 되먹임이 구분된 반복측정된 연구설계 방법으로 설계된 향후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요통환자를 평가할 때 사지 움직임이 중요한 이유는? 일상생활 동작 시 대부분 사지 움직임(limb movement)이 일어난다. 사지 움직임이 허리골반 부위(lumbopelvic region)에 힘을 전달해 허리골반 부위의 움직임을 일으키기 때문에 요통환자를 평가할 때 사지 움직임은 매우 중요하다. 사지 움직임에 따른 반복적인 허리골반 움직임은 허리골반 부위 조직들의 스트레스와 미세손상 축척에 기여하여 결국 요통으로 발전한다.
크램 운동 시 근활성도를 측정하기 위한 근전도 부착 부위는 어디인가? 전극간 거리는 2 cm로 하였으며 각각 근섬유 방향과 평행하게 부착하였다. 근전도 부착 부위는 양쪽 외복사근(external oblique: EO)은 위앞엉덩뼈가시(anterior superior iliac spine: ASIS) 위 배꼽으로부터 외측 15 cm 지점에, 양쪽 내복사근(internal oblique: IO)은 전상장골극에서 2 cm 내측부위에, 큰볼기근은 큰돌기와 두번째 엉치뼈(S2)의 중간지점에 사선방향으로 부착하였다.
조절되지 않은 움직임을 훈련하기 위한 되먹임 방법들로는 무엇이 있나? 따라서 치료사의 수기가 아닌 다른 방법으로 사지 움직임 시 허리골반 움직임을 줄일 수 있어야 한다. 조절되지 않은 움직임을 훈련하기 위한 되먹임 방법으로 움직임을 보는 것과 같은 시각 되먹임(visual feedback), 이미지를 활용한 시각화(visualization), 손을 활용한 촉각 되먹임(tactile feedback), 접착 테이프와 피부의 장력을 활용한 운동감각 되먹임(kinaesthetic feedback), 구두 지시(verbal instruction) 와 구두 수정(verbal correction) 그리고 압력 생체 되먹임 (pressure biofeedback) 과 같은 움직임을 모니터링하는 장비 사용 등 다양한 방법들이 있다.10 Scholtes 등11은 요통환자를 대상으로 엎드린 자세(prone position)에서 허리골반 움직임을 수정하기 위해 복근 수축과 골반의 회전 움직임이 일어나지 않도록 치료사의 구두지시와 촉각정보를 제공한 결과, 허리골반 움직임 시점(oneset)에서의 엉덩관절 가쪽 회전 각도가 더 커졌으며, 최대 허리골반 움직임이 감소했다고 보고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Chae YW. The Effect of Center of Pressure Displacement and Muscle Activation Onset during Expected and Unexpected Sudden Upper Limb Loading in Subjects with Low Back Pain and Healthy Subjects. J Korean Soc Phy Ther. 2006;18(4):51-60. 

  2. McGill SM. The biomechanics of low back injury: Implications on current practice in industry and the clinic. J Biomech. 1997;30(5):465-75. 

  3. Luomajoki H, Kool J, de Bruin ED et al. Movement control tests of the low back; evaluation of the difference between patients with low back pain and healthy controls. BMC Musculoskelet Disord. 2008;9:170. 

  4. Roussel NA, Nijs J, Mottram S et al. Altered lumbopelvic movement control but not generalized joint hypermobility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injury in dancers. A prospective study. Man Ther. 2009;14(6):630-5. 

  5. Shum GL, Crosbie J, Lee RY. Symptomatic and asymptomatic movement coordination of the lumbar spine and hip during an everyday activity. Spine (Phila Pa 1976). 2005;30(23):E697-702. 

  6. Gombatto SP, Collins DR, Sahrmann SA et al. Gender differences in pattern of hip and lumbopelvic rotation in people with low back pain. Clin Biomech (Bristol, Avon). 2006;21(3):263-71. 

  7. Scholtes SA, Van Dillen LR. Gender-related differences in prevalence of lumbopelvic region movement impairments in people with low back pain. J Orthop Sports Phys Ther. 2007;37(12):744-53. 

  8. Van Dillen LR, Maluf KS, Sahrmann SA. Further examination of modifying patient-preferred movement and alignment strategies in patients with low back pain during symptomatic tests. Man Ther. 2009;14(1):52-60. 

  9. Van Dillen LR, Sahrmann SA, Norton BJ et al. The effect of modifying patient-preferred spinal movement and alignment during symptom testing in patients with low back pain: A preliminary report. Arch Phys Med Rehabil. 2003;84(3):313-22. 

  10. Comerford M, Mottram S. Kinetic Control: The Management of Uncontrolled Movement, 1st ed. Chatswood, Churchill Livingstone, 2012:67-175. 

  11. Scholtes SA, Norton BJ, Lang CE et al. The effect of withinsession instruction on lumbopelvic motion during a lower limb movement in people with and people without low back pain. Man Ther. 2010;15(5):496-501. 

  12. Sahrmann S. Diagnosis and Treatment of Movement Impairment Syndromes 1st ed. New York, Mosby, 2001:445. 

  13. Park KH, Ha SM, Kim SJ et al. Effects of the pelvic rotatory control method on abdominal muscle activity and the pelvic rotation during active straight leg raising. Man Ther. 2013;18(3):220-4. 

  14. Scholtes SA, Gombatto SP, Van Dillen LR. Differences in lumbopelvic motion between people with and people without low back pain during two lower limb movement tests. Clin Biomech (Bristol, Avon). 2009;24(1):7-12. 

  15. Seo JK, Kim SY, The Relationship between Hip Abductor Muscle Strength and Lumbar Instability in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J Korean Soc Phy Ther. 2011; 23(4):15-22. 

  16. Kisner C, Colby LA. Therapeutic Exercise: Foundations and Techniques, 6 ed. Philadelphia. F.A. Davis Company, 2012:752-3 

  17. Boren K, Conrey C, Le Coguic J et al. Electromyographic analysis of gluteus medius and gluteus maximus during rehabilitation exercises. Int J Sports Phys Ther. 2011;6(3):206-23. 

  18. Distefano LJ, Blackburn JT, Marshall SW et al. Gluteal muscle activation during common therapeutic exercises. J Orthop Sports Phys Ther. 2009;39(7):532-40. 

  19. McBeth JM, Earl-Boehm JE, Cobb SC et al. Hip muscle activity during 3 side-lying hip-strengthening exercises in distance runners. J Athl Train. 2012;47(1):15-2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