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영성과 스트레스
Spirituality and Stress in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원문보기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v.16 no.4, 2013년, pp.253 - 263  

김창곤 (광주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정신보건사회복지사들의 영성과 스트레스의 수준을 파악하고, 이들 사이의 관계를 조사하여, 호스피스 완화의료 및 정신보건영역 등 휴먼서비스 전문가의 영성증진과 효율적인 스트레스 관리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방법: 2011년 11월 1일부터 11월 30일까지 국내 정신보건분야에 근무하는 정신보건사회복지사 154명을 대상으로, 한국형 영성척도(Spirituality Scale)와 심리사회적스트레스 척도(Psychosocial Well-being Index Short Form, PWI-SF)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료분석SPSS WIN 1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처리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영성수준은 평균 3.63점, 심리사회적 스트레스 수준은 18.78점이었고, 영성수준은 연령, 교육, 종교유무, 결혼상태에 따라, 심리사회적 스트레스는 결혼상태에 따라 각 집단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영성과 심리사회적 스트레스는 부적 상관관계(r=-0.548, P<0.001)가 있었고, 영성의 하위영역인 삶의 의미와 목적, 자비심, 내적 자원, 자각, 연결성, 초월성 모두 심리사회적 스트레스와 각각 부적 상관관계(P<0.01)를 보였다. 심리사회적 스트레스 수준은 정상군에서 영성수준이 가장 높았고, 고위험군에서 가장 낮았으며, 영성은 심리사회적 스트레스의 30.0%를 설명해 주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영성과 심리사회적 스트레스는 부적 상관관계가 있으며, 영성의 수준이 높을수록 심리사회적 스트레스가 낮음을 시사해 주었다. 심리사회적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영성의 수준을 증진시킬 수 있는 영적 감수성 지향의 개입전략이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association between spirituality and stress of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which could be used in development of a program to help them manage stress and offer spiritual support. Methods: Participants were 154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in Korea.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정신보건사회복지사들의 영성과 스트레스의 수준을 파악하고, 이들 사이의 관계를 확인하여, 호스피스ㆍ완화의료 및 정신보건영역을 포함한 휴먼서비스 전문직을 위한 영성증진과 효율적인 스트레스 관리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성척도에서 삶의 의미와 목적, 자비심(봉사심), 내적 자원, 자각, 연결성, 초월성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영성의 하위영역인 삶의 의미와 목적은 개인의 가치와 희망, 삶의 이유를 알게 하는 일이고, 자비심은 기본적으로 타인의 기쁨을 같이 하고 타인의 슬픔을 같이 슬퍼하는 마음을 의미한다. 내적 자원은 인생을 이해하는 틀을 제공하며 외적인 상황에 관계없이 삶을 안정적으로 안내하며, 자각은 개체가 개체-환경의 장에서 일어나는 중요한 내적, 외적 사건들을 지각하고 체험하는 것을 의미한다. 연결성은 우주와 우주적 존재를 포함하는 자기, 타인 및 모든 삶의 관계를 포함하며, 초월성은 더 높은 존재나 힘, 의식적 존재 혹은 우주의 창조자와의 관계에 초점을 맞춘다.
영성이란 무엇인가? 영성은 종교적 실존적 의미를 포함하는 다차원적 개념으로서 자신, 이웃, 자연 및 상위존재와의 조화로운 관계를 통하여 역동적 창조적 에너지로 작용하고, 현실을 초월하여 경험하게 하며, 그 결과 존재의 의미와 목적 및 충만한 삶을 살게 해주는 영적인 태도 및 행위이다(5).
영성이 스트레스 사건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영성은 스트레스 사건에서 의미를 발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삶의 질을 높여주며, 삶을 받아들이고 해석하는 방법을 제공하며(7), 스트레스 상황에서 그 사건에 대한 개인의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데, 위기상황에서 스트레스에 대한 인지적 평가를 긍정적으로 할 수 있는 것은 스트레스 사건에 직면했을 때, 영성이 의미를 생성하는 역할을 돕기 때문이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Chochinov HM, Cann BJ. Interventions to enhance the spiritual aspects of dying. J Palliat Med 2005;8 Suppl 1:S103-15. 

  2. Kim SN. Spirituality among physicians and nurses in metropolitan cities.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2010;19:143-53. 

  3. Taylor SE. Health psychology. 7th ed. New York, NY:McGraw-Hill;2008. 

  4. Richardson PT. Personal type and four spiritualities. Park JS, Yoo HJ, Translator. Seoul:Korea Psychology Test Institute;2001. 

  5. Oh PJ, Kang KA. Spirituality: concept analysis. J Korean Acad Nurs 2000;30:1145-55. 

  6. Lee KY, Kim CH, Kim DW. Development of the spirituality scale. Korean J Couns Psychother 2003;15:711-28. 

  7. Gordon PA, Feldman D, Crose R, Schoen E, Griffing G, Shankar J. The role of religious beliefs in coping with chronic illness. Couns Values 2002;46:162-74. 

  8. Park CL, Folkman S. Meaning in the context of stress and coping. Rev Gen Psychol 1997;1:115-44. 

  9. Koh KB, Park JK, Kim CH. Development of the stress response inventory.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00;39:707-19. 

  10. Oman D, Hedberg J, Thoresen CE. Passage meditation reduces perceived stress in health professional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 Consult Clin Psychol 2006;74:714-9. 

  11. Pargament KI, Mahoney A. Spirituality: discovering and conserving the sacred. In: Snyder CR, Lopez SJ, eds.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New York:Oxford University Press;2002. 

  12. Kunst JL, Bjorck JP, Tan S. Causal attributions for uncontrollable negative events. J Psychol Christ 2000;19:47-60. 

  13. Lee S. Spirituality and stress responses in small industry employees.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2010;19:220-8. 

  14. Nam JH, Lee MS, Kim YS. The relationship among spirituality, sport emotion and stress of athletes. J Korean Phys Educ Assoc Girls Woman 2011;25:45-63. 

  15. Suh KH, Chon KK. Spiritual well-being, life stress, and coping. Korean J Health Psychol 2004;9:333-50. 

  16. Choi HC. The effect of spiritual well-being on social workers' job stress role factors and job involvement relations -focused on organizations of Korea Association of Christian Social Welfare Centers in the Seoul, Gyeongin district-. J Church Soc Work 2012;15:7-43. 

  17. Sheafor BW, Horejsi CR. Techniques and guidelines for social work practice. 9th ed. Boston:Pearson Allyn & Bacon;2012. 

  18. National Association of Social Workers. NASW standards for palliative & end of life care. Washington, DC:The Association; 2004. 

  19. Tunnah K, Jones A, Johnstone R. Stress in hospice at home nurses: a qualitative study of their experiences of their work and wellbeing. Int J Palliat Nurs 2012;18:283-9. 

  20. Henderson A. Emotional labor and nursing: an under-appreciated aspect of caring work. Nurs Inq 2001;8:130-8. 

  21. Kim CG. The patterns of psychiatric social work consultation at a university hospital. Proceedings of Korean Academy of Mental Health Social Work. 1999;1998(1):200-14. 

  22. Lee YS. The past, present and future social work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13;16:65-73. 

  23. Korean Society of Preventive Medicine. Collection of health statistic data and standardization of measurement. Seoul:Korean Society of Preventive Medicine;2000. p. 92-143. 

  24. Kim SN. Spirituality and self-esteem in middle-aged women.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2013;22:128-36. 

  25. Choi SO, Kim SN. Suicidal ideation and spirituality of college students. J Korean Acad Soc Nurs Edu 2011;17:190-9. 

  26. Kim CG. Spirituality and state hope of medical social workers.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12;15:88-98. 

  27. Hong CY, Yoon M. The effect of spirituality on happiness and depression of women in midlife. Korean J Woman Psychol 2013;18:219-42. 

  28. Kim SN, Choi SO. Nurses' death anxiety and spirituality. J Korean Acad Soc Nurs Edu 2010;16:101-10. 

  29. Chang SJ, Koh SB, Kang D, Kim SA, Kang MG, Lee CG, et al. Developing an occupational stress scale for Korean employees.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05;17:297-317. 

  30. Yoon HS, Cho YC.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contents, Psychosocial factors and mental health status among university hospital nurses in Korea. J Prev Med Public Health 2007;40:351-62. 

  31. Lee JH, Cho WH, Chang SJ, Kim YH. The effects of work and psychosocial stress o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leaving intention in general hospital female office workers. Korean J Hosp Manage 2012;17:1-22. 

  32. Sheehan G. On stress, mental health, and religion. Physician Sports Med 1979;7:149. 

  33. Delgado C. Sense of coherence, spirituality, stress and quality of life in chronic iIllness. J Nurs Scholarsh 2007;39:229-34. 

  34. Hayman JW, Kurpius SR, Befort C, Nicpon MF, Hull-Blanks E, Sollenberger S, et al. Spirituality among college freshmen: relationships to self-esteem, body image, and stress. Couns Values 2007;52:55-70. 

  35. Kim Y, Seidlitz L. Spirituality moderates the effect of stress on emotional and physical adjustment. Pers Individ Dif 2002;32:1377-90. 

  36. Labbe EE, Fobes A. Evaluating the Interplay between spirituality, personality and stress. Appl Psychophysiol Biofeedback 2010;35:141-6. 

  37. George LK, Larson DB, Koenig HG, McCullough ME. Spirituality and health: what we know, what we need to know. J Soc Clin Psychol 2000;19:102-16. 

  38. Suh KH, Chung SJ, Koo JH. Spiritual well-being, life stress, depression, and self-esteem among college students. Korean J Couns Psychother 2005;17:1077-95. 

  39. Fabricatore AN, Handal PJ, Fenzel LM. Personal spirituality as a moder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ors and subjective well-being. J Psychol Theol 2000;28:22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