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암 병원 간호사의 영성, 죽음불안 및 소진
Spirituality, Death Anxiety and Burnout Levels among Nurses Working in a Cancer Hospital 원문보기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v.16 no.4, 2013년, pp.264 - 273  

김경진 (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원) ,  용진선 (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호스피스 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는 암환자를 돌보는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간호사의 영성, 죽음불안 및 소진 정도를 확인하고, 세 변수들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방법: 대상자는 서울에 소재하는 일개 암 전문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2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는 2012년 4월부터 6월까지 수집하였으며, 수집한자료는 SPSS 19.0 program을 사용하여 t-test, one-way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결과: 영성은 6점 만점에 평균 3.51점이었으며, 하위영역별로는 삶의 의미와 목적, 관계성, 내적 자원, 초월성 순으로 높았다. 죽음불안은 5점 만점에 평균 3.22점이었으며, 하위영역별로는 죽음의 부인, 짧은 시간 지각, 죽음에 대한 두려움, 죽음 연관 문제에 대한 두려움 순으로 높았다. 소진 정도는 7점 만점에 평균 4.10점이었으며, 하위영역별로는 정서적 소모, 비 인간화, 개인적 성취감 감소 순으로 높았다. 영성은 죽음불안(r=-0.327, P=0.01)과 소진 정도(r=-0.690, P=0.01)에 역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소진은 죽음불안(r=0.550, P=0.01)과 정상관 관계가 있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간호사들의 영성을 높이고, 그들의 죽음불안과 소진 정도를 낮출 수 있는 영적 중재를 제공하는 것을 제안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among spirituality, death anxiety and burnout level of nurses caring for cancer patients. Methods: Participants were 210 nurses from a cancer hospital in Seoul.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until June 2012 and analyzed using t-test, one-way ANOV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간호사들의 영성을 높이고, 그들의 죽음불안과 소진 정도를 낮출 수 있는 영적 중재를 제공하는 것을 제안한다.
  • 본 연구는 암 전문 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의 영성과 죽음불안 및 소진의 관계를 파악하는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암환자를 돌보는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간호사의 영성, 죽음불안 및 소진 정도를 확인하고, 세 변수들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이에 본 연구자는 암 전문 병원에서 간호사들이 가지고 있는 영성, 죽음불안 및 소진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 하고, 이를 바탕으로 간호사의 영성 수준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 간호사를 도울 수 있는 적절한 영적 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 특히 암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영적 간호는 반드시 필요하며 간호사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1). 이에 본 연구자는 암 전문 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의 영성, 죽음불안 및 소진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적 돌봄에서 중요한 점은 무엇인가? 영적 돌봄에서 중요한 점은 간호의 대상자인 인간이 전인적 존재이듯이 간호사 자신도 전인적인 존재라고 깨달음으로써 자신에 대한 영적인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것이며(3), 이를 위해서는 먼저 간호사 자신의 영적 상태를 인식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 영성은 ‘사람이 의미와 목적을 추구하고 표현하는 방법이며, 자기자신, 타인, 자연 및 신과 유대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인간의 속성’을 의미한다(4).
영성의 의미는 무엇인가? 영적 돌봄에서 중요한 점은 간호의 대상자인 인간이 전인적 존재이듯이 간호사 자신도 전인적인 존재라고 깨달음으로써 자신에 대한 영적인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것이며(3), 이를 위해서는 먼저 간호사 자신의 영적 상태를 인식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 영성은 ‘사람이 의미와 목적을 추구하고 표현하는 방법이며, 자기자신, 타인, 자연 및 신과 유대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인간의 속성’을 의미한다(4). 영성 관련 선행연구에 의하면, 영성은 임종에 처해 있는 환자 또는 노인들이 치료 과정 중 발생하는 통증과 같은 신체적 문제나 죽음에 직면해서 나타나는 여러 심리적 문제 등에 대처하는데 중요한 요소라고 볼 수 있으며(5), 이는 또한 죽음에 대한 직관적인 통찰과 인식을 함으로써 삶의 의미를 발견하게 하고 타인과 신과의 관계에서 사랑과 관심을 주고 받으며 용서와 화해를 이루게 한다(1).
스트레스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는 자신만의 영성적 대처방법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고 사료되는 이유는? 따라서 간호사들은 암환자를 돌보는 과정에서 일반 환자를 간호하는 과정과는 다른 스트레스를 부가적으로 경험하기 때문에 의욕상실에 빠지고 소진을 경험하게 될 수 있다(9). 이러한 소진은 직업에 대한 긍정적인 확신을 저하시키고 직무만족을 악화시켜 효과적인 역할 수행을 저해하는주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직업적 자기성취감의 박탈과 불만이 증가하여 직장을 떠나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10). 하지만, 소진 역시 영성 훈련 프로그램을 통해 영적 안녕과, 영적 통합을 증진하고 소진현상을 감소시킬수 있다(11). 따라서 스트레스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는 자신만의 영성적 대처방법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고 사료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Youn MO. The spiritual well-being and the spiritual nursing care of nurses for cancer patients.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09;12:72-9. 

  2. Chochinov HM, Cann BJ. Interventions to enhance the spiritual aspects of dying. J Palliat Med 2005;8 Suppl 1:S103-15. 

  3. Lee SU, Kim JH, Lee BS, Lee EH, Jung MS. Nursing theory understanding. Seoul: Sumoon; 2009. 

  4. Puchalski C, Ferrell B, Virani R, Otis-Green S, Baird P, Bull J, et al. Improving the quality of spiritual care as a dimension of palliative care: the report of the Consensus Conference. J Palliat Med 2009;12:885-904. 

  5. Kim SS, Kang YS. A study on spirituality and death attitudes of terminal patients with Hansen's disease. Ment Health Soc Work 2007;25:41-73. 

  6. Park JY. Spiritual care: humane and theological meaning. Health Mission 2009;17:4-14. 

  7. Kim YH. A study of nurses burden and attitude on terminal cancer patients. J Korean Oncol Nurs 2001;1:65-74. 

  8. Lee YG, Park HS. Nursing college students attitudes toward death and the spiritual well-being. Faith Scholarship 2007;12:195-232. 

  9. Shin MH, Shin SR. Predictors of burnout among oncology nurses. J Korean Oncol Nurs 2003;3:75-84. 

  10. Kim EJ. A study relation between burnout experience and job satisfaction of nurses [master's thesis]. Seoul: Kyunghee Univ.; 2002. Korean. 

  11. Yong J, Kim J, Park J, Seo I, Swinton J. Effects of a spirituality training program on the spiritual and psychosocial well-being of hospital middle manager nurses in Korea. J Contin Educ Nurs 2011;42:280-8. 

  12. Howden JW. Development &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of the spirituality assessment scale [master's thesis]. Denton: Texas Woman's University; 1992. English. 

  13. Oh BJ, Jeon HS, So OS. Spiritual Assessment Scale;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Korean Version. J Korean Oncol Nurs 2001;1:168-79. 

  14. Templer DI, Lavoie M, Chalgujian H, Thomas-Dobson S. The measurement of death depression. J Clin Psychol 1990;46:834-9. 

  15. Ko HG, Choi JO, Lee HP. The reliability and factor structure of K-Templer Death Anxiety Scale. J Korean Health Psychol 2006;11:315-28. 

  16. Maslach C, Jackson SE. The measurement of experienced burnout. J Organ Behav 1981;2:99-113. 

  17. Choi HY, Jung C. Perfectionism tendency, social support, and burnout among counselors. Korean J Health Psychol 2003;8:279-300. 

  18. Puchalski CM. Spirituality in the cancer trajectory. Ann Oncol 2012;23 Suppl 3:49-53. 

  19. Kim SN, Choi SO. Nurses' death anxiety and spirituality. J Korean Acad Soc Nurs Edu 2010;16:101-10. 

  20. Kim SN. Spirituality among physicians and nurses in metropolitan cities. J Korean Psychiatr Ment Health Nurs 2010;19:143-53. 

  21. Hong SS, Hong JA, Jeon WH. Spirituality and stress of clinical practice among nursing students. J Korea Contents Assoc 2013;13:361-9. 

  22. Kim J, Lee SJ, Lee WH. The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ity and fighting spirit among cancer patients in Korea. J Korean Acad Adult Nurs 2005;17:583-91. 

  23. Lee KY, Kim CH, Kim DW. Development of the spirituality scale. Korean J Counsel Psychother 2003;15:711-28. 

  24. Choi SO, Kim SN, Shin KI, Lee JJ. Meaning in life of a resident community of normal adults. J Korean Acad Adult Nurs 2002;14:359-67. 

  25. Chandler C, Holden J, Kolander C. Counseling for spiritual wellness: theory and practice. J Counsel Develop 1992;71:168-75. 

  26. Stoll R. The essence of spirituality. In: Carson V, ed. Spiritual dimension of nursing practice. Philadelphia:Saunders;1989. 

  27. Kwen HS. Death readiness and death anxiety of cancer patients [master's thesis]. Jeonju: Chonbuk Univ.; 2010. Korean. 

  28. Lim SJ, Song SH. Effects of death attitude on death anxiety. J Korean Contents Assoc 2012;12:243-55. 

  29. Kang JH. A study on intensive care unit nurses recognition of death [Master's Thesis]. Seoul: Sahmyook Univ.; 2011. Korean. 

  30. Yang YE. Relationship among spiritual well-being, spiritual need and burnout of nurses [master's thesis]. Seoul: The Catholic Univ.; 2009. Korean. 

  31. Cho HJ, Kim ES. The effect of the death education program on the death anxiety and attitudes toward nursing care of the dying patients of the nursing student.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05; 8:163-72. 

  32. Choi WS. A study on the elderly's ego integrity and death anxiety. J Korean Gerontol Soc 2007;27:755-73. 

  33. Park HS, Kim KN. Factors affecting burnout in ICU Nurses. J Korean Acad Fundam Nurs 2010;17:409-18. 

  34. Jeung EH. Psychosocial stress and burnout related to violence in emergency room [master's thesis]. Kwangju: Chonnam Univ.; 2011. Korean. 

  35. Choi KY. Relationship among burn ou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certificated registed nurse anesthetist [master's thesis]. Busan: The Catholic Univ.; 2011.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