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하수위 변동 해석모델을 이용한 제주지역의 수리지질 매개변수 민감도 분석
Sensitivity Analysis of Hydrogeologic Parameters by Groundwater Table Fluctuation Model in Jeju Island 원문보기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34 no.5, 2014년, pp.1409 - 1420  

김남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김윤정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정일문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지하수위 변동 해석모델을 이용하여 제주지역의 대수층 수리지질 매개변수인 반응계수와 배수가능공극을 추정하고 고도에 따른 분포특성 및 민감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대수층 매질의 특성치인 배수가능공극은 고도에 대해 일정한 경향성을 보이지 않으며 지하수의 흐름 특성치인 반응계수는 고도가 높아질수록 낮아지는 뚜렷한 경향성을 보였다. 매개변수들에 대한 민감도를 알아보기 위해 매개변수의 평균 및 관계식을 이용하여 추정함양량을 비교한 결과, 전 유역(강정천, 외도천, 천미천, 한천)에 대한 매개변수 관계식을 적용하여도 미계측 유역내 매개변수의 추정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대표적인 수리지질 매개변수의 분포특성을 파악하여 미계측지역에서 매개변수를 추정함으로써 지하수모델링의 기초자료로도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work, we have carried out a sensitivity analysis of hydrogeologic parameters such as reaction factor and drainable pore space in groundwater table fluctuation model and have found characteristics of parameter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altitude. We found that drainable pore space which i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오차 추정식은 모델의 정밀도를 확인하는데 흔히 사용되는 RMSE (root mean square error)를 적용하였다. RMSE를 이용하여 실제모델에서 최적 매개변수를 적용하여 추정한 함양량과 각 최소 및 최대, 평균(추세값)을 적용한 경우의 추정함양량과의 오차를 이용하여 매개변수의 변화에 따른 모델의 민감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Eq. (4)).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개발된 해석모델을 제주도 중부및 동부지역과 같이 비교적 넓은 유역에 적용함으로써 수리지질학적 매개변수 추정방법을 점검하고 매개변수의 지역적인 특성에 대한 일반성을 구하고자 하였다. 또 수리인자들의 분포특성과 각 매개변수에 따른 추정함양량을 이용하여 미계측지역에 대한 예측 가능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예측한 매개변수는 향후 지하수 해석에 필요한 모델링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수집한 2006년부터 2010년까지의지하수위 관측자료(해수면기준) 중 자료가 없는 기간이 길거나 지하수위의 양상을 예측하기 어려운 구간에서 결측이 발생한 관측 자료는 매개변수 추정시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또 자료의 관측기간이 1년 미만이며 지하수위 변동이 없어 매개변수 추정이 어려운 관측지점도 제외하여 관측자료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수리지질학적 매개변수 추정의 방법론적인 점검방법으로 활용하는 동시에 미계측지역에 대한 수리인자를 예측하여 지하수 해석에 필요한 모델링의 기초자료로도 활용하고자 한다.
  • (2013b; c)이 제안한 지하수위 변동 해석모델은 지하수위 관측자료와 수문모형의 침루량을 이용하여 매개변수인 반응계수와 배수가능공극을 직접 추정할 수 있으며 지하수의 함양시계열을 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당 모델을 이용하여 수리지질학적 매개변수(반응계수, 배수가능공극)를 추정하고 지역적인 분포특성을 분석하여 미계측유역의 매개변수 예측에 활용하고자 한다. 추정한 매개변수의 적용하였을 때, 모델의 신뢰도를 판단하기 위해 매개변수 변화에 대한 추정 함양량의 민감도를 분석하였다.
  • 따라서 해석모델 적용시 매개변수 산정에 있어 신중을 기해야 한다. 본 절에서는 각 매개변수의 변화가 모델의 추정 함양량 및 함양시계열에 미치는 영향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 (2014)에 의해 한천유역에 제한적으로 적용된 바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모델의 적용범위를 제주도 중부 및 동부지역으로 확장하여 유역별 수리지질학적 매개 변수의 특성을 규명하고 미계측 지역에 대한 매개변수의 추정가능성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 (2014)에 의해 이미 검토된 바 있으나 그 적용 대상이 한천유역으로 국한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개발된 해석모델을 제주도 중부및 동부지역과 같이 비교적 넓은 유역에 적용함으로써 수리지질학적 매개변수 추정방법을 점검하고 매개변수의 지역적인 특성에 대한 일반성을 구하고자 하였다. 또 수리인자들의 분포특성과 각 매개변수에 따른 추정함양량을 이용하여 미계측지역에 대한 예측 가능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또 지하수의 함양(R)이 발생하는 경우, 대수층으로의 유입량(R+Qin)이 늘어남으로써 대수층에서 배출되는 양(Qout)과 함께 저유량(△Q)도 증가하여 지하수위가 상승하게 된다. 지하수 함양이 다시 감소하면 유출량과 지하수위 역시 감소한다는 개념을 토대로 지하수위 변동 해석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배수가능공극은 강우의 유무에 의해 토양층에서의 침루량이 변화함에 따라 지하수위가 변동하면서 충진 또는 배출되는 공극의 부피를 의미하는데 선행강우조건이나 토양의 상태에 따라 시공간 적으로 다양하게 나타난다(Sustainable Water Resources Research Center, 2010). 전술한 바와 같이 지하수위 변화는 강우에 의한 침루량의 변화만으로 발생한다고 가정하여 강우사상의 발생으로 야기되는 토양 침루량과 지하수위 상승폭을 이용하여 매개변수를 추정하였다. 반응계수는 함양에 의해 상승한 지하수위가 하강하면서 배출되는 지하수의 변화율을 나타내는 인자로 강우에 의한 침루량이 없거나 줄어들어 지하수위가 감소하는 구간에서의 변화 량을 이용하여 산정한다(Kim et al.
  • 지하수위 변동 해석모델은 지하수위 변동자료를 해석하여 대수 층의 수리지질학적 매개변수인 배수가능공극(drainable pore space, -)과 반응계수(reaction factor, days-1)를 추정하는 방법으로 지하수의 변동은 지하수의 함량에 의해서만 발생한다는 가정하였으며 모델에 적용한 함양량은 통합수문모형을 이용하여 최하부 토양층의 침루량을 이용하였다. 본 해석모델은 배수시설 설계시지하수의 함양에 의해 상승 및 하강하는 지하수위를 고려하여 배수관으로 배출되는 지하수의 양을 조절하기위해 고안되었는데 본 연구에서는 대수층에서의 함양과 배출에 의한 지하수위 변동을 해석하기위해 적용하였다(Eq.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제주도의 지리적 특성은 어떠한가? 제주도는 여러 화산활동으로 인해 생성된 화산섬으로 우리나라 다우지역 중의 하나임에도 불구하고 한라산을 중심으로 급경사를 형성하는 지형특성과 투수성이 높은 매질의 지질특성 등으로 인해 건천상태의 하천이 발달하였다. 또한 제주지역은 내륙과는 달리 유출률은 낮은 반면 함양율은 높은 특징을 보인다(Sustainable Water Resources Research Center, 2010; Kim et al.
제주지역의 대수층 수리지질 매개변수인 반응계수와 배수가능공극을 추정하고 고도에 따른 분포특성 및 민감도분석한 결과는 어떠한가? 지하수위 변동 해석모델을 이용하여 제주지역의 대수층 수리지질 매개변수인 반응계수와 배수가능공극을 추정하고 고도에 따른 분포특성 및 민감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대수층 매질의 특성치인 배수가능공극은 고도에 대해 일정한 경향성을 보이지 않으며 지하수의 흐름 특성치인 반응계수는 고도가 높아질수록 낮아지는 뚜렷한 경향성을 보였다. 매개변수들에 대한 민감도를 알아보기 위해 매개변수의 평균 및 관계식을 이용하여 추정함양량을 비교한 결과, 전 유역(강정천, 외도천, 천미천, 한천)에 대한 매개변수 관계식을 적용하여도 미계측 유역내 매개변수의 추정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대표적인 수리지질 매개변수의 분포특성을 파악하여 미계측지역에서 매개변수를 추정함으로써 지하수모델링의 기초자료로도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지하수의 함양량을 추정하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는가? 지하수의 함양량을 추정하는 방법에는 하천의 유량자료에서 기저유출을 분리하여 추정하는 기저유출분리법, 질량보존법칙을 기초하여 각 수문성분값을 추정하여 함양량을 추정하는 수문성분 분리법, 삼중수소와 같은 동위원소를 추적자로 이용하여 함양을 추정하는 환경/추적자 활용법이 있다. 이외에도 지하수위 자료를 활용하여 함양량을 산정하는 지하수위 변동법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Bouwer, H. and J. Van Schilfgaarde. (1962). "Simplified prediction method for rainfall of the watertable in drained land." Americ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winter meeting. 

  2. Cho, J. W. and Park, E. G. (2008). "A study on delineation of groundwater recharge rate using water-table fluctuation and unsaturate zone soil water content mode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oundwater Environment, Vol. 13, No. 1, pp. 67-76. 

  3. Choi, B. S. and Ahn, J. G. (1998).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regional groundwater recharger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oundwater Environment, Vol. 5, No. 2, pp. 57-65. 

  4. Chung, I. M., Lee, J. W., Kim, J. T., Na, H. N. and Kim, N. W. (2011). "Development of threshold runoff simulation method for ronoff analysis of Jeju Island."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Vol. 20, No. 10, pp. 1347-1355. 

  5. Fetter, C. W. (2000). "Applied hydrogeology." Prentice-Hall press. 

  6. Healy, R. W. and Cook, P. G. (2002). "Using groundwater levels to estimated recharge." Hydrogeology Journal, Vol. 10, pp. 91-109. 

  7. Kim, G. B., Choi, D. H. and Jeong, J. H. (2010). "Considerations on the specific yield estimation u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rainfall and groundwater level variations."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ol. 20, No. 1, pp. 61-70. 

  8. Kim, N. W., Chung, I. M. and Na, H. N. (2013a). "A method of simulating ephemeral stream runoff characteristics in cheonmi-cheon watershed, Jeju island."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Vol. 22, No. 5, pp. 523-531. 

  9. Kim, N. W., Chung, I. M., Yoo, S. Y., Lee, J. W. and Yang, S. K. (2009). "Integrated surface-groundwater analysis in Jeju island."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Vol. 18, No. 9, pp. 1017-1026. 

  10. Kim, N. W., Kim, Y. J. and Chung, I. M. (2013b). "Development of analyzing model of groundwater table fluctuation (I) : Theory of Mode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33, No. 6, pp. 2277-2284. 

  11. Kim, N. W., Kim, Y. J. and Chung, I. M. (2013c). "Development of analyzing model of groundwater table fluctuation (II) : Characteristics of Recharg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33, No. 6, pp. 2285-2291. 

  12. Kim, N. W., Kim, Y. J. and Chung, I. M. (2014)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arameters in groundwater table fluctuation model."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Vol. 23, No. 4, pp. 615-623. 

  13. Kim, N. W., Na, H. N. and Chung, I. M. (2013d). "Simulation of groundwater variation characteristics of hancheon watershed in Jeju island using integrated hydrologic modeling."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Vol. 22, No. 5, pp. 515-522. 

  14. Smedema, L. K. and Rycroft, D. W. (1983). "Land drainage-planning and design of agricultural." Drainage Systems, Cornel University Press, Ithaca, NY. 

  15. Sustainable Water Resources Research Center (2010).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integrated SWAT-MODFLOW model report. 

  16. Yun, S. W., Jo, Y. J. and Lee, J. Y. (2009). "Comparison of groundwater recharges estimated by waterlevel fluctuation and hydrograph separation in haean basin of Yanggu."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ol. 45, No. 4, pp. 391-40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