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문화가정 어머니가 경험한 자녀의 이중언어교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periences of Multi-cultural Family Mothers in Children's Bilingual Education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4 no.11, 2013년, pp.5549 - 5558  

조승석 (건국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김희순 (숭실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어머니가 경험한 자녀의 이중언어교육을 어머니의 관점에서 바라봄으로써 다문화가족에 대한 이중언어교육의 질적인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베트남 결혼이주여성 7명으로 지속적 비교분석방법을 적용한 질적 연구로 서술하였다. 연구 결과는 공감, 정서교감, 행복감의 정서적 측면, 정체성노출, 모국어교육의 정체성 측면, 교우, 가족, 지역사회의 관계적 측면의 범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자녀의 이중언어교육에 관한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경험에 대해 시도함으로써 다문화가족의 입장에서 필요한 이중언어 지원에 대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imed at qualitatively looking into multi-cultual family mothers' experiences in children's bilingual education. The subjects for the study were seven married immigrant Vietnamese women with elementary school children who have recently finished bilingual education. After recording thei...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중언어교육이란? 다문화가정 자녀에 대한 언어교육은 기존의 일방적인 한국어 학습에서 어머니 나라의 말을 자녀가 함께 학습하는 양방으로 전환되고 있다. 이중언어교육은 두 개 이상의 언어를 구사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는 교육으로[8], 소수 집단 학생들이 주류 언어및 고유 언어를 함께 활용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돕는 것으로 정의한다[9]. 다문화가정 자녀를 대상으로 하는 이중언어교육은 한국어와 부모 나라의 언어 구사능력을 길러주는 교육이다[10].
결혼이주여성들의 한국생활 적응 가운데 가장 큰 어려움은? 결혼이주여성들의 한국생활 적응 가운데 가장 큰 어려움은 한국어능력 부족으로 이로 인한 불안감은 심리적 위축과 자녀교육에 대한 자신감 부족으로 이어지고 있다[3]. 특히 자녀의 학교생활용어와 일상용어의 차이를 이해하지 못하는 이들의 한국어 이해 부족은 자녀교육의 효율성을 저해하고, 이로 인해 자녀가 어머니에게 보이는 무시와 불신은 자녀의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3].
결혼이주여성들의 한국어능력 부족으로 인한 자녀교육에 대한 자신감 부족은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결혼이주여성들의 한국생활 적응 가운데 가장 큰 어려움은 한국어능력 부족으로 이로 인한 불안감은 심리적 위축과 자녀교육에 대한 자신감 부족으로 이어지고 있다[3]. 특히 자녀의 학교생활용어와 일상용어의 차이를 이해하지 못하는 이들의 한국어 이해 부족은 자녀교육의 효율성을 저해하고, 이로 인해 자녀가 어머니에게 보이는 무시와 불신은 자녀의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H. S. Kim, "Migrant Brides and Making of a Multi-cultural Society-Sociological Approach to Recent Discourse on Multi-cultural Korea", Korean Journal of Sociology, 42(2), pp.36-71, 2008. 

  2. T. W. Kim, "A Critical Review of Multi-culture Phenomenon on the Perspective of the Social Integration" The Institute for Korean Culture, 44, pp.389-423, 2010. 

  3. M. H. Kim, H. E. Shin, "Exploring Variabl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Preschooler with Multi-cultural Family Background", Korean Association of Child Studies, 29(2), pp.155-176, 2008. 

  4. G. D. Kim, M. S. Park,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school adaptation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 Focusing on the Cheonan city and Asan city" Social Science Research, 48(1), pp.97-121, 2009 

  5. H. J. Shin, "A Study on Factors that Affect the Ego-identity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Ewha Womans University master's thesis, 2007. 

  6. U. Ko, "The Criteria for Value & Empirical Meaning of Mother Tongue In Case of Parents of Bilingual Children", Journal of speech & hearing disorders, 15(3), pp.143-162, 2006. 

  7. Y. S. Hong, "(A) study on children's educational problem of multi-cultural family and it's implications", Gwa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Mater's thesis, 2007. 

  8. J. S. Hong, "Bilingual Education and the Problem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in Korea", English language education, 21, pp.79-100, 2000. 

  9. Bruce M. Mitchell, Robert E. Salsbury, Encyclopedia of Multi-cultural Education. p. 55, Greenwood Press(CT), 1999. 

  10. C. U. Park, Genesis of Multi-cultural Education, p. 256, Borderless village, 2009. 

  11.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 Republic of Korea,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Services, 2010. 

  12. S. H. Kwon, "Necessity of Bilingual Education and a Policy Suggestion",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34, pp.57-115, 2009. 

  13. M. L. Jang, A Sourcebook of Bilingual studying support program for multicutural parents and child,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10. 

  14. Y. B. Song, "A case study of bilingual education among the elementary multicultural students", Bilingualism, 43, pp.247-275, 2010. 

  15. I. S. Won, "Dual-language program for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self-esteem effects on parent-child relationship",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16(1), pp.89-104, 2012. 

  16. J. L. Kwon, Understanding Multicultural Society, Asia-Pacific Centre of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 p.308-332, 2008. 

  17. H. R. Park, S. K. Han, "Preference Survey of Bilingual Education for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y", Language, Information and Lexicography, 26, pp.197-225, 2010. 

  18. J. Y. Bong, "(A)study on mother's child rearing in multi-cultural families and teacher's education for multi-cultural families", Sungshin Women's University, Doctor's thesis, 2011. 

  19. S. H. Kim, "Qualitative Study on the Problem of Identity of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Family and Culture, 23(2), pp.25-61, 2011. 

  20. B. H. Nam, Y. N. Kim, "A Qualitative Study on the Experiences of Marriage Immigrant Women as School Parents", Youth Welfare Research, 14(4), pp.113-142, 2012. 

  21. S. Y. Lee, "A Study on the Current Situation and Needs of Bilingual education for Stud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Elementary Schools in Seoul", Bilingualism, 46, pp.216-235, 2011. 

  22. J. M. Hong, "Exploratory Research on Multi-cultural Bilingual Education", Journal of International Area Studies, 16(3), pp.279-302, 2012. 

  23. B. U. Kim, "Clarification of the Phenomenological Basic and Methodological Concepts and Searching for Alternative Methods for Improving Acceptability of Phenomenological Research Findings", Sociology of Education, 20(1), pp.25-44, 2010. 

  24. Y. H. Cho, Qualitative Research, p.37, Kyoyookbook, 1999. 

  25. Statistics Korea, Foreign Bride's Nationality, 2012. 

  26. Goldstein, L. S. Teaching with love: A feminist approach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p. 156, New York: Peter Lang Publishing, 1998. 

  27. Creswell, J. W. Qualitative inquiry & research design :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p.141, Hakjisa, 1998. 

  28. Lincoln, Y. S. and E. G. Guba, Naturalistic Inquiry. p.253-276, SAGE Publications, Inc. 2003. 

  29. N. Y. Choi, H. K. Woo, H. S. Jung, S. H. Yi, "Mothers' Parenting Stress in Multi-Cultural Familie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7(2), pp.255-268, 2009. 

  30. H. K. Woo, H. S. Joung, N. Y. Choi, S. H. Yi, G. Y. Lee, "Mothers' Korean Language Ability and Preschoolers' Language Development in Multi-cultural Families, Journal of Child Studies, 30(3), pp.23-36, 2009. 

  31. Y. H. Moon, E. M. Ahn, "The Influence of Bi-cultural Attributes of Children From Female Marriage Immigrants on School Adjustment-Focused on northern Cholla province Rural area", Journal of community welfare, 33, pp.47-68, 2010. 

  32. Petitto, L. A, Katerelos, M., Levy, B, Gauna, K, Tetreault, K., & Perraro, V. "Bilingual singed and spoken language acquisition from birth: Implingual language acquisition", Journal of Child Language, 28(2), pp.453-496, 2001. 

  33. S. Y. Lee, J. A. Choi, "A comparison study of parent and teacher ratings on protective factors and behavioral concerns of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Science Education Research, 43(3), pp.59-84, 2012. 

  34. Okita, Toshie. Invisible Work: Bilingualism, Language Choice and Childrearing in Intermarried Families. p.231-232 Amsterdam: John Benjamins. 2002. 

  35. M. J. Kim, M. K. Yoo, H. K. Lee, K. S. Chong, "Being "Korean" Wives: Dilemmas and Choices of Vietnamese and Filipino Migrants", Korean cultural anthropology, 39(1), 159-176, 2006. 

  36. H. S. Lim, "The Experience of Transition in Pregnancy and Childbirth among the Married Immigrant Women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Women's Health Nursing, 17(3), pp.243-255, 2011. DOI: http://dx.doi.org/10.4069/kjwhn.2011.17.3.24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