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성숙 전곡립 미숫가루와 이를 첨가한 쿠키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Misutkaru and Their Cookies Made with Immature Whole Green Rice and Barely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2 no.11, 2013년, pp.1805 - 1812  

이아영 (대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예슬 (대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정희 (대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미성숙 전곡립인 녹색쌀과 녹색보리로 미숫가루를 제조하여 품질 및 조리 가공 적성을 조사하고, 미숫가루 30% 첨가된 쿠키를 제조한 후 품질 및 관능특성을 평가하였다. 녹색쌀과 녹색보리로 제조된 미숫가루는 대조군인 완숙 곡립의 현미와 찰쌀보리 미숫가루보다 각각 높은 WAI와 점도를 나타내었다. 녹색쌀과 녹색보리 미숫가루의 환원당${\alpha}$-amylase에 의한 가수분해 시 높은 증가율을 나타내어 완숙곡립 미숫가루보다 소화율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녹색쌀과 녹색보리 미숫가루 30%를 첨가하여 제조한 쿠키는 밀가루 100%의 대조군 쿠키보다 단단하고 퍼짐성지수가 감소되고, 어두운 갈색을 띠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미숫가루 첨가군들 중에서 녹색쌀을 함유한 쿠키는 녹색보리를 함유한 쿠키보다 유의적으로 밝고, 감소된 황색과 적색을 나타내었다. 미숫가루에 우유와 꿀을 혼합한 음료의 관능검사 결과 미성숙 곡립인 녹색쌀과 녹색보리는 대조군보다 고소한 맛이 적고 풋내가 강하여 전체적인 기호도는 낮게 평가받았지만, 녹색보리 미숫가루 쿠키의 경우 대조군인 밀가루 쿠키와 비교하여 색상을 제외한 모든 관능평가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평가되어, 미성숙 전곡립인 녹색보리로 제조된 미숫가루를 쿠키를 비롯한 다양한 베이커리 제품에 첨가할 경우 고소한 맛과 향이 부여된 건강 기능성 가공식품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qual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Misutkarus, made from immature-whole green rice (IWGR) and barley (IWGB), and their cookies were assessed. Misutkarus of IWGR and IWGB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water absorption index and viscosity, as well as higher hydrolysis rate by ${\alph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숙 전곡립의 가공식품산업으로의 이용 가치를 높이고, 소비 촉진을 증가시키는 방안으로 미숙 전곡립인 녹색쌀과 녹색찰쌀보리의 풋내 감소화를 위해 볶음 처리하여 제조한 미숫가루의 품질 특성을 평가하고, 쿠키에 첨가하여 제과 적성과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곡류는 출수 후 어떤 과정을 거쳐 성숙이 완료되는가? 곡류는 출수 후 등숙 과정(ripening period)인 유숙기, 호숙기, 황숙기, 완숙기를 거치고 외관상 황색을 띄면서 성숙이 완료된다. 성숙과정 중의 곡류는 녹색으로 독특한 향과 맛을 지니며, 완숙기의 곡류보다 유리당과 유리아미노산 함량이 높고, 특히 필수아미노산의 함량은 두 배 정도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6,7).
성숙과정 중의 곡류의 특징은? 곡류는 출수 후 등숙 과정(ripening period)인 유숙기, 호숙기, 황숙기, 완숙기를 거치고 외관상 황색을 띄면서 성숙이 완료된다. 성숙과정 중의 곡류는 녹색으로 독특한 향과 맛을 지니며, 완숙기의 곡류보다 유리당과 유리아미노산 함량이 높고, 특히 필수아미노산의 함량은 두 배 정도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6,7). 찰쌀보리는 출수 후 일수를 달리하여 수확하였을 때, 미숙한 상태일수록 완숙보다 수분, 조단백, 조지방, 회분, 유리당,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이 높고, 전분과β-glucan의 함량은 낮았으며, 색도는 미숙할수록 명도는 증가하고 적색도와 황색도는 감소하였다(6).
쿠키 제조에 사용된 미성숙 곡립 미숫가루의 호화특성을 RVA로 분석한 결과는? 쿠키 제조에 사용된 미성숙 곡립 미숫가루의 호화특성을 RVA로 분석하여 그 결과를 Table 6에 나타내었다. 녹색쌀과 녹색보리 미숫가루의 호화개시온도(PST)는 각각 57.7°C와 59.1°C로 밀가루(대조군)의 82.4°C보다 낮고(P<0.05), 미숫가루의 최고점도에 이르는 시간은 각각 2.60분과 4.04분으로 밀가루의 4.97분보다 짧게 나타났다(P<0.05). 또한 최고점도, 최저점도, 구조파괴점도, 최종점도 및 노화점도 모두 미숫가루에서 낮게 측정되었다. 미숫가루는 곡류를 침지・증자하여 호화시킨 후 볶음처리하여 제분하였으므로, 재호화 과정은 쉽게 일어나며 노화는 더디게 진행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nderson JW, Hanna TJ, Peng X, Kryscio RJ. 2000. Whole grain foods and heart disease risk. J Am Coll Nutr 19:291S-299S. 

  2. Flint AJ, Hu FB, Glynn RJ, Jensen MK, Franz M, Sampson L, Rimm EB. 2009. Whole grains and incident hypertension in men. Am J Clin Nutr 90: 493-498. 

  3. Jacobs DR Jr, Meyer KA, Kushi LH, Folsom AR. 1998. Whole-grain intake may reduce the risk of ischemic heart disease death in postmenopausal women: the Iowa Women's Health Study. Am J Clin Nutr 68: 248-257. 

  4. Cleveland LE, Moshfegh AJ, Albertson AM, Goldman JD. 2000. Dietary intake of whole grains. J Am Coll Nutr 19:331S-338S. 

  5. Slavin JL, Martini MC, Jacobs DR Jr, Marquart L. 1999. Plausible mechanisms for the protectiveness of whole grains. Am J Clin Nutr 70: 459S-463S. 

  6. Ju JI, Lee KS, Min HI, Lee BJ, Kwon BG, Gu JH, Oh MJ. 2007. Changes i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green barley according to days after heading. Korean J Crop Sci 52: 36-44. 

  7. Kim MC, Lee KS, Lee BJ, Kwon BG, Ju JI, Gu JH, Oh MJ. 2007. Change i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green wheat during matur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307-1313. 

  8. Bae HC, Renchinkhand G, Ku JH, Nam MS. 2011. Characterization of fermented milk added with green whole grains of barley, wheat, glutinous rice and common rice powders. CNU J Agric Sci 38: 485-491. 

  9. Kim JY, Lee KT, Lee JH.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bakery products with whole green wheat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9: 137-146. 

  10. Ji CM, Shin JA, Cho JW, Lee KT. 2013. Nutritional evaluation of immature grains in two Korean rice cultivars during maturation. Food Sci Biotechnol 22: 903-908. 

  11. Chang SM, Kim KH, Kang MY. 2001. Varietal difference in processing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Misukaru" in rice. Korean J Breed 33: 73-79. 

  12. Majzoobi M, Radi M, Farahnaky A, Jamalian J, Tongdang T, Mesbahi G. 2011.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re-gelatinized wheat starch produced by a twin drum drier. J Agric Sci Technol 13: 193-202. 

  13. Kim HY, Lee IS, Kang JY, Kim GY. 2002.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with various levels of functional rice flour.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642-646. 

  14. AACC. 1983. Approved methods of the AACC. 10th ed.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St. Paul, MN, USA. Method 10-50D. 

  15. Hwang IK, Kim JW, Byun JW, Han JS, Kim SH, Park CK. 2013. Essential food science. Soohaksa, Seoul, Korea. p 55-65. 

  16. Kwon JH, Park GH, Park YG, Lee KT, Choi SW, Hwang GT. 2008. Food chemistry. Shinkwangpub, Seoul, Korea. p 93-104. 

  17. Waliszewski KN, Aparicio MA, Bello LA, Monroy JA. 2003. Changes of bahana starch by chemical and physical modification. Carbohydr Polym 52: 237-242. 

  18. Seog HM, Kim JS, Hong HD, Kim SS, Kim KT. 1993. Changes in chemical composition of maturing barley kernels. J Korean Agric Chem Soc 36: 449-455. 

  19. Duss R, Nyberg L. 2004. Oat soluble fibers ( $\beta$ -glucans) as a source for healthy snack and breakfast foods. Cereal Foods World 49: 320-325. 

  20. Shin HH, Park BS, Lee SH, Kim YS, Hwang JK. 2005. Effects of extrusion and enzyme treatment on characteristics of whole grains.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15-22. 

  21. Lee YT, Seog HM, Kim SS, Kim KT, Hong HD. 1994. Changes i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immature barleys kernels during roasting.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336-342. 

  22. Lim EJ, Huh CO, Kwon SH, Yi BS, Cho KR, Shin SG, Kim SY, Kim JY. 2009. Phys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cookies with added leek (Allium tuberosum rotter) powder. Korean J Food Nutr 22: 1-7. 

  23. Kim JH, Lee YT. 2004. Effects of barley bran on the quality of sugar-snap cookie and muffin. J Korean Soc Food Sci Nur 33: 1367-1372. 

  24. Kwon YR, Jung MH, Cho JH, Song YC, Kang HW, Lee WY, Youn KS.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cookies prepared with different amylose cont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832-838. 

  25. Lee JS, Jeong SS.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prepared with button mushroom (Agaricus bisporous)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5: 98-105. 

  26. Lee JA, Park GS, Ahn SH. 2002. Comparative of physicochemical and sensory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added with barleys and oatmeals.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 238-246. 

  27. Lee JO, Lee SA, Kim KH, Choi JJ, Yook HS.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added with hot-air dried yellow and red onion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342-347. 

  28. Yang SM, Kim SH, Shin JH, Kang MJ, Sung NJ.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added with asparagus powder. J Agric Life Sci 44: 67-7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