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문헌정보학 교육에서 문제기반학습법 적용이 자기조절학습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 인지적·동기적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
The Effects of Problem-Based Learning o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in LIS Education: Based on Cognitive and Motivational Components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47 no.4, 2013년, pp.103 - 124  

이정미 (서울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과 교과목에 문제기반학습을 적용한 자기조절학습모형을 설계해 실행한 후 학습자의 인지적 동기적 자기조절학습능력의 변화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수강생들의 자기조절학습능력의 변화를 사전 사후 동일 검사지로 설문조사하여 살펴보았다. 인지적 동기적 자기조절학습능력은 각각 일반적 영향과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해당 자기조절학습능력의 세부하위요인들의 학습 전 후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성은 대응표본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문제기반학습법은 학생들의 인지적 동기적 자기조절학습능력의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밝혀냈으며 동기적 자기조절학습능력에 있어서는 후속 연구에 대한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how Problem-Based Learning method effects on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especially for the LIS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e differences in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were examined as a pre and a post survey using the same questionnai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사례 연구는 문헌정보학과 1개 교과목에 PBL 적용 자기조절학습모형을 설계해 실행한 후 인지적 · 동기적 구성요소를 바탕으로 한 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능력의 변화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학생들의 사전/사후 자기조절 학습능력을 비교분석하여 요소별, 전체별 자기조절학습능력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며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제시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 국내 문헌정보학 교육법에 관한 연구는 프로젝트 중심의 학습법에 대한 사례연구(한승희 2008) 이외에는 이렇다한 특정 연구가 존재하지 않는다. 본 연구는 문제를 단순히 해결한다는 측면의 학습이 아닌 문제상황에 대한 판단, 해결의 과정과 이를 당면할 또 다른 문제상황의 기회로 바라보는 자기조절전략을 설정하는데 문제해결 학습법이 얼마나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지 알아볼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또한 이러한 의의를 비추어볼 때 문제기반학습법과 자기조절학습전략의 관계성을 살펴보는 것은 이후 문헌정보학 교육의 방향을 조명함에 있어서도 그 의의가 충분하다 할 것이다.
  •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 교과목에 PBL 적용 자기조절학습모형을 설계해 실행한 후 자기조절학습전략의 변화를 비교 · 분석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과 데이터베이스개론 수강생 21명을 대상으로 PBL 학습 전 · 후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대한 비교분석을 목적으로 한 연구이다.
  • 연구문제는 문제기반학습법이 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 능력에 얼마나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기 위해 과 같은 연구모형을 바탕으로 검증하였다.

가설 설정

  • 연구문제 3. PBL 적용 자기조절학습모형을 바탕으로 한 수업 전후에 측정한 학생들의 인지적 자기조절학습능력과 동기적 자기조절학습능력은 일정한 상관관계를 가질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문제기반학습이란? 문제기반학습(Ploblem-Based Learning, PBL)이란 주어진 문제를 바탕으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찾아가는 과정상의 모든 경로를 중요시하며 해결책을 찾아가는 활동과정에서 이루어지는 학습이다(Barrows and Tamblyn 1980). PBL 과정에서 학생들은 해당교과목의 주제내용과 관련된 현실상황을 예견할 수 있는 문제상황을 부여받게 되고 교수자는 학생들이 스스로 문제를 이해하고, 문제해결을 위해 자료탐색, 동료와의 토론과 같은 방법을 통해 능동적으로 주어진 문제를 해결해 나갈 수 있도록 안내자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게끔 해당 교과목의 전체적인 내용을 설계하게 된다.
자기조절학습전략이란? 자기조절학습전략(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SRL)이란 학습자가 스스로 학습요구를 파악하고 당면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학습의 전과정을 스스로 통제하고 자신에게 적합한 학습절차 또는 과정 및 전략을 활용함으로써 학습을 개선하는 능동적 · 적극적인 학습전략을 일컫는다(Zimmerman and Schunk 2011). 간단히 초인지,1) 전략적 행동(계획수립, 수시점검, 개인적인 진전에 대한 평가 등)과 학습동기에 의해 이끌어지는 학습을 말한다(Butler and Winne 1995; Winne and Perry 2000; Zimmerman 1990).
문제기반학습이 정보화시대에 요구되는 지식통합능력의 고양을 위한 방안으로 제시되는 이유는? PBL은 주어진 문제상황을 해결해나가는 과정에서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기존 지식과 경험이 반영되며, 동료와의 토론과 자료탐색 등의 2차적 노력을 통해 주어진 문제해결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익혀 최종적으로 얻어진 지식과 기술을 통합적으로 사용해 문제해결 및 상황대처가 가능하도록 하는 학습 방법으로 의학분야를 중심으로 소개, 적용되어왔다(Barrows 1986). 이러한 학습방법은 현장에서 자주 발생하는 문제를 하나의 문제상황으로 학생들에게 제시하여 실제 현장은 아니더라도 수업과정에서 현장과 유사한 경험을 학습하게 한다는 장점이 있으며, 문제해결과정에서 일어나게 되는 시행착오를 경험하면서 동료와의 협력, 비판적 사고능력의 함양 등을 경험하면서 학생들 스스로 해결책을 만들어내고 스스로 평가하게 되는 과정을 거침으로서 학생들의 학습 독립성, 학습에 있어서 자기조절학습능력의 성장을 도모한다. 바로 이러한 부분들 때문에 문제기반학습은 정보화시대에 요구되는 지식통합능력의 고양을 위한 방안으로서도 제시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강명희, 강주현, 최형신, 엄소연. 2008. 의학 PBL(Problem-Based Learning)에서 학습자가 평가한 튜터의 역할이 상호작용 및 학습결과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학연구, 39(3): 1-25.(Kang, Myunghee, Kang, Joo-Hyun, Choi, Hyungshin, & Um, So Yeon. 2008. "The Effects based Learners' Perceived Roles of a Tutor on Interactions and Learning Outcomes of Problem-Based Learning in Medical Education."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39(3): 1-25.) 

  2. 강미량. 2003. PBL이 아동의 사회도덕성에 미치는 영향. 강인애 (편), PBL의 이론과 실제(175-220). 서울: 문음사.(Kang, Miryang. 2003. Effects on Children's Social Morality. In Kang, Inae (Eds,), Theories and practices of PBL (175-220). Seoul: Muneumsa.) 

  3. 강인애. 1997. 왜 구성주의인가?. 서울: 문음사.(Kang, Inae. 1997. Why constructivism? Seoul: Muneumsa.) 

  4. 강인애. 2003. PBL의 이론과 실제. 서울: 문음사.(Kang, Inae. 2003. Theories and practices of PBL. Seoul: Muneumsa.) 

  5. 김태우, 이상봉. 2010. 기술?가정과 '기술과 발명'단원에서 문제기반학습이 기술적 문제해결능력 함양에 미치는 효과.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0(2): 58-77.(Kim, Taw-Woo, & Yi, Sang-Bong. 2010. "The Effects of Problem-Based Learning on Technical Problem Solving Ability in the Unit of 'Technology and Invention' in the subject of Technology-Home Economics." The Korean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 10(2): 58-77.) 

  6. 박미호. 2003. 문제중심학습이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력 수준에 따라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Park, Miho. 2003. Effects on Problem-Based Learning for Self Efficac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of Learn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7. 박종현, 양용칠. 2013. 모바일 환경에서 자기조절학습 지원도구의 설계. 사고개발, 9(1): 197-217.(Park, JongHyun, & Yang, Yong-Chil. 2013. "A tool Design to Support Self-Regulated Learning in Mobile Environments." Thinking Development, 9(1): 197-217.) 

  8. 서정돈, 안병현. 2005. 하워드 배로우스의 문제중심학습법. 서울: 성균관대학교출판부.(Seo, Jungdon, & Ahn, Byunghyun. 2005. Problem-Based Learning by Howard Barrows. Seoul: Sungkyunkwan University Press.) 

  9. 양명희. 2000. 자기조절학습의 모형탐색과 타당화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Yang, Myunghee. 2000. Study on exploring the Model of Self-Regulated Learning and its Validity. Ph.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10. 이기종, 곽수란. 2010. 학업성취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공부시간 효과 추정. 조사연구, 11(1): 43-61.(Lee, KiJong, & Kwak, Sooran, 2010. "The Effects of Study-time on the Variations of Academic Achievements." Survey Research, 11(1): 43-61.) 

  11. 조연순. 2006. 문제중심학습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Cho, Yeonsoon. 2006. Theories and practices of Problem-Based Learning. Seoul: Hakjisa.) 

  12. 최희정. 2004. 문제중심학습이 간호학생의 비판적 사고, 메타인지 및 문제해결과정에 미치는 영향. 대한간호학회지, 34(5): 712-721.(Choi, Heejung. 2004. "The Effects of PBL(Problem-Based Learning) on the Metacongnition, Critical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Process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Nursing, 34(5): 712-721.) 

  13. 한상길 외 5인. 2007. 교육학개론. 경기: 공동체.(Han, Sang-Kil etc. 2007. Introduction to Eduction Science. Kyunggi: Gongdongchae.) 

  14. 한승희. 2008. 문헌정보학 교육에서 프로젝트 중심 학습법이 학생의 문제해결능력 및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사례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3): 81-101.(Han, Seung-Hee. 2008. "The Effects of the Project-Based Learning on LIS Education: Focused on Students' Problem-Solv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2(3): 81-101.) 

  15. 홍기칠. 2009. 자기주도 학습력 수준에 따른 문제중심학습의 효과. 사고개발, 5(2): 25-48.(Hong, Ki-Chil. 2009. "The Effects of Problem-based Leaning by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Level." Thinking Development, 5(2): 25-48.) 

  16. 홍현진. 2000. 21세기 정보전문직의 역할과 능력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1(3): 277-301.(Hong, Hyun-Jin. 2000. "A Study on Competencies and Roles of Information Professionals in the 21st Century."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1(3): 277-301.) 

  17. Barrows, H. S. 1986. "A taxonomy of problem-based learning methods." Med Educ, 20(6): 481-486. 

  18. Barrows, H. S. 1994. Practice-based learning: Problem-based learning applied to medical education. Springfield, IL: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19. Barrows, H. S., & Tamblyn, R. M. 1980. Problem based learning: An approach to medical education.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Company. 

  20. Butler, D. L., & Winne, P. H. 1995. "Feedback and self-regulated learning: A theoretical synthesi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5: 245-281. 

  21. Carr, M., Borkowski, J. G., & Maxwell, S. E. 1991. "Motivational Components of Underachievement." Developmental Psychology, 27(1): 108-118. 

  22. Corno, L. 1986. "The metacognitive control components of self-regulated learning."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11: 333-346. 

  23. Corno, L., & Mandinach, E. B. 1983. "The role of cognitive engagement in learning from instruction." Educational Psychologist, 18: 88-108. 

  24. Fogarty, R. 1997. Problem-based learning & other curriculum models for the multiple intelligences classroom. Arlington heights. IL: IRI SkyLight. 

  25. Garcia, T., & Pintrich, P.R. 1994. Regulating motivation and cognition in the classroom: the role of self-schemas and self-regulatory strategies. In D.H. Schunk and B.J. Zimmerman (Eds.), Self-Regulation on Learning and Performance: Issues and Applications (pp.132-157), NJ, Hillsdale,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6. Kaplan, A., Lichtinger, E., & Gorodetsky, M. 2009.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and self-regulation in writing: An integrative perspectiv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01: 51-69. 

  27. Pintrich, P. R., & De Groot, E. V. 1990. "Motivational and self-regulated learning components of classroom academic performan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2(1): 33-40. 

  28. Pintrich, P. R., Marx, R. W., & Boyle, R. A. 1993. "Beyond cold conceptual change: The role of motivational beliefs and classroom contextual factors in the process of conceptual change."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3: 167-199. 

  29. Pintrich, P.R., Smith D.A.F., Garcia T., & McKeachie W.J. 1993. "Reliability and predictive validity of the motivated strategies for learning questionnaire(MSLQ)."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53: 801-803. 

  30. Savory, J., & Duffy, T. 1994. "Problem-based learning: An instructional model and its constructivist framework." Educational Technology, 34(7): 1-16. 

  31. SLA, 2003. "Competencies for Information Professionals of the 21st Century." [online]. [cited 2013.9.1]. . 

  32. Trop, L., & Sage, S. 2002. Problems as possibilities: Problem-based learning for K-12 education (2nd ed.), Alexandria, VA: Association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33. Winne, P. H., & Perry, N. E. 2000. Measuring self-regulated learning. In Pintrich, P., Boekaerts, M., & Seidner, M. (Eds.), Handbook of self-regulation (531-566). Orlando, FL: Academic Press. 

  34. Zimmerman, B. J. 1986. "Becoming a self-regulated learner: Which are the key subprocesses?"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11: 307-313. 

  35. Zimmerman, B. J. 1989. "A Social cognitive view of self-regulated academic learning."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1: 329-339. 

  36. Zimmerman, B. J. 1990.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An overview." Educational Psychologist, 25: 3-17. 

  37. Zimmerman, B. J., & Martinez-Pons, M. 1986. "Development of a structured interview for assessing student use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23(4): 614-628. 

  38. Zimmerman, B. J., & Martinez-Pons, M. 1990. "Student differences in self-regulated learning: Relating grade, sex, and giftedness to self-efficacy and strategy us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2(1): 51-69. 

  39. Zimmerman, B. J., & Schunk, D. H. 2011. Self-regulated learning and performance: An introduction and an overview. In B. J. Zimmerman & D. H. Schunk, Handbook of selfregulation of learning and performance. New York: Routleg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