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학 문제중심학습에 기초한 창의성통합교육모형(C-PBL)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of Creativity Integrated Problem-Based Learning Model for Nursing Education 원문보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17 no.3, 2011년, pp.433 - 443  

강소영 (부산가톨릭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at (a) developing an instructional model of creative thinking education on the problem-based learning method (C-PBL) in undergraduate nursing curriculum at one University, and (b) examining its effect on nursing students' level of creativity and outcomes from problem-bas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09년 1학기 수강신청 오리엔테이션에서 ‘C-PBL사례간호’ 교과목과 본 연구에 대해 소개하면서 연구 참여자를 모집하였고, 전체 60명 중 C-PBL사례간호 교과목을 수강 신청한 45명을 실험군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C-PBL을 통한 창의성 효과를 살펴보는 것이 궁극적인 목적이기 때문에 PBL을 적용한 대조군이 필요하였다. 그러나 연구를 수행했던 대학교 간호학과의 3학년의 총 학생수가 60명에 불과하여 동일 교과과정에 있는 동급학년에서는 대조군을 선정할 수가 없어 부득이하게 실험군과 다른 학년을 대조군으로 선정할 수밖에 없었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 학부과정에 간호학 문제중심학습을 기초로 창의성통합교육(C-PBL)을 개발하여 적용한 후 간호학생의 학습효과를 파악하는 교육모형 개발연구로써, C-PBL 적용한 실험군의 창의성과 문제중심학습 성과를 PBL 적용한 대조군과 비교하여 교육모형의 효과를 확인한 비동등성대조군 전후실험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design)로 진행되었다.
  • 본 연구는 간호학 PBL과정에 창의적 문제해결과정을 접목 시킨 간호학 ‘문제중심학습에 기초한 창의성통합교육(Creativity-integrated Problem-Based Learning, 이하 C-PBL)’모형을 개발하여 이를 교수-학습과정으로 운영하고, C-PBL이 간호학생의 창의성과 문제중심학습 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간호학과 교육과정으로 운영되고 있는 PBL에 창의적 문제해결법을 접목시킨 C-PBL모형을 개발하여 간호학생에게 적용하였고, C-PBL이 창의성과 문제중심학습 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시도되었다. 4년제 간호학과 학부 과정 학생 43명을 실험군으로, 54명을 대조군으로 선정하여 2009년 2월부터 6월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시행전 후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성인간호학 사례를 중심으로 PBL에 창의성훈련을 결합시킨 C-PBL을 개발하여 교과목으로 운영하였고, 그 효과를 PBL대조군과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결과, C-PBL로 학습한 실험군이 PBL로 학습한 대조군보다 창의적 능력, 동기 및 태도 모두 유의하게 높아졌다.
  • 그러나 창의성을 교육시킨 과정에 중점을 두어 보고하였기 때문에 창의성 훈련방식이나 내용, 훈련 효과를 확인할 수가 없었다. 본 연구를 수행하면서 가장 어려웠던 점이 간호학 교수-학습내용상에서 간호 실무를 소재로 창의적 도전과제를 고안해 내는 것이었고, 또한 기존 PBL과정에서 과제수행을 창의적으로 이루어지게 어떻게 진행할 것인지를 설계하는 것이었다. Le Storti 등(1999) 연구결과는 기존 간호문제와 환자가 처해있는 상황을 다른 관점에서 확인했을 때 창의적 도전과제가 될 수 있다는 점, 그리고 간호문제나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하나의 프로젝트방식으로 중재안을 다각적으로 모색하고 이를 정교화 시킬 때 창의적 간호 안이 도출될 수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에서 고안한 C-PBL과 일치하고 있고, PBL을 창의성훈련으로 연결한 모형의 타당성을 뒷받침한다고 하겠다.
  • 단지 창의성을 강화시키기 위한 PBL교육의 가능성을 모색해보거나 교육 자료만 개발하여 제시한 소수 국내 연구만 있을 뿐이다(최유현, 2005). 이에 본 연구결과를 직접 비교, 논의할 수 있는 선행연구가 없기 때문에 기존 창의성훈련 관련 연구결과나 PBL을 통한 창의성효과를 살펴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간접적으로나마 고찰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문제중심학습은 언제부터 간호교육에 소개되었는가? 창의성교육을 위해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 이하 PBL)’방식의 간호전공 교과목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1997년경부터 PBL이 간호교육에 소개되었고, 다수 간호학과에서 간호전공 교과과정 전체 또는 일부로 PBL을 운영하고 있다(김희순 등, 2004). PBL은 제시된 간호 상황에서 문제를 밝혀내고,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간호학 관련 지식, 태도, 기술을 탐구하여 이를 효과적으로 학습하는 것이다.
창조산업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것은? UN은 ‘창조경제보고서 2010’에서 금융위기이후 세계시장에서 창조산업만이 10%이상의 성장을 거듭하고 있으며, 향후 글로벌 경제성장과 개발을 주도하는 것은 창조산업임을 강조하였다(United Nations, 2010). 창조산업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창의성 중심 직종(creativity-oriented job)을 확대시켜야 하고, 무엇보다도 업무기술과 의욕을 지닌 개개인을 창의적 인력(creative workforce)으로 재탄생시킬 수 있는 교육기반과 훈련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Martin & Florid, 2009; United Nations, 2010). 간호계도 예외가 될 수 없다.
간호학에서 창의성교육 연구는 언제 시작되었는가? 간호학에서 창의성교육 연구는 1960년대부터 시작되었다. Torrance(1964)는 간호교육을 통해 학생의 창의성은 높아진다고 한 반면에, Eisenman(1970)은 횡․ 종단연구를 통하여 간호 교육으로 인해 학생의 창의성은 오히려 낮아진다는 상반된 연구결과를 보고하고 있어 간호교육이 창의성계발에 효과적인 지조차도 분명하지 않은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강소영 (2008). 간호사, 당신의 손끝에 숨겨진 창의적 아이디어. 서울: CMOE 출판사. 

  2. 김선희, 김언주, 박은희, 심재영 (2006). PBL프로그램이 창의성 및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아동교육, 15(3), 285-297. 

  3. 김영채, 윤정륜, 문창현 (2000). 창의적 사고의 교수-학습: 열린 교육과 관련하여. 교육학논총, 21(1), 199-219. 

  4. 김영채 (2004). 한국판 TTCT, 표준화 창의력 검사요강(개정 2판). 대구: 토란스 창의력 한국FPSP/현곡 R&D. 

  5. 김희순, 고일선, 이원희, 배성연, 심정언 (2004). 간호학 문제 중심 학습 효과 평가: 일개 교과목을 중심으로. 아동간호학회지, 10(4), 395-405. 

  6. 박병기, 강현숙 (2006). 자기보고형 통합 창의성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교육심리연구, 20(1), 155-177. 

  7. 박수홍, 정주영, 배진희 (2007). 대학생을 위한 문제중심학습 (PBL) 프로그램 개발: 간호임상실습을 중심으로, 교육방법 연구, 19(1), 21-39. 

  8. 송영선 (2007). 뉴로피드백 훈련이 간호대학생의 창의성 증진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3(2), 184-191. 

  9. 양진주 (2006). 문제중심학습이 간호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문제해결과정에 미치는 효과. 간호행정학회지, 12(2), 287-294. 

  10. 오희진, 김상달, 이용섭 (2005). 중학교 과학수업에서 문제중심학습이 창의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구과학회지, 26(1), 1-8. 

  11. 우옥희 (2000).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이 학습자의 메타인지 수준에 따라 문제해결과정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서울. 

  12. 유귀옥 (1996). 성인학습자의 자기주도성과 인구학적 및 사회심리적 변인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서울. 

  13. 이봉덕 (2006). 창의력 개발을 위한 패션디자인 교육방안 연구-직관력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30(3), 487-496. 

  14. 이향련 (2006). 한국간호교육제도의 현황, 문제점 및 전망. 간호학 탐구, 15(2), 69-88. 

  15. 정복례 외 (2006), 문제중심학습모듈개발. 서울: 현문사. 

  16. 최석민 (2003). 창의성 교육의 접근방식 탐색. 교육철학, 23, 315-331. 

  17. 최유현 (2005). 창의적 공학교육을 위한 문제중심학습(PBL)의 모형과 절차의 탐색. 공학교육연구, 8(1), 99-112. 

  18. 최희정 (2004). 문제중심학습이 간호학생의 비판적 사고, 메타 인지 및 문제해결과정에 미치는 영향. 대한간호학회지, 34(5), 712-721. 

  19. Bailey, J. T., McDonald, F. J., & Clous, K. E. (1970). Evaluation of the development of creative behavior in an experimental nursing program. Nursing Research, 17, 100-108. 

  20. Eisenman, R. (1970). Creativity change in student nurses: A cross-section and longitudinal study. Developmental Psychology, 3(3), 320-325. 

  21. Le Storti, A. J., et al. (1999). Creative thinking in nursing education: Preparing for tommorw's challenges, Nursing Outlook, 47(2), 62-66. 

  22. Martin, R. Florida, R. (2009). Ontario in the creative age, Ontario; Martin Prosperity Institute. Retrieved October 10, 2011, from Martin Prosperity Institute Web site: http://www.martinprosperity.org/research-and-publications/publ ication/ontario-in-the-creative-age-project 

  23. Story, L., & Butts, J. B., (2010). Compelling teaching with the Four Cs: Caring comedy, creativity and challenge,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9(5), 291-294. 

  24. Thomas, B. (1979). Promoting creativity in nursing education, Nursing Research, 28(2), 115-119. 

  25. Torrance, P. N. (1964). Does nursing education reduce creativity? Nursing Outlook, 12, 27-30. 

  26. Treffinger, D. J., Isaksen, S. G., & Dorval, K. B. (2000). CPS: 창의적 문제해결 (김영채 역, 2004). 서울: 박영사. 

  27. United Nations (2010). Creative Economy Report 2010, UNCTAD. Retrieved October 10, 2011, form UNCTAD Web site: http://www.unctad.org/en/docs/ditctab20103_en.pdf. 

  28. Wells, S. M., Warelow, P. J., & Jackson, K. L. (2009). Problem based learning(PBL): A conundrum. Contemporary Nurse, 33(2), 191-201. 

  29. Zudaidah, S. (2005). Problem-based learning: Literature review. Nursing Journal of Singapore, 32(4), 50-5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