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논문에서 용어와 풀이말을 자동 추출한 결과로,
시범 서비스 중입니다.
인도는 2007년 고등학교의 정보교과 교육과정을 발표한 이후, 고등학교와 연계된 교육을 위해 2013년 6월 초등학교 수준의 교육과정을 발표하였다. 인도 교육과정 중 특징적인 것은 교육과정의 구조는 나선형을 지향하지만, 교육 방법은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을 강조하고 있다. 교육과정의 패러다임을 바꾼 브루너의 '지식의 구조'에 근간하여 교육과정을 개정하였다. 본 연구는 나선형 교육과정을 지향하면서, 교육의 현장에서는 '내러티브적' 사고를 강조한 인도의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하나의 교육과정에서 '지식구조론'과 '내러티브' 이론을 동시에 표현한 인도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정보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육적 함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Following the announcement made in 2007of the information education curriculum for high schools, India followed through with a similar announcement in June 2013 for an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to be linked with that of the high schools. As a characteristic feature of India's educational curriculum, the structure is "helical" in nature, whil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s emphasized as a key method for education. During the past few years India has revised its educational curriculum based on Bruner's 'Structure of Knowledge,' which has changed the paradigm of the nation's educational curriculum. This study analyzed India's educational curriculum that aims at a helical structure and, at the same time, emphasizes 'narrative' thinking in schools.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possible suggestions or implications for Korea's information education curriculum by analyzing India's education that concurrently seeks to employ 'Structure of Knowledge' and 'Narrative' theories in a single educational curriculum.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그러나 평가가 평가로 그치지 않기 위해서는 우리나라 정보교과에서의 실천이나 교육과정 구성, 학습자들의 역량 강화를 위한 다양한 노력들로 이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30년이 지난 지금까지 교육과정의 기저에 자리잡은 브루너의 이론에 근거하여 실제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제시했다는데 의미가 있다. 따라서 향후에는 다양한 나라들의 교육과정이 갖는 의미를 분석하고, 우리의 정보교육에서 지향해야 할 방향이 무엇인지를 밝혀나가야 할 것이다.
즉, 성인이 되었을 때도 유용한 지식을 나선형으로 배움으로써, 반성과 성찰의 과정을 통해 궁극적으로 지식에 근접하게 된다. 본 연구는 인도 CMC를 지식의 구조 관점과 내러티브 관점에서 분석하고, 교육과정 구성의 적절성을 평가하였다. 그러나 평가가 평가로 그치지 않기 위해서는 우리나라 정보교과에서의 실천이나 교육과정 구성, 학습자들의 역량 강화를 위한 다양한 노력들로 이어져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교육과정의 역사에서 패러다임 전환을 가져온 브루너의 지식구조론과 내러티브 이론에 근거하여 인도의 정보교육과정을 논의하였다. 교육과정의 구성이나 교과서는 지식의 구조관점에서 나선형을 지향하였다.
즉, 교육과정 구성은 브루너의 패러다임적 관점에 근거하고 있지만, 수업의 진행에 대한 가이드를 제시함으로써 방법적 측면에서는 내러티브적 관점에 기반한다. 이에 본 연구는 인도의 CMC를 브루너의 철학에 근거하여 논의하는데 목적이 있다.
컴퓨터교육에 대한 국가적 노력은 2010년 4월에 CMC에 대한 수정 교육과정을 발표하고, 2013년 6월에는 1학년부터 8학년에 해당하는 각 학년별 교육과정과 교수학습 전략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포함하는 문서로 표출되었다. 즉, 어떤 학제를 선택하느냐에 구분없이 1학년에서 12학년까지 전 학년에 걸쳐 고르고 일관성 있고 평등한 컴퓨터 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첫째, ‘학습내용의 양’(amount of content)에 대한 적정화이다. 학생들의 학습 부담을 고려하고, 의미있는 학습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적절한 양과 수준을 논의하는 것이다. 학습경험을 제공하는 것이므로 지식을 어떻게 구조화할 것인가에 대한 내용을 포함한다.
첫째, 교육과정의 설계에서 수평적 차원에 대한 고려이다. 수평적 차원은 교육과정의 요소를 나란히 배열하는 것으로 통합적 관점이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CMC | CMC가 처음 시작된 연도와 이유는? |
2006년 IIT(인도공과대학 봄베이 캠퍼스 : India Institution of Technology Bombay)에서 다양한 학제로 인해 통일되지 못한 컴퓨터 교육과정에 대해 표준화의 일환으로 시작되었다
CMC는 2006년 IIT(인도공과대학 봄베이 캠퍼스 : India Institution of Technology Bombay)에서 다양한 학제로 인해 통일되지 못한 컴퓨터 교육과정에 대해 표준화의 일환으로 시작되었다[16]. 2007년 3월에 9학년 이상을 대상으로 한 자료를 발간한 이후, 교사용 핸드북, SSRVM(Sri Sri Ravishankar Vidya Mandir)에서 진행한 파일럿테스트 결과를 근거로 제작한 교과서, 온라인을 이용한 교과서 무료 다운로드 서비스 등 컴퓨터 교육과정을 표준화하고 각 단위 학교에서의 활용확대를 위해 노력하였다[17][18]. |
Nai Talim | 간디는 Nai Talim을 통해 무엇을 강조하였는가? |
자립과 개인에 대한 존엄성을, 사회관계에서는 비폭력을 강조하였다
간디는 국가가 위기에 처했을 때, 국가에 대한 객관적 인식을 깨우기 위해 교육을 활용하였다. ‘Nai Talim’을 통해, 자립과 개인에 대한 존엄성을, 사회관계에서는 비폭력을 강조하였다[11]. 자유 투쟁을 하는 동안 성립된 교육에 대한 관심은 독립이후에는 국가위원회(National Commissions_Secondary Education Commission(1952-53) and the Education Commission, 1964-66)에 의해 계승되었다. |
교육과정 양의 적정화 | 교육과정 양의 적정화를 두 가지 방향으로 나누면 무엇인가? |
첫째, ‘학습내용의 양’(amount of content)에 대한 적정화이다. 학생들의 학습 부담을 고려하고, 의미있는 학습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적절한 양과 수준을 논의하는 것이다. 학습경험을 제공하는 것이므로 지식을 어떻게 구조화할 것인가에 대한 내용을 포함한다. 둘째, 학교와 교사들에게 제공되는 ‘처방 수준’(level of prescription)‘에 대한 적정화이다. 단위학교의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교육과정 운영을 위해 국가 수준에서 처방은 최소화 할 필요가 있다. ‘학습내용의 양’을 결정하는 것과 ‘처방의 수준’을 적정화 하는 것은 학교 수준의 교육과정에 대한 깊은 이해가 수반되어야 한다.
교육과정 양의 적정화는 크게 두 가지 방향으로 이해할 수 있다[5]. 첫째, ‘학습내용의 양’(amount of content)에 대한 적정화이다. 학생들의 학습 부담을 고려하고, 의미있는 학습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적절한 양과 수준을 논의하는 것이다. 학습경험을 제공하는 것이므로 지식을 어떻게 구조화할 것인가에 대한 내용을 포함한다. 둘째, 학교와 교사들에게 제공되는 ‘처방 수준’(level of prescription)‘에 대한 적정화이다. 단위학교의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교육과정 운영을 위해 국가 수준에서 처방은 최소화 할 필요가 있다. ‘학습내용의 양’을 결정하는 것과 ‘처방의 수준’을 적정화 하는 것은 학교 수준의 교육과정에 대한 깊은 이해가 수반되어야 한다. |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