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요 식중독 원인 미생물들에 대한 용량-반응 모델 연구
A Study on Dose-Response Models for Foodborne Disease Pathogens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29 no.4, 2014년, pp.299 - 304  

박명수 (군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조준일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미생물과) ,  이순호 (식품의약품안전처 식중독예방과) ,  박경진 (군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정량적 미생물 위해평가(Quantitative microbial risk assessment: QMRA)에 절대적으로 필요하지만 국내의 경우 관련 정보 및 자료가 부족한 주요 식중독 원인 미생물에 대한 용량-반응모델(dose-response models) 관련 자료를 수집 정리하여 가장 적합한 용량-반응 모델을 분석 및 선정하였다. 1980년부터 2012년까지 식중독 발생과 관련이 있는 26종의 세균, 9종의 바이러스, 8종의 원생동물관련 용량-반응 모델 및 위해평가 자료들을 중심으로 국내 NDSL (National Digital Science Library), 국외 PubMed, ScienceDirect database에서 총 193개의 논문을 추출하여 정리하였다. 조사된 자료로부터 세균별, 바이러스별, 원생동물별 용량-반응 모델의 미생물 위해평가 활용여부를 확인하고, 위해평가에 활용된 모델들을 메타분석(meta-analysis)에서 사용되고 있는 Relative frequency (fi, 상대빈도 값)를 계산하여 가장 적정한 용량-반응 모델을 제시하였다. 주요 식중독 원인 미생물들인 Campylobacter jejuni, pathogenic E. coli O157:H7 (EHEC / EPEC / ETEC), Listeria monocytogenes, Salmonella spp., Shigella spp., Staphylococcus aureus, Vibrio parahaemolyticus, Vibrio cholera, Rota virus, Cryptosporidium pavum의 적정 용량-반응 모델은 beta-poisson (${\alpha}=0.15$, ${\beta}=7.59$, fi = 0.72), beta-poisson (${\alpha}=0.49$, ${\beta}=1.81{\times}10^5$, fi = 0.67) / beta-poisson (${\alpha}=0.22$, ${\beta}=8.70{\times}10^3$, fi = 0.40) / beta-poisson (${\alpha}=0.18$, ${\beta}=8.60{\times}10^7$, fi = 0.60), exponential ($r=1.18{\times}10^{-10}$, fi = 0.14), beta-poisson (${\alpha}=0.11$, ${\beta}=6,097$, fi = 0.09), beta-poisson (${\alpha}=0.21$, ${\beta}=1,120$, fi = 0.15), exponential ($r=7.64{\times}10^{-8}$, fi = 1.00), beta-poisson (${\alpha}=0.17$, ${\beta}=1.18{\times}10^5$, fi = 1.00), beta-poisson (${\alpha}=0.25$, ${\beta}=16.2$, fi = 0.57), exponential ($r=1.73{\times}10^{-2}$, fi = 1.00), and exponential ($r=1.73{\times}10^{-2}$, fi = 0.17)로 각각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용량-반응 모델들은 향후 국내 QMRA 관련 연구 및 진행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dose-response models are important for the quantitative microbiological risk assessment (QMRA) because they would enable prediction of infection risk to humans from foodborne pathogens. In this study, we performed a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and meta-analysis to better quantify this assoc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주요 식중독 원인균에 대한 정량적 미생물 위해평가 연구에 필요한 용량-반응 모델을 선정하기 위하여, 국외 용량-반응 모델 관련 자료를 수집 및 정리한 후, 메타분석을 통한 주요 식중독 원인 미생물들의 적정 용량-반응 모델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용량-반응 평가는 어떠한 단계입니까? 용량-반응 평가는 정량적 미생물 위해평가(Quantitative Microbiological Risk Assessment; QMRA) 중에서 식중독 원인 미생물을 섭취한 결과 일어날 수 있는 질병의 중요도를 정량적으로 제시하는 단계이다1). 식중독 원인 미생물의 노출 (섭취)로 인한 인간 집단의 반응은 주로 섭취 되는 병원성 미생물의 수, 숙주의 건강 및 면역상태, 발병 메커니즘 등 주로 병원체(pathogen)와 숙주(host)에 의해 결정되는데, 최근에는 식품의 매질(food matrix)와 같은 매개물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2).
용량-반응평가는 지원자에 의한 직접적인 섭취 연구, 동물모델의 이용, 역학조사 결과 등을 이용할 수 있는데 각각의 단점은 무엇입니까? 용량-반응평가는 지원자에 의한 직접적인 섭취 연구, 동물모델의 이용, 역학조사 결과 등을 이용할 수 있다3). 지원자에 의한 직접적인 섭취 연구는 대상을 건강한 성인으로 한정하기 때문에 고위해(high risk) 집단과 성별 등의 영향을 파악할 수 없어, 전체 집단을 예측하기에는 어렵다는 단점이 있으며, 동물모델의 경우에는 인간과 동물이 동일한 메커니즘에 의해 발병하고 생리학적 반응과 면역 반응 등이 동일하다는 가정 하에 실시된다는 점과 동물종간의 다양성이 무시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지원자 섭취 연구와 동물모델의 이용에는 외삽(extrapolation)의 문제가 완전히 해결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역학조사의 결과와 비교하는 검증 과정이 필요하다1). 역학조사는 발병한 사람 이외에 식품을 섭취했음 해도 불구하고 발병하지 않은 사람, 그리고 두 집단간의 섭취량과 오염의 빈도 등 다양한 요인에 대한 정보가 요구되지만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2).
메타분석은 식품 안전 연구에 적용되는경우 어떠한 장점이 있습니까? 즉, 메타분석은 문헌연구가 갖는 제한적인 여러 가지 한계를 넘어서 개별 연구결과들을 통계적으로 통합 또는 비교하여 포괄적이고 거시적인 연구 결론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연구방법이다30). 최근, 메타분석은 식품 안전 연구에 적용되고 있으며31), 특히, 식중독 질병 발생률, 식중독 미생물의 오염율 등을 예측할 수 있으며, 식중독 발생 위험 식품 순위 결정 등의 광범위한 식품 안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문제점 연구에 광범위하게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보고되어 있다3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Notermans, S. and Teunis, P.: Quantitative risk analysis and the production of microbiologically safe food - an introduction. Int. J. Food Microbiol., 30, 3-7 (1996). 

  2. Buchanan, R.L., Damert, W.G., Whiting, R.C. and van Schothorst, M.: Use of epidemiological and food survey data to estimate a purposefully conservative dose-response relationship for Listeria monocytogenes levels and incidence of listeriosis. J. Food Prot., 60, 918-922 (1997). 

  3. Coleman, M.E., Marks, H.M., Golden, N.J. and Latimer, H.K.: Discerning strain effects in microbial dose-response data. J. Toxi. Environ. Health., 67, 667-685 (2004). 

  4. Haas, C.N.: Estimation of risk due to low doses of microorganisms: A comparison of alternative methodologies. Am. J. Epidermiol., 118, 573-582 (1983). 

  5. Farber, J.M., Ross, W.H. and Harwig, J.: Health risk assessment of Listeria monocytogenes in Canada. Int. J. Food Microbiol., 30, 145-156 (1996). 

  6. Golden, N.J., Crouch, E.A., Latmer, H., Kadrt, A.R. and Kause, J.: Risk assessment for Clostridium perfringens in ready-to-eat partially cooked meat and poultry products. J. Food Prot., 72, 1370-1384 (2009). 

  7. Rose, J.B. and Sobsey, M.D.: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for viral contamination of shellfish and coastal waters. J. Food Prot., 56, 1043-1050 (2008). 

  8. Calistri, P. and Giovannini, A.: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of human campylobacteriosis related to the consumption of chicken meat in two Italian regions. Food Microbiol., 128, 274-287 (2008). 

  9. Pouillot, R., Goulet, V., Delignette-Muller, M.L., Mahe, A. and Cornu, M.: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of Listeria monocytogenes in French Cold-Smoked Salmon: II. Risk Characterization. Risk Anal., 29, 806-819 (2009). 

  10. Soller, J.A., Schoen, M.E., Bartrand, T., Ravenscroft, J.E. and Ashbolt, N.J.: Estimated human health risks from exposure to recreational waters impacted by human and non-human sources of faecal contamination. Water Res., 44, 4674-4691 (2010). 

  11. Crockett, C.S., Haas, C.N., Fazil, A., Rose, J. B. and Gerba, C.P.: Prevalence of shigellosis in the U.S.: consistency with dose-response information. J. Food Microbiol., 30, 87-99 (1996). 

  12. FAO/WHO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and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Risk Assessment of Vibrio parahaemolyticus in seafood. Microbiological Risk Assessment Series 16., 1-200 (2011). 

  13. Oesterholt, F., Martijnse, G., Medema, G. and Kooij, D.V.D.: Health risk assessment of non-potable domestic water supplies in the Netherlands. Water Supply., 56, 171-179 (2007). 

  14. Englehardt, J.D. and Swartout, J.: Predictive Bayesian microbial dose-response assessment based on suggested self-organization in primary illness response: C. parvum. Risk Anal., 26, 543-554 (2006). 

  15. Osiriphun, S., Koetsinchai, W., Tuitemwong, K., Erickson, L.E. and Tuitemwong. P.: Risk Estimation of Campylobacter jejuni Caused by Chicken Meat Consumption for High Risk Group in Thailand. Sci. J. Ubon Ratchathani Univ., 1, 58-64 (2010). 

  16. Huertas, E., Salgot, M., Hollender, J., Weber, S., Dott., W., Khan, S. and Schafer, A.: Key objectives for water reuse concepts. Desalin., 218, 120-131 (2008). 

  17. Teunis, P., Takumi, K. and Shinagawa K.: Dose Response for Infection by Escherichia coli O157:H7 from Outbreak Data. Risk Anal., 24, 401-407 (2004). 

  18. Strachan, N.J., Doyle, M.P., Kasuga, F., Rotariu, O. and Ogden, I. D.: Dose response modelling of Escherichia coli O157 incorporating data from foodborne and environmental outbreaks. Int. J. Food Microbiol., 103, 35-47 (2005). 

  19. Loge, F.G., Thompson, D.E. and Call, D.: PCR Detection of Specific Pathogens in Water: A Risk-Based Analysis. Environ. Sci. Tech., 36, 2754-2759 (2002). 

  20. Diallo, M.B.C., Anceno, A.J., Tawatsupa, B., Houpt, E.R., Wangsuphachart, V. and Shipin O.V.: Infection risk assessment of diarrhea-related pathogens in a tropical canal network. Sci. Total Environ., 407, 223-232 (2008). 

  21. Aarnisalo, K., Vihavainen, E., Rantala, L., Maijala, R., Suihko, M.L., Hielm, S., Tuominen, P., Ranta, J. and Raaska, L.: Use of results of microbiological analyses for risk-based control of Listeria monocytogenes in marinated broiler legs. Int J. Food Microbiol., 121, 275-284 (2008). 

  22. Chen, Y., Ross, W.H., Scott, V.N. and Gombas, D.E.: Listeria monocytogenes: low levels equal low risk. J. Food Prot., 66, 570-577 (2003). 

  23. Bemrah, N., Bergis, H., Colmin, C., Beaufort, A., Millemann, Y., Dufour, B., Benet, J.J., Cerf, O. and Sanaa, M.: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of human salmonellosis from the consumption of a turkey product in collective catering establishments. Int. J. Food Microbiol., 80, 17-30 (2003). 

  24. Gonzales-Barron, U.A., Redmond, G. and Butler, F.: A risk characterization model of Salmonella Typhimurium in Irish fresh pork sausages. Food Res. Inter., 45, 1184-1193 (2012). 

  25. Shibata, T. and Solo-Gabriele, H.M.: Quantitative Microbial Risk Assessment of Human Illness from Exposure to Marine Beach Sand. Environ. Sci. Tech., 46, 2799-2805 (2012). 

  26. Iwahori, J.I., Yamamoto, A., Suzuki, H., Yamamoto, T., Tsutsui, T., Motoyama, K., Sawada, M., Matsushita, T., Hasegawa, A. and Osaka, K.: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of Vibrio parahaemolyticus in Finfish: A model of Raw Horse Mackerel Consumption in Japan. Risk Anal., 30, 1817-1832 (2010). 

  27. Payment, P. and Morin, E.: Minimal infective dose of the OSU strain of porcine rotavirus. Arch. Virol., 112, 277-282 (1990). 

  28. Ottoson, J. and Stenstrom, T.A.: Faecal contamination of greywater and associated microbial risks. Water Res., 37, 645-655 (2003). 

  29. Mena, K.D., Rose, J.D. and Gerba, C.P.: Addressing microbial food safety issues quantitatively: A risk assessment approach. Prehav. Postharv. Food Safe., 10, 415-423 (2004). 

  30. Xavier, C., Gonzales-Barron, U., Paula, V., Estevinho, L. and Cadavez, V.: Meta-analysis of the incidence of foodborne pathogens in Portuguese meats and their products. Food Res. Int., 55, 311-323 (2014). 

  31. Den Besten, H.M.W. and Zwietering, M.H.: Meta-analysis for quantitative microbiological risk assessments and benchmarking data. Trends Food Sci. Technol., 25, 34-49 (2012). 

  32. Gonzales-Barron, U. and Butler, F.: The use of meta-analytical tools in risk assessment for food safety. Food Microbiol., 28, 823-827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