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건축공학교육에서는 기존의 주입식 교육방식에서 벗어나 실무능력을 강화할 수 있는 혁신적인 교육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여러 분야에서 그 효과가 검증된 팀 기반학습 강의법을 실제 건축공학교육에 적용해보고 그 적용가능성을 검토해보았다. 적용성 검토를 위해서 강의 수강생 39명을 대상으로 학기말에 학습 성취도에 관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팀 기반학습을 통하여 학생들의 학습 성취도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더 다양한 건축공학 교과목에서 팀 기반학습을 활용하여 학생들의 학습 성취도 향상뿐만 아니라 실무능력을 갖춘 우수한 인재양성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match the paradigm shift of a construction company for obtaining competitive edge,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newly an innovative educational method in the architectural engineering domai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dopt team-based learning, whose effectiveness have been prov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건축공학교육에서 제시된 문제와 교육방법의 개선을 위해서 다른 분야에서 이미 그 효과가 검증된 교수법인 팀 기반학습법의 도입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팀 기반 학습법을 고찰하고 실제 수업에 적용된 사례를 바탕으로 건축공학교육에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건축공학교육의 여러 교과목 중 건축시공 교과목뿐만 아니라 타 교과목에 적용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 이를 위해서는 기존의 주입식 교육방식에서 벗어나 스스로 학습할 수 있고 팀워크 능력을 가진 인재를 양성할 수 있는 혁신적인 새로운 교육방법의 도입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타 분야에서는 이미 그 효과가 검증된 강의기법인 팀 기반학습을 실제 건축공학 전공수업에 적용하고 그 적용 가능성을 검토해보았다. 적용 가능성 검토를 위해서 팀 기반학습 방법을 한 학기 동안 ‘건축시공 및 재료1’ 수업에 도입하고 학기말에 학생들에게 학습 성취도를 평가하였다.
  • 본 연구는 타 분야에서 혁신적인 교육방법으로 각광을 받고 있는 팀 기반학습을 건축공학교육에 적용하여 학생들의 학습 성취도를 높이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팀 기반학습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기본 개념을 정립하고, 건축시공교과목에 실제 적용하고 수강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 성과정도를 확인하고자 한다. 그렇지만 실제 적용사례가 많지 않고 실제 적용된 교과목을 대상으로 하여야 하기 때문에 본 연구는 건축공학교육 중 건축시공교과목에 한정한다.
  • 본 연구는 타 분야에서 혁신적인 교육방법으로 각광을 받고 있는 팀 기반학습을 건축공학교육에 적용하여 학생들의 학습 성취도를 높이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팀 기반학습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기본 개념을 정립하고, 건축시공교과목에 실제 적용하고 수강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 성과정도를 확인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팀 기반학습의 건축공학교육의 적용 가능성 평가를 위해서 실제 사례적용을 통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러나 사례의 수가 한 개 강의로 제한적이기 때문에 팀 기반학습의 효과를 일반화하기에 어려운 부분이 있다.
  • 본 연구에서는 팀 단위학습 수업방식에 대한 건축공학교육에 적용 가능성을 검토해 보고자, 실제 사례수업을 진행하고 설문조사를 통하여 새롭게 도입된 팀 기반 학습법의 효과 그리고 학생들의 성취도를 평가하여 보았다.
  • 사례수업을 진행하고 학기말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본 수업을 진행하면서 새롭게 도입된 팀 기반 학습법의 효과 그리고 학생들의 성취도를 평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설문문항은 ‘학년’, ‘공학인증 이수 여부’ 등의 학생신상정보에 관한 문항과 ‘팀 기반학습 경험 유무’, ‘팀좋지 않은 부분’ 등 팀 기반 학습법의 효과에 관한 문항, 끝으로 학생들의 성취도를 평가하는 문항을 포함하여 구성되었다.
  • 둘째, 팀 기반학습법을 실제 강의에 적용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고 이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이해를 돕도록 한다. 셋째, 실제수업에 적용된 내용을 소개한다. 넷째, 수강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팀 기반학습법의 효과를 알아본다.

가설 설정

  • 그 변수는 집단을 구성할 때 집단 응집력의 발달을 저해하는 특성이 있는 구성원들로 구성하면 안 되고, 집단별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서 집단을 어느 정도 비슷한 수준의 구성원으로 구성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학생은 반드시 본인의 학습에 대하여 책임을 지게 해야 한다. 즉, 여기서 책임에 대한 인식을 확고하게 하기 위해서는 집단 구성원 개인별 또는 집단별 성과를 모니터링해야 하며, 집단의 성과가 좋던지 아니면 나쁘던지 매우 중요한 결과를 얻을 것이라는 확신을 줘야 한다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Michaelsen et al이 주장한 TBL의 4가지 핵심원리는? [15]는 TBL은 4가지 핵심원리를 제시하고 있는데, 그 원리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을 적절하게 형성하고 운영해야 한다. 즉, 효과적인 집단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 중요한 변수를 고려해야 한다. 그 변수는 집단을 구성할 때 집단 응집력의 발달을 저해하는 특성이 있는 구성원들로 구성하면 안 되고, 집단별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서 집단을 어느 정도 비슷한 수준의 구성원으로 구성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학생은 반드시 본인의 학습에 대하여 책임을 지게 해야 한다. 즉, 여기서 책임에 대한 인식을 확고하게 하기 위해서는 집단 구성원 개인별 또는 집단별 성과를 모니터링해야 하며, 집단의 성과가 좋던지 아니면 나쁘던지 매우 중요한 결과를 얻을 것이라는 확신을 줘야 한다는 것이다. 셋째, 집단별 학습과제를 통하여 집단의 발전과 학습을 촉진해야 한다. 즉, 성공적인 팀 기반학습을 이행하는 중요한 것은 적절한 집단별 학습과제를 개발하여 부여하는 것으로 집단이 해결해야 할 과제는 집단 구성원 간에 서로 적절한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도록 집단 구성원을 촉진할 수 있을 정도의 복잡성을 가져야한다. 넷째, 학생들에게 즉각적인 피드백을 자주 제공해야 한다. 즉, 학생들에게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학생들을 다양한 사고를 촉진하여 학습과 집단 발달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피드백은 즉각적으로 자주 해주면 더욱 강력하게 작용할 수 있다.
TBL의 가장큰 특징은? 전술한 바와 같이 TBL은 1970년대 Oklahoma대학의 Michaelsen 교수에 의해 처음 시도됐으며, TBL은 소규모 집단을 형성하고 교실 내 토론을 위해 독립적으로 교실 밖에서 준비한 것을 결합하는 교수 전략이다[6]. 이러한 준비 과정에서 읽기 과제가 부여됨으로써 학생들은 사전학습을 하는 것이 다른 집단학습과 구별되는 TBL의 가장 큰 특징이고, 또한 성적은 집단의 수행, 동료평가를 기초로 하여 부여 한다[11].
TBL은 어떠한 전략인가? 전술한 바와 같이 TBL은 1970년대 Oklahoma대학의 Michaelsen 교수에 의해 처음 시도됐으며, TBL은 소규모 집단을 형성하고 교실 내 토론을 위해 독립적으로 교실 밖에서 준비한 것을 결합하는 교수 전략이다[6]. 이러한 준비 과정에서 읽기 과제가 부여됨으로써 학생들은 사전학습을 하는 것이 다른 집단학습과 구별되는 TBL의 가장 큰 특징이고, 또한 성적은 집단의 수행, 동료평가를 기초로 하여 부여 한다[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Griffin P, McGaw B, Care E. Assessment and Teaching of 21st Century Skills. 1st ed. New York: Springer; 2012. 348 p. 

  2. Kim SJ, Kim HS, Shim JH, Kim DH. Relationships between Core Competencies and Educational Fulfillments of Junior Field Engineers of General Contractors.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012 Jan;28(1):183-90. 

  3. Kang KJ, Yoon YI, Jung H.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Engineering Education for Interdisciplinary and Practical Engineer on Demand-driven. 1st ed. Seoul (Korea):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2013. 171 p. 

  4. Lee J, Kim HJ. A Study on Direction of Effective Architectural Engineering Education.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012 Jul;28(7):41-8. 

  5. Bobbitt LM, Inks SA, Kemp KJ, Mayo DT. Integrating Marketing Courses to Enhance Team-Based Experiential Learning. Journal of Marketing Education. 2000 Apr;22(15):15-24. 

  6. Vasan NS, DeFouw DO, Holland BK. Modified Use of Team-Based Learning for Effective Delivery of Medical Gross Anatomy and Embryology. Anatomical Sciences Education. 2008 Jan;1:3-9. 

  7. Vasan NS, DeFouw DO, Compton S. A Survey of Student Perceptions of Team-Based Learning in Anatomy Curriculum: Favorable Views Unrelated to Grades. Anatomical Sciences Education. 2009 Jul/Aug;2:150-5. 

  8. Pileggi R, O'Neil PN. Team-Based Learning Using an Audience Response System: An Innovative Methods of Teaching Diagnosis to Undergraduate Dental Students. Journal of Dental Education. 2008 Oct;72(10):1182-8. 

  9. Gallegos PJ, Peeters JM. A measure of teamwork perceptions for team-based learning. Current in Pharmacy Teaching and Learning. 2011 Jan;3(1):30-5. 

  10. Roh YS, Ryoo EN, Choi DW, Baek SS, Kim SS. A Survey of Student Perceptions, Academic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of Team-based Learning in a Nursing Course.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2 Aug;18(2):239-47. 

  11. Freeman M. To adopt or not to adopt innovation: A case study of team-based learning.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Management Education. 2012 Oct;10(3):155-68. 

  12. Lee KH, Son EK. The Effect of TBL(Team-Based Learning) on Pla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ternational The Journal of Thinking Development. 2012 Dec;8(2):151-70. 

  13. Han YC. A Study on the PBL Based Teaching-Learning Model Using BIM Tools for Interior Architecture Design Studio. Journal of The Korean Digital Architecture.Interior Association. 2012 Sep;12(3):67-79. 

  14. Jang MH, Choi HB. A Case Study on Architectural Engineering Design Using Action Learning.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2013 Feb;13(1):10-9. 

  15. Michaelsen LK, Knight AB, Fink LD. Team-Based Learning: A Transformative Use of Small Groups. Westport (CT):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02. 304 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