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아에서의 호흡기바이러스 감염과 비인두 폐렴구균 보균의 연관성
Association between Respiratory Virus Infection and Pneumococcal Colonization in Children 원문보기

소아감염 = Korean journal of pediatric infectious diseases, v.21 no.3, 2014년, pp.207 - 213  

이현승 (서울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  최영준 (서울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  조은영 (충남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  이현주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  최은화 (서울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  이환종 (서울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는 소아에서 호흡기바이러스 감염과 폐렴구균상기도 보균율 간의 연관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9년 5월부터 2010년 6월까지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에 호흡기 증상을 주소로 내원한 18세 미만 소아로부터 채취한 비인두 흡인물을 대상으로 폐렴구균을 배양하고 RT-PCR을 통해 호흡기 바이러스(influenza virus A와 B, parainfluenza virus 1, 2와 3, respiratory syncytial virus A와 B, adenovirus, rhinovirus A/B, human metapneumovirus, human coronavirus 229E/NL63, OC43/HKU1)를 검출하여 호흡기바이러스 검출과 폐렴구균 보균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 환자의 중앙 연령은 27개월이었다. 총 1,367건의 비인두 흡인물 중 폐렴구균이 배양된 검체는 228개(16.7%)이었고, 호흡기바이러스가 검출된 검체는 731개(53.5%)이었다. 흔히 분리된 바이러스는, rhinovirus(18.4%), respiratory syncytial virus (RSV) A (10.6%), adenovirus (6.9%), influenza virus A (6.8%) 순으로 나타났다. 폐렴구균 보균율은 호흡기바이러스 양성인 경우가 21.3% (156/731)로 음성인 경우 11.3% (72/636)보다 높았다(P<0.001). 검출된 호흡기바이러스의 종류에 따라서는 influenza virus A [24.7% (23/93) vs 16.1% (205/1274), P=0.001], RSV A [28.3% (41/145) vs 15.3% (187/1222), P=0.001], RSV B [31.3% (10/32) vs 16.3% (218/1335), P=0.042], rhino-virus A/B [22.6% (57/252) vs 15.3% (171/1115), P=0.010]가 양성인 소아는 음성인 소아에 비하여 폐렴구균 보균율이 높게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 결과, 호흡기 증상이 있는 소아에서 호흡기바이러스가 검출된 경우 폐렴구균 보균율이 높았다. 향후 호흡기바이러스와 폐렴구균의 보균에 의한 호흡기 감염병의 임상발현 기전을 밝히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respiratory virus infection and pneumococcal colonization in children. Methods: From May 2009 to June 2010, nasopharyngeal (NP) aspirates were obtained from patients under 18 years old who visited Seoul National University Children's 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목적: 본 연구는 소아에서 호흡기바이러스 감염과 폐렴구균의 상기도 보균율 간의 연관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호흡기 증상으로 응급실이나 입원하여 치료 받은 소아 1,367명의 비인두 흡인물로부터 호흡기바이러스와 폐렴구균을 검출하여 호흡기바이러스 감염과 폐렴구균 보균 간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소아에서 호흡기바이러스가 검출된 환자에서 폐렴구균 보균율이 의미있게 높았고, 호흡기바이러스 종류별로는 특히 influenza virus A, RSV A와 B, rhinovirus가 검출된 환자에서 폐렴구균 보균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 본 연구에서는 호흡기 감염이 의심된 소아 중 호흡기 검체를 채취하여 세균배양과 호흡기바이러스 검사가 함께 시행하였던 사례들의 미생물학적 자료 및 임상자료를 분석하여 호흡기바이러스 감염과 폐렴구균 보균 간 연관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체의 상기도의 특징은? 인체의 상기도는 폐렴구균(Streptococcus pneumoniae), 인플루엔자균(Haemophilus influenzae), 모락셀라균(Moraxella catarrhalis) 등 여러 종류의 세균이 집락을 형성하는 곳이며, 호흡기바이러스 감염도 빈번히 일어나는 장소이다. 호흡기바이러스와 호흡기 상재균 사이의 상호작용과 연관성에 대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1, 2) .
폐렴구균의 특징은? 폐렴구균은 소아 및 성인에 발병하는 세균 감염질환의 주요 원인균으로, 5세 미만 소아에서의 수막염, 급성 중이염, 부비동염, 폐렴, 그리고 균혈증의 주요 원인이다. 비인두에 집락된 폐렴구균은 인접기관으로의 직접 전파로 중이염, 부비동염을 일으킬 수 있고, 호흡기로 흡인된 후 폐렴의 원인이 되기도 하며, 혈행감염이나 이에 이차적으로 수막염, 골수염, 관절염, 복막염 등을 일으킬 수 있다2-6) .
호흡기바이러스 감염이 폐렴구균 보균을 촉진시키는 기전에 대한 연구에는 어떠한 것이 있는가? 호흡기바이러스 감염이 폐렴구균 보균을 촉진시키는 기전은 아직 충분히 이해되어 있지 않지만 실험실적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한 연구에서는 rhinovirus serotype 16을 감염시킨 human nasal epithelial cell (HNEC)에 폐렴구균, 인플루엔자균, 모락셀라균을 추가 접종하여 배양하였을 때, rhinovirus를 감염시키지 않은 대조군에 비하여 HNEC에 fibronectin의 발현이 증가하였고, 폐렴구균, 인플루엔자균, 모락셀라균으로의 부착이 각각 2.53배, 1.51배, 2.74배 증가함을 보였다17) . Mouse 모델에서 폐렴구균이 집락될 때 1형 인터페론의 반응이 활성화된다는 것이 잘 알려져 있는데, influenza virus 감염 후에 폐렴구균이 집락될 때는 1형 인터페론 반응이 더욱 증가한다고 보고되었다. 이 강화된 1형 인터페론 반응은 CCL2의 발현을 감소시킴으로써 세균의 식작용에 필요한 대식세포의 동원을 감소시켜 폐렴구균의 제거를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낸다고 밝혀진 바 있다18) .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Rodrigues F, Foster D, Nicoli E, Trotter C, Vipond B, Muir P, et al. Relationships between rhinitis symptoms, respiratory viral infections and nasopharyngeal colonization with Streptococcus pneumoniae, Haemophilus influenzae and Staphylococcus aureus in children attending daycare. Pediatr Infect Dis J 2013;32:227-32. 

  2. Bogaert D, De Groot R, Hermans PW. Streptococcus pneumoniae colonisation: the key to pneumococcal disease. Lancet Infect Dis 2004;4:144-54. 

  3. Holmes SJ, Morrow AL, Pickering LK. Child-care practices: effects of social change on the epidemiology of infectious diseases and antibiotic resistance. Epidemiol Rev 1996;18:10-28. 

  4. Kim SM, Hur JK, Lee KY, Shin YK, Park SE, Ma SH, et al. Epidemiological study of pneumococcal nasal carriage and serotypes among Korean children. Korean J Pediatr 2004;47:611-6. 

  5. Kim KH, Lee JE, Whang IT, Ryu KH, Hong YM, Kim GH, et al. Serogroup and antimicrobial resistance of Streptococcus pneumoniae isolated from oropharynx in children attending day care center. Korean J Pediatr 2002;45:346-53. 

  6. Lee JA, Kim NH, Kim DH, Park KW, Kim YK, Kim KH, et al. Serotypes and penicillin susceptibility of Streptococcus pneumoniae isolated from clinical specimens specimens and healthy carriers of Korean children. Korean J Pediatr 2003;46:846-53. 

  7. Zhou H, Haber M, Ray S, Farley MM, Panozzo CA, Klugman KP. Invasive pneumococcal pneumonia and respiratory virus co-infections. Emerg Infect Dis 2012;18:294-7. 

  8. Ampofo K, Bender J, Sheng X, Korgenski K, Daly J, Pavia AT, et al. Seasonal invasive pneumococcal disease in children: role of preceding respiratory viral infection. Pediatrics 2008;122:229-37. 

  9. McCullers JA. Insights into the interaction between influenza virus and pneumococcus. Clin Microbiol Rev 2006;19:571-82. 

  10. Vu HT, Yoshida LM, Suzuki M, Nguyen HA, Nguyen CD, Nguyen AT, et al. Association between nasopharyngeal load of Streptococcus pneumoniae, viral coinfection, and radiologically confirmed pneumonia in vietnamese children. Pediatr Infect Dis J 2011;30:11-8. 

  11. Yun KW, Cho EY, Hong KB, Choi EH, Lee HJ. Streptococcus pneumoniae type determination by multiplex polymerase chain reaction. J Korean Med Sci 2011;26:971-8. 

  12. Wolter N, Tempia S, Cohen C, Madhi SA, Venter M, Moyes J, et al. High nasopharyngeal pneumococcal density, increased by viral co-infection, is associated with invasive pneumococcal pneumonia. J Infect Dis 2014 In Press. 

  13. Grijalva CG, Griffin MR, Edwards KM, Williams JV, Gil AI, Verastegui H, et al. The role of influenza and parainfluenza infections in nasopharyngeal pneumococcal acquisition among young children. Clin Infect Dis 2014;58:1369-76. 

  14. Rawlings BA, Higgins TS, Han JK. Bacterial pathogens in the nasopharynx, nasal cavity, and osteomeatal complex during wellness and viral infection. Am J Rhinol Allergy 2013;27:39-42. 

  15. Moore HC, Jacoby P, Taylor A, Harnett G, Bowman J, Riley TV. The interaction between respiratory viruses and pathogenic bacteria in the upper respiratory tract of asymptomatic Aboriginal and non-Aboriginal children. Pediatr Infect Dis J 2010;29:540-5. 

  16. Wadowsky RM, Mietzner SM, Skoner DP, Doyle WJ, Fireman P. Effect of experimental influenza A virus infection on isolation of Streptococcus pneumoniae and other aerobic bacteria from the oropharynges of allergic and nonallergic adult subjects. Infect Immun 1995;63:1153-7. 

  17. Wang JH, Kwon HJ, Jang YJ. Rhinovirus enhances various bacterial adhesions to nasal epithelial cells simultaneously. Laryngoscope 2009;119:1406-11. 

  18. Nakamura S, Davis KM, Weiser JN. Synergistic stimulation of type I interferons during influenza virus coinfection promotes Streptococcus pneumoniae colonization in mice. J Clin Invest 2011;121:3657-6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