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녹색 및 보라색 콜라비 부위(껍질, 잎, 엽육)에 따른 항산화 효과에 대해서 검증하고자 물 및 95% 에탄올에서 추출하였다.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총 폴리페놀 함량, DPPH 라디칼 소거능, 금속봉쇄력, 환원력, rancimat에 의한 산화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녹색 껍질 에탄올 추출물 및 보라색 잎 물 추출물이 각각 12.00 및 11.70 mg/mL로 가장 높은 총 폴리페놀 함량을 가졌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의 경우 보라색 잎 및 껍질의 물 및 에탄올 추출물에서 뛰어난 라디칼 소거능을 가졌으며, 금속봉쇄력의 경우 보라색 잎 물 추출물이 가장 높은 금속봉쇄력을 나타냈다. 반면, 환원력 및 rancimat에 의한 항산화도의 경우 콜라비 추출물은 대조구에 비하여 낮은 항산화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보라색 콜라비의 잎과 껍질 부위가 항산화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tioxidant activities of ethanol and water extracts of flesh, leaves, and peels of green and purple Kohlrabi were measured by rancimat method, total phenolic compound (TPC), DPPH radical scavenging effect, chelating effect, and reducing power analysis. The highest TPC was observed in ethanol extra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in vitro 연구에서 항돌연변이 작용도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있으나(Edenharder 등, 1990; Edenharder 등, 1994), 항산화 활성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녹색 및 보라색 콜라비 부위에 따른 총 페놀함량, DPPH radical 소거능, 금속봉쇄력, 환원력, rancimat에 의한 항산화도를 측정하였으며, 이들 결과를 바탕으로 콜라비의 항산화물질 공급원으로서 이용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합성 항산화 물질들은 어떤 부작용을 갖는가? 일반적으로 ROS 생성을 막기 위해 butylated hydroxytoluene (BHT), butylated hydroxyanisole, propyl gallate 등의 합성 항산화 물질들이 뛰어난 효과와 경제성 때문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체내 에너지 생산과 세포 대사 및 호흡작용을 방해하며 발암성이 있고 독성이 강하다는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어 안전성과 기호성이 문제가 되지 않는 천연 항산화제의 개발이 요구된다(Halliwell, 1996; Morrissey와 O’Brien, 1998; Bae 등, 2001; Park 등, 2005). 이러한 문제로 tocopherol, flavone 유도체, sesamol, gossypol, 단백질의 가수 분해물 및 일부 향신료 등과 같은 천연 항산화 제가 대두 되고 있으며 이러한 천연 항산화 물질은 유리 라디칼(free radical)로 인해 유발되는 각종 암 및 노화 관련 질병예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Hertog 등, 1993).
활성산소종이 각종 질병의 원인이 되는 체내 부정적인 영향은? 최근 소득 증가로 인한 생활 수준의 향상으로 사회가 급속하게 발달함에 따라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다양한 분야에서 펼쳐지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천연물이나 한방 제재 및 각종 식물성 소재로부터 기능성 물질을 탐색하기 위한 많은 연구들이 행해지고 있다(Lee 등, 2009). 그 중에서도 인체 노화의 주범이 되는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은 체내에서 산화 작용을 일으키며 생체내의 세포막, 단백질 DNA 및 효소 등을 손상시켜 각종 질병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Feskanich 등, 1992; Regnstrom 등, 1992). 일반적으로 ROS 생성을 막기 위해 butylated hydroxytoluene (BHT), butylated hydroxyanisole, propyl gallate 등의 합성 항산화 물질들이 뛰어난 효과와 경제성 때문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콜라비는 어떤 채소인가? 하지만 단독으로는 산화반응 저지 능력이 낮으며 실제 사용되고 있는 tocopherol의 경우 동물성 유지에만 효력이 있고 가격이 비싼 단점이 있다. 콜라비(Kohlrabi)는 양귀비목(Papaveraceae) 배추과 (Brassicaceae)에 속하는 2년생 채소이고, 순무양배추 또는 구경 양배추 라고도 한다. 콜라비는 항암효과가 우수한 물질로 알려진 anthocyanin, carotenoid (Park 등, 2012), glucosinolates(MaCledo와 MaCledo, 1990) 등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으며, 양배추 등 일반 채소에 비하여 비타민 C와 칼륨이 풍부하고 열량도 낮으며 식이섬유소가 풍부해 다이어트에 유효하다고 알려져 있다(Choi 등,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Ahn SI, Heuing BJ, and Son JY (2007)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nitritescavenging abilities of some phenolic compounds.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19-24. 

  2. Arabshahi-Delouee S and Urooj A (2007) Antioxidant properties of various solvent extracts of mulberry (Morus indica L.) leaves. Food Chem 102, 1233-40. 

  3. Bae SM, Kim JH, Cho CW, Jeong TJ, Ha JU, and Lee SC (2001) Effect of microwave treatment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rice processed byproducts. J Korean Soc Fodd Sci Nutr 30, 1026-31. 

  4.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990-2100. 

  5. Choi HJ, Park JH, Han HS, Son JH, Son GM, Bae JH et al. (2004) Effect of polyphenol compound from Korean pear on lipid metabolism.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299-304. 

  6. Choi SH, Ryu DK, Park S, Ahn KG, Lim YP, and An GH (2010) Composition analysis between Koholrabi (Brassica oleraceavar. gongylodes) and radish (Raphanus sativus). Kor J Hort Sci Technol 28, 469-75. 

  7. Edenharder R, John K, and Ivo-Boor H (1990) Antimutagenic activity of vegetable and fruit extracts against in-vitro benzo(a)pyrene. Z Gesamte Hyg 36, 144-7. 

  8. Edenharder R, Kurz P, John K, Burgard S, and Seeger K (1994) In vitro effect of vegetable and fruit juices on the mutagenicity of 2-amino-3-methylimidazo [4,5-f] quinoline, 2-amino-3,4-dimethylimidazo [4,5-f] quinoline and 2-amino-3,8-dimethylimidazo [4,5-f] quinoxaline. Food Chem Toxicol 32, 443-59. 

  9. Feskanich D, Ziegler RG, Michaud DS, Giovannucci EL, Speizer FE, Willett WC et al. (1992) Prospective study of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and risk of lung cancer among men and women. J Natl Cancer Inst 92, 1812-23. 

  10. Gulcin I, Berashvili D, and Gepdiremen A (2005) Antiradical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otal anthocyanins from Perilla pankinensis decne. J Ethnopharmacol 101, 287-93. 

  11. Halliwell B (1996) Antioxidants in human health and disease. Annu Rev Nutr 16, 33-49. 

  12. Han JH, Moon HK, Chung SK, and Kang WW (2013)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Radish Bud (Raphanus sativus L.) According to Extraction Solvents and Sprouting Period.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1767-75. 

  13. Hertog MG, Feskens EJ, Hollman PC, Katan MB, and Kromhout D (1993) Dietary antioxidant flavonoids and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the Zutphan elderly study. Lancet 342, 1007-11. 

  14. Kang YH, Park YK, and Lee GD (1996) The nitrite scavenging and electron donating activity of phenol compound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232-9. 

  15. Kim EY, Baik IH, Kim JH, Kim SR, and Rhyu MR (2004) Screening of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333--8. 

  16. Kwon HJ and Park CG (2008) B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Korean J Food Preserv 15, 587-92. 

  17. Kwon TH, Kim JK, Kim TW, Lee JW, Kim JT, Seo HJ et al. (2011) Antioxidant and anti-lipase activity in Halocynthia roretzi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464-8. 

  18. Labuza TP and Jr LRD (1971) Kinetics of lipid oxidation in foods. CRC Crit Rev Food Technol 2, 335-405. 

  19. Lee CH, Shin SL, Kim NR, and Hwang JK (2011) Comparison of antioxidant effects of different Korean pear species. Korean J Plant Res 24, 253-9. 

  20. Lee SJ, Song EJ, Lee SY, Kim KBWR, Kim SJ, Yoon SY et al. (2009) Antioxidant activity of leaf, stem and root extracts from Orostachys japonicus and their heat and pH stabiliti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571-9. 

  21. Lee SO, Lee HJ, Yu MH, Im HG, and Lee IS (2005) Total polyphenol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from vegetables produced in Ullung island.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233-40. 

  22. Macledo G and Macledo AJ (1990) The glucosinolates and aroma volatiles of green Kohlrabi. Phytochem 29, 1183-7. 

  23. Majid HR, Chang PR, Pegg B, and Tyler RT (2009) Antioxidant capacity of bioactives extracted from canola meal by subcritical water, ethanolic and hot water extraction. Food Chem 114, 717-26. 

  24. Morrissey PA and O'Brien NM (1998) Dietay antioxidants in health and disease. Int Dairy J 8, 463-72. 

  25. Oyaizu M (1986) Studies on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s: Antioxidative activities of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 prepared from glucosamine. Japan J Nutr 44, 307-15. 

  26. Park BH, Cho HS, and Kim DH (2005) Antioxidative effects of solvent extracts of Lycii fructus powder (LFP) and Maejakgwa made with LFP.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314-9. 

  27. Park WT, Kim JK, Park S, Lee SW, Li X, Kim YB et al. (2012) Metabolic profiling of glucosinolates, anthocyanins, carotenoids, and other secondary metabolites in Kohlrabi (Brassica oleracea var. gongylodes). J Agric Food Chem 60, 8111-6. 

  28. Park YK, Kim HM, Park MW, Kim SR, and Choi IW (1999) Physicochemical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turnip.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333-41. 

  29. Regnstrom J, Nilsson J, Tornvall P, Landou C, and Hamsten A (1992) Susceptibility to low-density lipoprotein oxidation and coronary atherosclerosis in man. Lancet 339, 1183-6. 

  30. Shimada K, Fujikawa K, Yahara K, and Nakamura T (1992) Antioxidative properties of xanthan on the autoxidation of soybean oil in cyclodextrin emulsion. J Agric Food Chem 40, 945-8. 

  31. Swain T and Hillis WE (1959) The phenolic constituents of Prunus domestica. I.-The quantitative analysis of phenolic constituents. J Sci Food Agric 10, 63-8. 

  32. Yen GC, Chang YC, and Su SW (2003) Antioxidant activity and active compounds of rice koji fermented with Aspergillus candidus. Food Chem 83, 49-54. 

  33. Yoo MY, Kim SK, and Yang JY (2004) Characterization of anantioxidant from sporophyll of Undaria pinnatifida. Kor J Microbiol Biotechnol 32, 307-11. 

  34. You JK, Chung MJ, Kim DJ, Seo DJ, Park JH, Kim TW et al. (2009) Antioxidant and tyrosinase inhibitory effects of Paeonia suffruticosa water extra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292-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