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유자 잎 에탄올 추출물의 미백, 주름억제, 항염증 및 항산화 효능
Anti-Melanogenic, Anti-Wrinkle,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Effects of Xylosma congesta leaf Ethanol Extract 원문보기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v.57 no.4, 2014년, pp.365 - 371  

이재연 (Natural Products Research Institute, Gyeonggi Institute of Science & Technology Promotion) ,  안은경 (Natural Products Research Institute, Gyeonggi Institute of Science & Technology Promotion) ,  고혜진 (Natural Products Research Institute, Gyeonggi Institute of Science & Technology Promotion) ,  조영락 (Natural Products Research Institute, Gyeonggi Institute of Science & Technology Promotion) ,  고운철 (Jeju Bio-diversity Research Institute) ,  정용환 (Jeju Bio-diversity Research Institute) ,  최경민 (Institute of JinAn Red Ginseng) ,  최미래 (Institute of JinAn Red Ginseng) ,  오좌섭 (College of Pharmacy, Dankook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제주도 해변의 벌판에서 드물게 자라는 산유자(Xylosma congesta) 잎 에탄올 추출물의 화장품 기능성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cell culture model 및 in vitro assay system을 이용하여 미백, 주름개선, 항염증 및 항산화 활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산유자 잎 에탄올 추출물은 B16F10 세포에 세포독성 없이 효과적으로 ${\alpha}$-MSH에 의해 유도된 melanin 합성을 억제함으로써 높은 미백 활성을 가지는 것이 관찰되었다. CCD-986SK 세포를 이용하여 산유자 잎 에탄올 추출물의 주름개선 활성 능력을 procollagen 합성시험을 통해 분석한 결과,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한 TGF-${\beta}$ 만큼은 아니지만 농도별로 각각 120, 122%의 procollagen 합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통하여 산유자 잎 에탄올 추출물의 주름개선 활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RAW 264.7 murine macrophage를 이용하여 NO 생성 억제능을 분석함으로써 산유자 잎 에탄올 추출물의 항염증 활성 정도를 측정한 결과, LPS에 의해 유도된 NO 생성이 산유자 잎 에탄올 추출물의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DPPH 법, ABTS 법, ORAC 법을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을 분석한 결과, $50{\mu}g/mL$의 농도에서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능이 각각 75.2, 99.1% 증가하는 것이 확인 되었다. ORAC activity assay kit를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산유자 잎 에탄올 추출물의 농도에 따라 높은 항산화 활성이 관찰 되었고, DPPH와ABTS 라디칼 소거능 결과와 유사하게 $50{\mu}g$/mL의 농도에서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573.74{\pm}0.79{\mu}M$ TE/g)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산유자 잎 에탄올 추출물이 높은 미백과 주름개선, 항염증 및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활용가능성을 제시 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biological activities of Xylosma congesta leaf ethanol extract (XCO) using a variety of in vitro and cell culture model systems for anti-melanogenic, anti-wrinkle,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activities. First, XCO markedly inhibited ${\alph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산유자 잎의 생리활성 기능에 관한 연구는 많지 않으며, 특히 미백, 주름억제 및 항산화 소재로써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한 연구는 거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유자 잎 에탄올 추출물의 미백, 주름억제, 항염증 및 항산화 활성을 cell culture model 및 in vitro assay system을 이용하여 분석함으로써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응용 가능성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제주도 해변의 벌판에서 드물게 자라는 산유자 (Xylosma congesta) 잎 에탄올 추출물의 화장품 기능성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cell culture model 및 in vitro assay system을 이용하여 미백, 주름개선, 항염증 및 항산화 활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산유자 잎 에탄올 추출물은 B16F10 세포에 세포독성 없이 효과적으로 α-MSH에 의해 유도된 melanin 합성을 억제함으로써 높은 미백 활성을 가지는 것이 관찰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Melanin 색소의 합성 과정은 어떻게 되는가? Melanin은 생물체에 널리 분포 되어 있는 고분자의 천연색소 성분으로 정상적인 경우 외부의 피부 자극에 대한 저항력을 주지만 과도한 합성의 경우 주근깨나 검버섯과 같은 색소침착을 일으킨다(Lerner와 Fitzpatrick, 1950; Jung 등, 1995; Costin과 Hearing, 2007). Melanin 색소의 합성 과정은 melanin 생합성 과정의 중요 enzyme인 tyrosinase가 tyrosine을 기질로 하여 3,4-dihydroxy-phenylalanine과 dopaquinone으로 변환되는 연속적인 효소적 산화 (hydroxylation and oxidation)와 중합반응 과정을 통하여 이루어진다(Lerner와 Fitzpatrick, 1950; Aroca 등, 1993; Costin과 Hearing, 2007). Melanin 색소 합성에 중요한 tyrosinase를 저해하는 미백제 개발이 많이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대표적인 tyrosinase저해제로 kojic acid, hydroquinone, arbutin, retinoids등이 알려져 있으나 안전성의 문제로 사용에 제한이 있다.
Melanin은 무엇인가? Melanin은 생물체에 널리 분포 되어 있는 고분자의 천연색소 성분으로 정상적인 경우 외부의 피부 자극에 대한 저항력을 주지만 과도한 합성의 경우 주근깨나 검버섯과 같은 색소침착을 일으킨다(Lerner와 Fitzpatrick, 1950; Jung 등, 1995; Costin과 Hearing, 2007). Melanin 색소의 합성 과정은 melanin 생합성 과정의 중요 enzyme인 tyrosinase가 tyrosine을 기질로 하여 3,4-dihydroxy-phenylalanine과 dopaquinone으로 변환되는 연속적인 효소적 산화 (hydroxylation and oxidation)와 중합반응 과정을 통하여 이루어진다(Lerner와 Fitzpatrick, 1950; Aroca 등, 1993; Costin과 Hearing, 2007).
한방에서 산유자 나무의 용도는 무엇인가? 산유자 나무(Xylosma congesta)는 이나무과(Flacourtiaceae)의 상록 소교목으로 아시아에서는 한국, 일본, 중국, 필리핀, 인도네시아에 분포하며 주로 관상용으로 사용된다. 우리나라에서는 남부해변의 벌판에서 드물게 자라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한방에서는 수피를 황달 치료에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산유자 잎의 생리활성 기능에 관한 연구는 많지 않으며, 특히 미백, 주름억제 및 항산화 소재로써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한 연구는 거의 없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Ames BN (1983) Dietary carcinogens and anticarcinogens. Oxygen radicals and degenerative diseases. Science 221, 1256-64. 

  2. Aroca P, Urabe K, Kobayashi T, Taskamoto K, and Hearing VJ (1993) Melanin biosynthesis patterns of following hormonal stimulation. J Biol Chem 268, 25650-5. 

  3.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8-200. 

  4. Bondet V, Brand-Williams W, and Berset C (1997) Kinetics and mechanisms of antioxidant activity using the DPPH. free radical method. LWT-Food Sci Technol 30, 609-15. 

  5. Cabanes J, Chazara S, and Garcia CF (1994) Kojic acid, a cosmetic skin whitening agent, is slow-binding inhibitor of catecholase activity of tyrosinase. J Pharm Pharmacol 46, 982-5. 

  6. Callender VD, St Surin-Lord S, Davis EC, and Maclin M (2011) Postinflammatory hyperpigmentation: etiologic and therapeutic considerations. Am J Clin Dermatol 12, 87-99. 

  7. Chen JS, Wei C, and Marshall MR (1991) Inhibition mechanism of Kojic acid on polyphenol oxidase. J Agric Food Chem 39, 1897-901. 

  8. Costin GE and Hearing VJ (2007) Human skin pigment-ation: melanocytes modulate skin color in response to stress. FASEB J 21, 976-94. 

  9. DeLange RJ and Glazer AN (1989) Phycoerythrin fluorescence-based assay for peroxy radicals: a screen for biologically relevant rotective agents. Anal Biochem 28, 300-6. 

  10. Dudonne S, Vitrac X, Coutiere P, Woillez M, and Merillon JM (2009) Comparative study of antioxidant properties and total phenolic content of 30 plant extracts of industrial interest using DPPH, ABTS, FRAP, SOD, and ORAC assays. J Agric Food Chem 57, 1768-74. 

  11. Fridovich I (1986) Biological effects of the superoxide radical. Arch Biochem Biophys 247, 1-11. 

  12. Ghiselli A, Serafini M, Maiani G, Azzini E, and Ferro-Luzzi A (1995) A fluorescence-based method for measuring total plasma antioxidant capability. Free Radic Biol Med 18, 29-36. 

  13. Jimenze-Cervants C, Solano F, Kobayashi T, Urabe K, Hearing VJ, Lozano J et al. (1994) A new enzymatic function in the melanogenic pathway. The 5,6-dihydroxyindole-2-carboxylic acid oxidase activity of tyrosinase-related protein-1 (TRP1). J Biol Chem 269, 17993-8000. 

  14. Jin KS, Oh YN, Park JA, Lee JY, Jin SJ, Hyun SK et al. (2012) Anti-Oxidant, Anti-Melanogenic,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Zanthoxylum schinifolium Extract and its Solvent Fractions.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40, 371-9. 

  15. Jung SW, Lee NK, Kim SJ, and Han D (1995) Screening of tyrosinase inhibitor from plants. Kor J Food Sci Technol 27, 891-6. 

  16. Kang MC, Lee JY, Ko RK, Kim HB, Hong SH, and Kim GO (2009) Melanin inhibitory effect ab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Dictyota corlacea extracts derived from adjacent sea of the Jeju island. Korean J Biotechnol Bioeng 23, 311-6. 

  17. Kawabata T, Cui MY, Hasegawa T, Takano F, and Ohta T (2011) Antiinflammatory and anti-melanogenic steroidal saponin glycosides from Fenugreek (Trigonella foenum-graecum L.) seeds. Planta Med 77, 705-10. 

  18. Kawamata H, Ochiai H, Mantani N, and Terasawa K (2000) Enhanced express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by Juzen-taiho-to in LPS-activated RAW 264.7 cells, a murine macrophage cell line. Am J Chin Med 28, 217-26. 

  19. Lee KH, Kong JH, Cho YL, Joo CG, Kwon SS, Hwang JS et al. (2012) Anti-microbial and Anti-wrinkle effect of kaempferol and kaempferol rhamnosides isolated from Hibiscus cannabinus L. Korean J Medicinal Crop Sci 20, 454-60. 

  20. Lerner AB and Fitzpatrick TB (1950) Biochemistry of melanin formation. Physiol Rev 30, 91-126. 

  21. Miller NJ, Rice-Evans C, Davies MJ, Gopinathan V, and Milner A (1993) A novel method for measuring antioxidant capacity and its application to monitoring the antioxidant status in premature neonates. Clin Sci (Lond) 84, 407-12. 

  22. Ou B, Huang D, Hampsch-Woodill M, Flanagan JA, and Deemer EK (2002) Analysis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common vegetables employing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ORAC) and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assays: a comparative study. J Agric Food Chem 50, 3122-8. 

  23. Ozgen M, Reese RN, Tulio AZ, Scheerens JC, and Miller AR (2006) Modified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method to measure antioxidant capacity of selected small fruits and comparison to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and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methods. J Agric Food Chem 54, 1151-7. 

  24. Panich U, Tangsupa-a-nan V, Onkoksoong T, Kongtaphan K, Kasetsinsombat K, Akarasereenont P et al. (2011) Inhibition of UVA-mediated melanogenesis by ascorbic acid through modulation of antioxidant defense and nitric oxide system. Arch Pharm Res 34, 811-20. 

  25.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and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 1231-7. 

  26. Regoli F and Winston GW (1999) Quantification of total oxidant scavenging capacity of antioxidants for peroxynitrite, peroxyl radicals, and hydroxyl radicals. Toxicol Appl Pharmacol 156, 96-105. 

  27. Rice-Evans C and Miller NJ (1994) Total antioxidant status in plasma and body fluids. Methods Enzymol 234, 279-93. 

  28. Rice-Evans CA, Miller NJ, and Paganga G (1996) Structure-antioxidant activity relationships of flavonoids and phenolic acids. Free Radic Biol Med 20, 933-56. 

  29. Song HM, Seo MS, Kim HM, Ahn MS, and Lee YT (2002) Antioxidative activity of barley polyphenol extract (BPE) separated from pearling by-products. Kor J Food Sci Technol 34, 889-92. 

  30. Tatsuno T, Jinno M, Arima Y, Kawabata T, Hasegawa T, Yahagi N et al. (2011) Anti-inflammatory and anti-melanogenic proanthocyanidin oligomers from peanut skin. Biol Pharm Bull 35, 909-16. 

  31. Urabe K, Aroca P, Tsukamoto K, Mascagna D, Paulumbo A, Prota G et al. (1994) The inherent cytotoxicity of melanin precursors. Biochim Biophys Acta 1221, 272-8. 

  32. Winston GW, Regoli F, Dugas AJ Jr, Fong JH, and Blanchard KA (1998) A rapid gas chromatographic assay for determining oxyradical scavenging capacity of antioxidants and biological fluids. Free Radic Biol Med 24, 480-93. 

  33. Yang EJ, Yim EY, Song GP, Kim GO, and Hyun CG (2009) Inhibition of nitric oxide production in lipopolysaccharide-activated RAW 264.7 macrophages by Jeju plant extracts. Interdisc Toxicol 2, 245-9. 

  34. Zurick KM, Qin C, and Bernards MT (2012) Adhesion of MC3T3-E1 cells bound to dentin phosphoprotein specifically bound to collagen type I. J Biomed Mater Res A 100, 2492-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