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마르크스 철학의 인격 개념을 통해 본, 여성과 남성의 성정체성
Sexual Identity on the Personality of Marxism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4 no.12, 2014년, pp.674 - 682  

김영숙 (예원예술대학교 교양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마르크스 철학에 있어서 인격 개념은 '사회적 제 관계를 기반으로 한 활동성'으로 규정될 수 있다. 이 개념을 여성과 남성의 성정체성의 차이 문제에 적용시켜보면 두 가지 중요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첫째, 인격은 이데올로기에 의해 규정된다. 따라서 프로이드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이론은 가부장제 사회에 있어서 남성 우월주의 이데올로기의 영향력을 무시한 점에서 비판 가능하다. 둘째, 남성과 여성의 활동성(특히 노동)의 차이, 즉 남성의 사회적 노동과 여성의 사적 노동은 남성과 여성의 인격에 결정적 차이를 야기시켰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ersonality in Marx's philosophy can be defined as an 'activity on the basis of social relations'. This concept suggests two significant implications to the difference of sexual identity between the sexes. First, according to Marx's philosophy the personality is partially influenced by the ideo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은 이들의 이론의 한계와 문제점을 각각 지적하고, 마르크스 철학의 인격 개념이 보다 근본적이고, 그들 이론을 보완해 줄 수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다시 말해 마르크스 철학의 인격 개념을 통해 여성과 남성의 성정체성의 차이를 설명함으로써 심리학적 접근방법이 설명하지 못하는 부분들을 볼 수 있는 시각과 성정체성을 바라보는 확실한 철학적 발판을 제공함으로써 성정체성을 둘러싼 다양한 논의에 일정한 기여를 하고자 한다.
  • 본 논문은 이들의 이론의 한계와 문제점을 각각 지적하고, 마르크스 철학의 인격 개념이 보다 근본적이고, 그들 이론을 보완해 줄 수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다시 말해 마르크스 철학의 인격 개념을 통해 여성과 남성의 성정체성의 차이를 설명함으로써 심리학적 접근방법이 설명하지 못하는 부분들을 볼 수 있는 시각과 성정체성을 바라보는 확실한 철학적 발판을 제공함으로써 성정체성을 둘러싼 다양한 논의에 일정한 기여를 하고자 한다.
  • 이와 관련하여 원시 부족 사회에서 남자 아이에게 행해졌던 ‘성년식’이라는 관습적 전통을 고찰해 보자.
  • 이제 마르크스 철학의 인격 개념인 ‘사회적 제 관계의 총체성을 기반으로 한 활동성’ 개념을 가지고 여성과 남성의 성정체성의 형성과정과 연결시켜 논의해 보자.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부장제 사회란 무엇인가? 가부장제 사회는 일반적으로 가정 내에서의 아버지의 부재와 어머니의 가사와 육아 및 가사 전담이 이루어지는 사회이다. 낸시 초도로우는 여자와 남자의 서로 다른 성정체성이 시대마다 되풀이 되는 이유를 바로 유아를 기르는 존재가 엄마나 할머니와 같이 여성이라는 점에서 설명한다[14].
여성과 남성의 성 정체성의 형성 과정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 그런데 여성과 남성의 성정체성의 형성과정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활동성, 내지 노동이다. 여성과 남성의 생물학적 차이는 고도의 과학문명과 기술생산이 발달하지 못했던 이전 시대에 있어서 여성과 남성의 노동의 차이를 낳았다.
대부분 어린아이가 처음에 자기를 보살펴주는 여성에게 감정적 애착을 경험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때 낸시 초도로우가 염두에 두고 있는 성정체성의 차이는 남성의 경우엔 자립성을, 여성의 경우엔 ‘다른 사람과의 유대감’을 의미한다. 낸시 초도로우에 따르면 대부분의 유아를 기르는 존재는 남성이 아니라 여성이다. 따라서 대부분 어린아이는 처음에 자기를 보살펴주는 여성에게 감정적 애착을 경험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H. J. Hrsg, Europaische Enziklopadie zu Philosophie und Wissenschftenn, Band 3, Felix Meiner Verlag, s.650-658, 1974. 

  2. K. Marx, Thesen Uber Feuerbach, MEW, 3, Institut fur Marxismus-Leninismus, s.6, 1979. 

  3. K. Marx, Okonomisch-philosophische Manuscripte, MEW, EB 1, Institut fur Marxismus-Leninismus, s.542, 1979. 

  4. K. Marx, F. Engels, Die deutsche Ideologie, MEW, 3, Institut fur Marxismus-Leninismus, s.21, 1979. 

  5. K. Marx, F. Engels, Die deutsche Ideologie, MEW, 3, Institut fur Marxismus-Leninismus,s.517, 1979. 

  6. K. Marx, Grundrisse, MEW, 42, Institut fur Marxismus-Leninismus, s.396, 1979. 

  7. K. Marx, Grundrisse, MEW, 42, Institut fur Marxismus-Leninismus, s.512, 1979. 

  8. 캐롤 길리건, 심리이론과 여성의 발달, 다른 목소리로 (허란주 옮김), 철학과 현실사, pp.20-41, 1994. 

  9. Blum and Lawrence, "Kant's and Hegel's Moral Rationalism : A Feminist Perspective," in Canadian in Journal of Philosophy, Vol.13, No.2, pp.287-302, 1982. 

  10. 지그문트 프로이트, 프로이트 성애론(정성호 편역), 문학세계사, p.246, 1997. 

  11. Margaret Whitford, "Introdution," The Irigaray Reader, Blackwell, p.6, 1991. 

  12. 뤼스 이리가레이, 성적 차이와 페미니즘 (권현정 엮음), 도서출판 공감, p.293, 1997. 

  13. 유진희, "김수현 홈드라마의 장르문법과 젠더 이데올로기 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11호, p.104, 2010. 

  14. Nancy Chodorow, The Reproduction of Mothering,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nia Press, p.47, 1978. 

  15. 조현순, "여성성과 젠더 정체성", 새 여성학 강의, (사)한국여성연구소 지음, 동녘, p.34, 1999. 

  16. 이연정, 모성의 담론과 현실, 나남출판, p.100, 1999. 

  17. 김영숙, "'지배하는 이성'과 '배려하는 이성'이라는 개념 쌍을 통해 본 영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0호, p.141,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