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교사의 사회 인구학적 요인 및 자아탄력성 수준에 따른 유아 문제행동 인식과 지도전략
Teachers' Recognition and Teaching Strategies for the Behavioral Problems of Young Children according to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Ego-resiliency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0 no.6, 2014년, pp.347 - 368  

정호경 (부천시 육아종합지원센터 부속 아이맘카페) ,  이시자 (인천대학교 유아교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사회 인구학적 요인과 내적 요인인 자아탄력성 수준에 따라 유아의 문제행동을 인식하고 지도하는데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유아교사의 문제 행동에 대한 인식 정도는 2년제 대학 졸업 이상의 교사 집단이 기타 집단보다, 유치원 교사 집단이 어린이집 교사 집단 보다, 그리고 자아탄력성 상위 집단이 하위 집단 교사보다 높게 나타났다. 한편, 유아의 문제 행동 지도 전략과 관련하여 하위 영역에서의 차이가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교사의 연령과 경력이 많을수록 또한 학력이 높은 경우 긍정적 예방전략 I를 많이 행하였으며 반면 부정적 반응전략은 유치원 교사가 어린이집 교사보다 더 많이 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교사의 자아탄력성 수준에 따른 유아 문제 행동 지도 전략 사용은 모든 하위 영역에서 집단 간 차이를 보여준다. 설명하건대, 자아탄력성이 높은 교사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유아의 문제 행동에 대해 더 많이 긍정적 예방전략과 긍정적 반응전략을 행하고 있는 반면 부정적 반응전략은 자아탄력성 하위 집단의 교사가 상위집단의 교사보다 더 많이 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사의 유아 문제 행동 지도와 관련하여 교사의 연령과 학력 그리고 자아탄력성 수준에 따른 차이를 보여줌으로 이러한 변인을 고려한 교사 재교육 프로그램과 교사 양성 프로그램 개발 및 실시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recognition and teaching strategies for the young child's behavioral problems according to teachers' socio-demographic variables and ego-resiliency level by analyzing survey responses from 238 teachers of 3, 4, and 5-ye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사회 인구학적 변인과 내적 요인 가운데 자아탄력성이 유아 교사가 유아의 문제행동을 인식하고 지도하는데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자 한다. 교사 변인에 따른 유아 문제행동 인식과 지도전략을 알아봄으로써 유아들의 문제행동을 효과적으로 지도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 문제행동 지도와 관련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사회 인구학적 변인과 내적 요인 가운데 자아탄력성이 유아 교사가 유아의 문제행동을 인식하고 지도하는데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자 한다. 교사 변인에 따른 유아 문제행동 인식과 지도전략을 알아봄으로써 유아들의 문제행동을 효과적으로 지도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 문제행동 지도와 관련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 다시 말해, 훈육자로서 유아 교사의 역할이 강조되며 이를 위해 유아교사가 유아의 문제 행동을 제대로 인식하고 바람직한 지도를 행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하겠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아들의 문제행동을 효과적으로 지도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유아교사의 사회 인구학적 요인과 내적 요인 가운데 자아탄력성 수준에 따라 유아의 문제 행동을 인식하고 지도하는데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 확인한 결과들을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논의를 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아탄력성이란? 특히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내적 요인 가운데 하나로 Block(1982)은 자아탄력성 (ego-resilience) 개념을 소개한다. 자아탄력성(ego-resilience)은 스트레스 사건에 잘 대처하거나, 힘든 상황에 성공적인 적응을 하며 또한 외상적인 사건으로부터 빠른 회복을 보이는 능력 정도이다(Block, 1982). 설명하자면, 자아탄력성 정도에 따라 같은 스트레스 상황에서 개인마다 다른 반응을 보이는데 위기에 처해 쉽게 좌절하기도 하고 혹은 적응 행동을 통해 위기를 기회로 전환하기도 한다.
과거에 유아기의 문제행동책임을 가정에 둔 이유는? 한편, 과거에는 유아기에 나타나는 문제행동에 대해 우선적으로 가정에서 지도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받아들여졌다. 출생하여 일정 시기 동안 가정에 머무는 아이에 대한 훈육의 책임이 일차적으로 가정에 있다고 여겨졌기 때문이다(이기숙, 1999). 하지만 최근 들어 맞벌이 가정과 한 부모 가정 등 다양한 형태의 가정이 증가하고 더욱이 최근에 전면 무상보육이 실시되면서 어린이집에 보내지는 영 유아들의 수가 급격히 증가하였다.
문제행동을 가진 유아에게 적절한 지도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어떤 문제가 나타날 수 있는가? 학자들은 이 같은 문제행동은 수정되기도 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많아 유아가 보이는 약 40%정도의 문제행동은 지속되며 시간이 경과할수록 그 빈도와 심각성이 높아진다고 설명한다 (Hwang & James-Robert, 1998). 다시 말해, 문제행동을 가진 유아의 경우 적절한 지도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또래와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하기 어려운 상황이 초래되고 성장하면서 그 심각성이 점점 커져 청소년기의 일탈이나 비행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김진옥, 2002; 진형주, 2012; Campbell, 2007; Emond, Ormel, Veentra, & Oldehinkel, 2007; Feil, Severson, & Walker, 1998; Sourander & Helstela,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1)

  1. 강현경, 조형숙 (2011). 유아의 문제 행동 지도 과정에서의 원장의 어려움 및 바람직한 역할모색. 유아교육학논집, 15(6), 353-376. 

  2. 강혜경 (2002).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 구은미 (2004). 보육프로그램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관련 변인분석.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4. 김관비 (2010).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유아문제행동 지도전략-구조모형을 중심으로. 배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 김경중, 이찬숙, 조은숙 (2008). 유아개인, 가정환경, 지역변인에 따른 유아의 문제행동 연구. 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12(2), 356-373. 

  6. 김경숙 (2008). 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대처전략.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7. 김기영 (2007). 유치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인구통계학적 변인 및 학부모와의 의사소통 관계.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8. 김보들맘, 신혜영 (2000).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탐색적 연구. 유아교육연구, 20(3), 253-276. 

  9. 김신영 (1997). 유아교육기관에서 교사가 인식하는 문제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0. 김연하 (2007). 유아문제행동지도전략 척도-교사용(TSQ)의 개발과 타당화 연구. 아동학회지, 28(5), 73-89 

  11. 김윤주 (2005).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안 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2. 김인숙 (2009). 교사의 팔로우십 유형에 따른 원장-교사 교환관계.자아탄력성.조직문화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3. 김지영 (2002). 교사가 인식한 유아의 문제 행동과 문제 유형별 지도에 관한 조사연구.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 논문. 

  14. 김진옥 (2002).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한 교실 중심 중재의 효과.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5. 문송이 (2007). 유치원 교실에서 일어나는 유아행동지도와 교사의 어려움.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민선우 (2004). 유아교사의 자아개념과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7. 박경 (2013). 교사의 직무만족도와 효능감이 유아의 내, 외현적 행동문제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광주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8. 박성분 (2011). 교사가 인식하는 유아 문제 행동 유형 연구.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 논문. 

  19. 박은주 (2010). 유아교사가 지각한 직무스트레스, 교사효능감, 사회적지지 및 조직효과성과의 관계.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0. 박현진 (1996). 자아탄력성에 따른 지각된 스트레스 대처 및 우울.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1. 배지희, 조미영, 봉진영 (2009). 유아들의 문제행동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담론 분석. 유아교육연구, 29(6), 165-189. 

  22. 배혜진 (2005). 비참여적인 만3세 유아의 이야기 나누기 참여 과정과 교사의 상호작용 전략에 관한 사례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3. 보건복지부 (2013). 보육통계. 

  24. 송진숙, 권희경 (2003).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의 적응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 및 문제행동에 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8(3), 207-225. 

  25. 송진영, 김규수 (2012). 유아의 문제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 유아, 교사 관련 변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7(6), 435-364. 

  26. 심순애 (2007).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7. 안진희 (2010).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 발달에 따른 소진과 자아탄력성과의 차이.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8. 양정은, 이진희 (2014). 협력적 실행연구를 통한 초임 유아교사의 '문제행동' 인식 및 지도 실제에서의 변화. 유아교육연구, 34(1), 135-156. 

  29. 양수영 (2014).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 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행동 관리 능력. 열린유아교육연구, 19(2), 295-314. 

  30. 유지연 (2011).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직무스트레스가 전문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1. 윤호정 (2013). 유아문제 행동에 대한 어머니와 교사의 인식과 지도방안에 관한 연구.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2. 이기숙 (1997). 유아교육이론. 서울: 교문사. 

  33. 이수련, 이정화 (2010). 유치원 교사의 경력에 따른 소진과 자아탄력성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30(6), 51-65. 

  34. 이순자, 유수옥 (2012). 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연구 동향 및 유아 문제행동 관련 변인 분석: 국내학회지 및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유아교육학논집, 16(6), 127-156. 

  35. 이진경 (2002). 아동의 위축행동에 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지도실태조사.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6. 임혜민 (2002). 유치원에서 일어나는 유아들의 문제 행동과 교사의 언어적 상호 작용.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7. 정혜옥, 이옥형 (2011). 초임 유아교사와 경력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지 지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1(3), 31-53. 

  38. 진현주 (2012). 유아 문제행동 지도를 위한 현직교육의 필요성 인식 및 요구: 사립유치원 교사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9. 차어진 (2012). 유아교사의 전문성 발달수준에 따른 유아의 문제행동 인식 및 문제 행동 지도 전략.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0. 홍계옥 (2003). 유아교사의 훈육행동과 관련 변인에 대한 연구. 영유아교육연구, 6, 59-74. 

  41. 홍승희 (2009). 지적장애 특수학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 및 심리적 소진의 관계.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2. 홍현재, 문혁준 (2013).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양육행동, 교사-유아관계가 유아의 문제 행동에 미치는 영향. 생태유아교육연구, 12(4), 245-274. 

  43. Block, J. (1982). Assimilation, accommodation, and the dynamics of personality development. Child Development, 53(2), 281-295. 

  44. Block, J. H., & Kremen, A. M. (1996). IQ and ego-resiliency: Conceptual and empirical connections and separate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2), 349-361. 

  45. Campbell, S. B., & Ewing, L. J. (1990). Follow-up of hard to manage preschoolers adjustment at age 9 and predictors of continuing symptom.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31(6), 871-889. 

  46. Causadias, J. M., Salvatore, J. E., & Sroufe, L. A. (2012). Early patterns of self-regulation as risk and promotive factors in development: A longitudinal study from childhood to adulthood in a high-risk sample.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36(4), 293-302. 

  47. Compas, B. E., Connor-Smith, J. K., Saktzman, H., Thomsen, A., & Waksworth, M. E. (2001). Coping with stress during childhood and adolescence: Process, problems, and potential in theory and research. Psychological Bulletin, 127(1), 87-127. 

  48. Emond, A., Ormel, J., Veenstra, R., & Oldehinkel, A. J. (2007). Preschool behavioral and social-cognitive problems as predictors of pre-adolescent disruptive behavior. Child Psychiatry of Human Development, 38(3), 221-236. 

  49. Essa(1988). 유아행동지도 (지성애 역) 서울: 양서원(원판 1983). 

  50. Feil, E. G., Severson, H. H., & Walker, H. M. (1998). Screening for emotional and behavioral delays: The early screening project. Journal of Early Intervention, 21(3), 252-266. 

  51. Hwang, H. J., & St. James-Roberts, I. (1998).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in primary school children from nuclear and extended families in Korea.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39(7), 973-979. 

  52. Kauffman, J. M. (1993). Characteristics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of children and youth.(5th ed.). New York: Macmillan. 

  53. Kersten-Alvarez, L. E., Hosman, M. H., Riksen-Walraven, J. M., Van, Doesum, T. M., & Hoefnagels, C. (2010). Long-term effects of a home-visiting intervention for depressed mothers and their infants.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51(10), 160-1170. 

  54. Klohnen, E. C. (1996). Conceptual analysis and measurement of the construct of ego-resilienc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5), 1067-1079. 

  55. Lazarus. R. S. (2000). Toward better research on stress and coping. American Psychologist, 55(6), 665-673. 

  56. Masten, A. S., Hubbard. J., Gest, S., Tellegen, A., Garmezy, N., & Ramirez, M. (1990). Competence in the context of adversity: Pathways to resilience and maladaptation from childhood to late adolescence.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11(1), 143-169. 

  57. Meral, A., & Rogger, M. (2001). Voices inside schools seeing student learning: Teacher change and the role of reflection. Harvard Educational Reviews, 72(2), 230-253. 

  58. Schwarzer, R., & Hallum, S. (2008). Perceived teacher self-efficacy sd a predict of job stress and burnout: Mediation analysis. Applied Psychology, 57(1), 152-171. 

  59. Sourander, A. & Helstela, L. (2005). Childhood predictors of externalizing and internalizing problems in adolescence. European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14(8), 415-423. 

  60. Stormont, M., Levies, T., & Smith, S. C. (2005). Behavior support strategies in early childhood settings: Teachers' impotance and feasibility ratings. Journal of Positive Behavior Interventions, 7(3), 131-139. 

  61. Westling, D. L. (2010). Teachers and challenging behavior: Knowledge, views, and practices. Remedial and Special Education, 31(1), 48-6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