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 정서조절 어려움, 유아 문제행동 지도전략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s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Resilience, Difficulty in Emotional Regulation, and Teaching Strategies for Children with Behavior Problems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4 no.3, 2018년, pp.59 - 76  

김수진 (성신여자대학교 유아교육과) ,  권정윤 (성신여자대학교 유아교육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teachers' resilience, difficulty in emotional regulation, and teaching strategies for behavior problems of children. Methods: A total of 200 day care and kindergarten teachers were survey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5) 어떻게 지도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방법론과 함께 문제행동을 지도하는 교사를 좀 더 이해하고 긍정 적인 지도로 이끌기 위한 논의가 필요한 시점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 정서조절 어려움 및 유아 문제행동 지도전략이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통해 유아의 문제행동 지도에 영향을 주는 교사의 심리 · 정서적 변인을 밝히고 교사가 긍정적인 문제행동 지도전략을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 하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문제행동 지도전략과 관련된 교사의 심리 · 정서적 변인으로 회복탄력성과 정서조절 어려움을 설정하고 회복탄력성, 정서조절 어려움과 문제행동 지도전략 간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 이러한 관점에서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심리 · 정서적 변인으로서의 회복탄력성과 정서조절에 초점을 두어 문제 행동의 지도와의 관계와 문제행동 지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TSQ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유아교사의 유아 문제행동 지도전략을 알아보기 위해 김연하(2007)가 제작한 총 34문항의 유아 문제행동 지도전략 척도-교사용(Teacher Strategy Questionnaire: TSQ)을 사용하였다. TSQ는 문제행 동의 발생을 최소화하거나 유아가 문제행동대신에 적합 행동을 선택하도록 돕는 긍정적 예방전략, 유아가 바람직한 행동이나 사회적 기술을 이해하고 습득하도록 돕는 긍정적 반응전략, 문제행 동을 즉시 중지시키는 부정적 반응전략의 3가지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긍정적 예방전략은 다시 문제행동의 원인이 되는 환경요인들을 제거하거나, 바람직한 행동을 교사가 유도하는 전략 들을 포함하는 ‘긍정적 예방전략 1-환경재배치 및 긍정적 행동 유도’와 유아의 행동에 대한 명확 하고 일관성 있는 기대수준을 통해 문제행동을 예방하는 ‘긍정적 예방전략 2-명확한 일과계획및 기대수준’으로 나눠진다.
예방 전략은 어떤 지도를 의미하는가? 김연하(2007)는 문제행동 지도전략을 교사의 지도전 략에 관한 선행연구 분석에 따라 예방과 반응, 긍정과 부정의 축으로 나누어 긍정적 예방전략, 긍정적 반응전략, 부정적 반응전략의 3가지로 제시하였다. 예방 전략은 유아의 문제행동이 발생 하기 전에 미리 문제가 되는 행동이 일어날 소지가 있는 환경을 개선하여 행동 발생 가능성을 감소 또는 예방하는 측면에서의 지도를 의미한다. 문제행동의 효과적인 지도를 위해서는 반응적인 지도방법도 중요하지만 교실이나 기관 안에서 주의 깊은 관찰을 통해 미리 예방할 수 있는 지도방법의 사용이 요구된다.
우리 사회에서 유아가 가정에서 보내는 시간보다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머무는 시간이 길어지고 있는 배경에는 무엇이 있는가? 우리사회에서는 유아가 가정에서 보내는 시간보다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머무는 시간이 길어지고 있다. 우리나라는 OECD국가들 중 연간 노동시간이 다른 나라들에 비해 연간 두 달 정도가 많은(OECD, 2016) 일 중심의 사회이며, 이러한 사회구조는 일하는 부모가 자녀와 함께 충분한 시간을 보내기 어려운 상황을 만든다. 최근 한 CF에서 아빠와 어린 딸이 “아빠, 또 놀러오세요.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5)

  1. 권수현 (2010). 유치원 교사의 회복탄력성(resilience)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권수현 (2015).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에 대한 고찰: 개념 및 구성요인, 향상방안을 중심으로. 육아지원연구, 10(2), 31-53. doi:10.16978/ecec.2015.10.2.002 

  3. 권정윤, 안혜준, 송승민, 권희경 (2013). 유아 생활지도. 서울: 학지사. 

  4. 권혜진 (2013). 교사의 놀이성과 놀이신념, 놀이교수효능감이 문제행동지도전략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1), 175-200. 

  5. 김관비 (2011).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유아문제행동 지도전략. 배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경숙 (2008). 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대처전략.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보영, 김현주 (2013). 교사-부모 관계에서 경험하는 유치원 교사의 어려움.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6), 73-106. 

  8. 김연하 (2007). 유아 문제행동 지도전략 척도-교사용(TSQ)의 개발과 타당화 연구. 아동학회지, 28(5), 73-89. 

  9. 김영은, 이희선 (2016). 아동학대예방을 위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성교육 기초연구. 인지발달중재학회지, 7(1), 15-32. 

  10. 김주환 (2011). 회복탄력성: 시련을 행운으로 바꾸는 유쾌한 비밀 Resilience. 고양: 위즈덤하우스. 

  11. 문송이 (2008). 유치원 교실에서 일어나는 유아행동지도와 교사의 어려움.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박금자 (2012). 유아교사의 효능감이 유아문제행동에 대한 교사의 대처전략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박선미 (2013). 유아교사의 정서조절능력, 유아-교사 관계, 소진감 간의 관계. 아동교육, 22(1), 21-32. 

  14. 박은영, 조은정, 정주선 (2011). 보육교사의 정서노동과 보육교사의 발달단계 및 보육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 한국영유아보육학, 66, 127-146. 

  15. 빈윤희 (2015). 유아교사의 원가족 경험과 회복탄력성이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서지영, 서영숙 (2002). 유치원 교사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22(4), 229-251. 

  17. 엄정애, 김혜진 (2005). 유치원 종일반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 유아교육연구, 25(5), 75-101. 

  18. 오은성 (2013).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조직 효과성이 유아 문제행동 지도전략에 미치는 영향. 광주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임지윤 (2011). 교사의 정서노동과 정서조절이 직무스트레스, 소진 및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임효선 (2010). 가정 연계를 위한 유아교육 기관의 부모 참여 실태 및 인식 요구도.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1. 이순자, 유수옥 (2012). 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연구 동향 및 유아 문제행동 관련 변인 분석: 국내 학회지 및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유아교육학논집, 16(6), 127-156. 

  22. 이지영, 권석만 (2006). 정서조절과 정신병리의 관계: 연구 현황과 과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8(3), 461-493. 

  23. 이은진 (1999).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보육활동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전일우 ((2014). 유아교사의 제반변인에 따른 유아문제행동 지도능력과 교사-유아 관계의 질에 대한 연구.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5(4), 639-659. 

  25. 정호경 (2014).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에 따른 유아 문제행동 인식과 지도전략.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조영란, 김희화, 공유경 (2009).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에 대한 개인적 변인과 대인관계 변인의 영향.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0(3), 437-448. 

  27. 조용래 (2007). 정서조절곤란의 평가: 한국판 척도의 심리측정적 속성.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6(4), 1015-1038. doi:10.15842/kjcp.2007.26.4.012012 

  28. 중앙일보 (2018. 2.15). 감정노동 종사자 560만-740만명.. 정부 '직원 보호용'매뉴얼 만들어. http://news.joins.com/article/22372748에서 2018년 3월 30일 인출 

  29. 차어진, 권연희 (2013). 유아교사의 전문성 발달 수준에 따른 유아의 문제행동인식 및 문제행동 지도전략. 수산해양교육연구, 25(1), 53-64. 

  30. 홍혜림 (2016). 유아교사의 소진감이 유아문제행동 지도전략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Beckner, R. S. (2007). Young children at-risk for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examination of behavior change utilizing universal positive behavior support strategi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Missouri-Columbia, Columbia, MO. 

  32. Benard, B. (2004). Resiliency: What have we learned? San Francisco: West Ed. 

  33. Chan, D. W. (2008). Emotional intelligence, self-efficacy, and coping among Chinese prospective and in-service teachers in Hong Kong. Educational Psychology, 28(4), 397-408. doi:10.1080/ 01443410701668372 

  34. De Pry, R. L., & Sugai, G. (2002). The effect of active supervision and pre-correction on minor be- havioral incidents in a sixth grade general education classroom. Journal of Behavioral Education, 11(4), 255-267. 

  35. Fantilli, R. D., & McDougall, D. E. (2009). A study of novice teachers: challenges and supports in the first year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5(6), 814-825. doi:10.1016/j.tate.2009.02.021 

  36. Gilstrap, C. M. (2005). Closing in on closeness: Teacher immediacy as a form of emotion labo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olorado State University, Fort Collins, CO. 

  37. Gross, J. J., & John, O. P. (2002). Wise emotion regulation. In L. F. Barett & P. Salovey (Eds.), The wisdom in feelings: Psychological processes in emotional intelligence (pp. 297-318). New York: Guilford. 

  38. Gu, Q., & Day, C. (2007). Teachers resilience: A necessary condition for effectivenes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3(8), 1302-1316. doi:10.1016/j.tate.2006.06.006 

  39. Gu, Q., & Day, C. (2013). Challenges to teacher resilience: conditions count. British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39(1), 22-44. doi:10.1080/01411926.2011.623152 

  40. Hester, P. P., Baltodano, H. M., Hendrickson, J. M., Tonelson, S. W., Conroy, M. A., & Gable, R. A. (2004). Lessons learned from research on early intervention: What teachers can do to prevent children's behavior problems. Preventing School Failure, 49(1), 5-10. doi:10.3200/psfl.49.1.5-10 

  41. Le Cornu, R. (2009). Building resilience in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5(5), 717-723. doi:10.1016/j.tate.2008.11.016 

  42. Masten, A. S., Best, K. M., & Garmezy, N. (1990). Resilience and development: contributions from the study of children who overcome adversity.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2(4), 425-444. doi:10.1017/s0954579400005812 

  43. OECD (2016). 2016 employment outlook report of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Paris: OECD. doi:10.1787/empl_outlook-2016-en 

  44. Reinke, W. M., Stormont, M., Herman, K. C., Wang, Z., Newcomer, L., & King, K. (2014). Use of coaching and behavior support planning for students with disruptive behavior within a universal classroom management program. Journal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22(2), 74-82. doi:10.1177/1063426613519820 

  45. Saarni, C. (1989). Children's understanding of strategic control of emotional expression in social transactions. In C. Saarni, & P. L. Harris (Eds.), Children's understanding of emotion (pp. 181-208).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46. Salthouse, T. A. (2005). Relations Between Cognitive Abilities and Measures of Executive Functioning. Neuropsychology, 19(4), 532-545. doi:10.1037/0894-4105.19.4.532 

  47. Smith S. C. (2004). The effects of targeted positive behavior support strategies on preschoolers externalizing behavio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Missouri-Columbia, Columbia, MO. 

  48. Smith, T. M., & Ingersoll, R. M. (2004). What are the effects of induction and mentoring on beginning teacher turnover?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41(3), 681-714. doi:10.3102/ 00028312041003681 

  49. Stormont, M., Covington, S., & Lewis, T. J. (2006). Using data to inform systems: Assessing teacher implementation of key features of program-wide positive behavioral support in Head Start classrooms. Beyond Behavior, 15(3), 10-14. 

  50. Sutherland, K. S., Wehby, J. H., & Yoder, P. J. (2002).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 er praise and opportunities for students with EBD to respond to academic request. Journal of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10(1), 5-13. doi:10.1177/106342660201000102 

  51. Sutton, R. E., & Harper, E. (2009). Teachers' emotion regulation. In Saha, L. J., & Dworkin, A. G. (Eds.), International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ers and Teaching (pp. 389-401). New York: Springer. doi:10.1007/978-0-387-73317-3 

  52. Tait, M. (2008). Resilience as a contributor to novice teacher success, commitment, and retention. Teacher Education Quarterly, 35(4), 57-75. 

  53. VanDerHeyden, A. M., Witt, J. C., & Gatti, S. (2001). Research into practice: Descriptive assessment method to reduce overall disruptive behavior in a preschool classroom. School Psychology Review, 30(4), 548-567. 

  54. Yates, L., Pelphrey, B. A., & Smith, P. A. (2008). An exploratory phenomenological study of African American male pre-service teachers at a historical black university in the mid-south. National Forum of Applied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21(3), 1-16. 

  55. Zembylas, M. (2005). Discursive practices, genealogies, and emotional rules: A post-structuralist view on emotion and identity in teaching.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1(8), 935-948. doi:10.1016/j.tate.2005.06.005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