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만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수록된 유아인권 관련 교육내용 분석
A Study on the Educational Contents on Child's Human Rights in a Manual of the Nuri Curriculum for 5 Year Old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0 no.6, 2014년, pp.369 - 390  

조숙영 (경동대학교 유아교육학과)

초록

본 연구는 만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수록된 유아인권 관련 교육내용을 활동 유형 및 흥미영역, 5개영역, 생활주제별로 분석준거에 의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활동 유형 및 흥미영역에 나타난 유아인권 관련 교육내용은 대 소집단 활동, 자유선택활동, 바깥놀이 활동순의 빈도로 높게 나타났으며 그 가운데 교육과 휴식이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다. 둘째, 5개 영역 가운데 유아인권 관련 교육내용을 가장 많이 다루고 있는 영역은 사회관계 영역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참여가 가장 많이 다루어지고 있는 인권관련 교육내용으로 파악되었다. 반면 가장 적게 다루어지고 있는 영역은 신체운동 건강영역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인권 관련 교육내용을 가장 많이 다루고 있는 주제는 '봄, 여름, 가을, 겨울'이었으며, '나와 가족'의 주제에서는 가장 낮은 빈도의 유아인권 관련 교육내용을 다루고 있었다. 또한 전체 생활주제 가운데 교육과 휴식이 가장 높은 빈도의 유아인권 관련 교육내용으로 다루어지고 있는 반면, 학대와 방임(폭력)의 유아인권 관련 교육내용은 전체 생활주제에서 전혀 다루어지고 있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유아인권 관련활동을 균형 있게 계획하고 전개하는데 도움을 주며, 초등학교와 연계된 인권교육 프로그램의 활동을 구성하는 데에도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한다. 더 나아가 유아를 위한 체계적인 유아인권교육에 관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어서도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the educational contents related with child's human rights in a manual of the Nuri Curriculum for 5-year-olds based on the type and area of activity, 5 areas, and by life theme.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ducational contents on child's human rights in activ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통해 유치원 교사들이 유아인권과 관련된 활동을 균형 있게 계획하고 전개하는데 도움을 주며, 초등학교와 연계된 인권교육프로그램의 활동을 구성하는 데에도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한다. 더 나아가 국가수준의 교육과정 외에 유아를 위한 체계적인 인권교육 프로그램의 교육내용과 방법을 개발하는 데에도 의미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 둘째, 인권교육 프로그램이 체계적으로 갖추지 못하고 있는 실정에 본 연구는 2012년에 전국의 유치원에 보급되어 적용되고 있는 만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수록된 유아인권 관련 교육내용 분석에 관한 연구이다. 따라서 2013년 3월에 보급된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인 3, 4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수록된 유아인권 관련 교육내용 분석 또한 매우 시급하고 반드시 필요하다고 본다.
  • 분석 자료는 국가수준의 교육과정 분석에 관한 선행연구들(김숙자 등, 2008; 김숙자, 장갑희, 2010; 조숙영, 2013; 조숙영, 조병은, 2012; 조주랑, 2010)의 자료처리방법을 근거로 빈도와 백분율로 처리하고 표의 형태로 제시하였다. 또한 그 결과를 바탕으로 기술하였다
  • 만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수록된 유아인권 관련 교육내용을 활동유형 및 흥미영역, 5개 영역, 생활주제를 7개의 유아인권 교육내용 즉, 인간의 존엄성에 대한 존중, 비차별, 안전과 건강, 교육과 휴식, 학대와 방임, 문제해결과 자기조절, 참여의 교육내용을 중심으로 유아인권 관련 교육내용의 현황은 어떠한지 알아보는 것이다. 분석된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 및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만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자유선택활동, 대・소집단 활동, 바깥놀이 활동의 활동유형 및 흥미영역과 신체운동・건강영역, 의사소통영역, 사회관계영역, 예술경험영역, 자연탐구영역의 5개 영역, 1~11권의 생활주제에 나타난 유아인권교육 내용을 분석준거에 따라 분석해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유치원 교사들이 유아인권과 관련된 활동을 균형 있게 계획하고 전개하는데 도움을 주며, 초등학교와 연계된 인권교육프로그램의 활동을 구성하는 데에도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한다. 더 나아가 국가수준의 교육과정 외에 유아를 위한 체계적인 인권교육 프로그램의 교육내용과 방법을 개발하는 데에도 의미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 이에 본 연구는 만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자유선택활동, 대・소집단 활동, 바깥놀이 활동의 활동유형 및 흥미영역과 신체운동・건강영역, 의사소통영역, 사회관계영역, 예술경험영역, 자연탐구영역의 5개 영역, 1~11권의 생활주제에 나타난 유아인권교육 내용을 분석준거에 따라 분석해 보고자 한다.
  • 첫째, 만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활동유형 및 흥미영역에 수록된 유아인권 관련 교육내용의 현황은 어떠한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만 5세 누리과정에서는 인권교육을 하고 있는가? 초․중․고등학교에서는 교과서를 중심으로 학생들을 지도하지만, 유치원은 누리과정에 제시된 놀이중심의 활동을 활용하여 유아들을 지도하게 된다(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2013). 만 5세 누리과정에서는 인권이란 용어를 직접적으로 사용하고 있지는 않으나, 인권교육의 내용에 해당되는 나와 다른 사람과의 차이를 존중하며 타인을 배려하고 공감하는 역량을 기르기 위한 인성교육, 유아의 성, 신체적 특성 등을 대폭 강화하였음(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2013)을 밝히고 있다.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은 국가에서 공통적으로 지향하는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최윤정, 2005), 교육현장의 교육에 대한 기대, 교수목록, 교육에 대한 신념과 사상을 실제 교육행동으로 실천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Calderhead, 1984).
유․초․중․고 인권 교육과정 개발 연구에서는 인권교육내용을 어떻게 구분하였나? 한국과 일본의 유치원 교육과정에 나타난 유아인권교육의 내용비교에서 정미라(2003)는 기본적 권리, 평등의 권리, 자유의 권리, 경제의 권리, 정치적 권리, 사회적 권리로 구분하였다. 또한 유․초․중․고 인권교육과정 개발 연구(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03)에서는 3가지의 인권교육내용으로 인권과 아동의 권리에 대한 인식, 인권보호에 대한 태도, 타인의 권리 존중 태도로 구분하였다.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 자료에 나타난 유아인권교육 관련 내용 분석(김숙자, 김현정, 장윤정, 2008)에서는 기본적 권리, 평등의 권리, 자유의 권리, 경제의 권리, 정치적 권리, 사회적 권리로 분류하고 있으나, 정미라(2003)의 유아인권 교육내용과는 하위인권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유아기에 인권교육의 필요성이 증대되는 이유는? 인권교육의 의미와 중요성은 유엔아동권리협약의 권고에 따라 이미 강조되고 있는 바, 인권교육의 필요성이 증대되면서 국가인원위원회(2012)는 유치원에서부터 국가교육과정에 인권교육의 교육내용과 요소를 체계적으로 반영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유아가 자신의 권리를 보호하고 증진하며 나아가 타인의 권리도 똑같이 존중하는 태도와 행동을 기르기 위해서는 반드시 인권교육이 필요하다(김숙자, 장갑희, 2010). 특히 유아기에서 아동기는 자신의 존엄성에 대한 이해와 타인에 대한 존중을 통해 인권을 이해시킬 수 있는 적기(구정화, 설규주, 송현정, 2004; 이양희, 1999)이므로, 유아인권 교육은 유아교육기관에 재학하는 동안 권리실현을 위한 결정적인 시기이다(국가인권위원회, 2006; 김숙자, 김현정, 2008; 서울대학교 연구소, 200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강인설, 송주연 (2014). 자유선택활동시간에 나타난 교사-유아 언어적 상호작용 시도 분석. 아동교육, 23(1), 59-77. 

  2. 교육과학기술부 (2012). 5세 누리과정 교서용 지도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3.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2012). 만 5세 누리과정 해설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4.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2013).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5. 구정화, 설규주, 송현정 (2004). 교사를 위한 학교 인권교육의 이해. 서울: 국가인권위원회. 

  6. 국가인권위원회 (2005). 누구나 행복할 권리가 있어요: 초등학교 인권교육프로그램. 서울: 국가인권위원회. 

  7. 국가인권위원회 (2006). 유엔인권조약감시기구의 일반논평 및 일반권고. 서울: 국가인권위원회. 

  8. 국가인권위원회 (2008). 교사를 위한 인권교육 기본용어. 서울: (사)장애우권익문제연구소. 

  9. 국가인권위원회 (2012). 인권 친화적 학교문화 조성을 위한 종합정책권고. 서울: 국가인권위원회. 

  10. 김경희, 나귀옥 (2013). 유치원 자유선택활동 시간에 나타나는 교사와 유아의 설명을 통한 공동구성. 유아교육연구, 33(1), 191-214. 

  11. 김숙자, 김현정 (2008). 유아 인권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아동과 권리, 12(2), 117-134. 

  12. 김숙자, 김현정 (2010). 유아 인권교육 프로그램. 서울: 공동체. 

  13. 김숙자, 김현정, 장윤정 (2008).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 자료에 나타난 유아인권교육 관련 내용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3(2), 259-283. 

  14. 김숙자, 박현진, 조주랑 (2009). 유치원 일일교육계획안의 생활주제와 활동유형에 나타난 유아인권교육 관련 내용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3(1), 25-42. 

  15. 김숙자, 장갑희 (2010). 유치원 교육 활동 지도서에 나타난 유아인권 관련 교육내용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4(1), 349-373. 

  16. 김연주 (2008). 노래동화를 활용한 통합적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7. 김은주 (2001). 유치원 교사의 교육과정 관심단계에 따른 실행수준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8. 김은희, 유준호 (2012).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실외놀이의 어려움과 활성화 방안. 유아교육학논집, 16(4), 27-52. 

  19. 김혜금, 양숙경 (2014). 성별에 따라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방임학대와 지역사회 인식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5), 117-131. 

  20. 문미옥 (2008). 2007년 개정 유치원교육과정을 위한 이론적 실천적 검토내용과 개정절차가 유치원교육과정 발전사에 주는 의미와 과제. 유아교육연구, 28(3), 195-224. 

  21. 서영숙, 서혜정, 김진숙 (2009). 유아권리와 권리교육에 대한 보육교사 인식 및 요구분석.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지, 13(3), 213-236. 

  22. 서정은 (2001). 유아 인권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3.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03). 유.초.중.고 인권교육과정 개발 연구. 서울: 국가인권위원회. 

  24. 신혜경 (2007). 유아 인권교육 프로그램이 장애에 대한 인식과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5. 심주연, 권미량 (2013). 유치원 대소집단 활동유형에 따른 교수학습방법 탐색. 아동연구, 23, 118-144. 

  26. 안동현 (2009). 한국 아동의 삶-아동권리 증진을 위한 노력. 2009 공동춘계학술대회 한국아동의 삶의 질, 265-284. 

  27. 안혜영, 정선영, 홍순옥 (2012). 보육교사의 표준보육과정 영역별 하위내용에 대한 인식과 실행간의 차이. 아동교육, 21(2), 161-180. 

  28. 윤재희, 유향선, 이효정 (2013). 유아 인권교육의 새로운 방향 탐색. 유아교육학논집, 17(2), 197-218. 

  29. 이동욱 (2003). 중등 사회과의 인권교육 내용 분석 및 개선 방안.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0. 이명준, 류재택, 정우탁, 임현묵 (2000). 인권교육 체계화 방안연구.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유네스코한국위원회. 

  31. 이양희 (1999). 유아용 아동권리 프로그램. UN아동권리협약10주년 기념학술대회. 한국아동권리학회 1999년 추계학술대회 발표자료집, 49-73. 

  32. 이양희 (2004). 초등학교 인권교육 프로그램 개발. 서울: 국가인권위원회. 

  33. 이양희, 구미향, 윤정란, 황소영 (2011). 유아용 인권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서울: 국가인권위원회. 

  34. 이정욱, 양지애 (2012). 5세 누리과정 정책과 교육내용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유아교육학논집, 16(4), 167-192. 

  35. 임정희 (2005). 만 5세 아동권리교육 활동 안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유엔의 아동권리에 관한 국제협약을 중심으로. 신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6. 정미라 (2003). 한국과 일본의 유치원 교육과정에 나타난 유아 인권교육의 내용비교. 열린유아교육연구, 7(4). 291-318. 

  37. 정선아 (2002). 아동기의 현대적 의미 변화과정 고찰. 한국아동권리학회지, 6(2), 365-384. 

  38. 조숙영 (2013).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다문화'관련 활동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7(4), 379-400. 

  39. 조숙영, 조병은 (2012). 유치원 교육 활동 지도 자료와 유치원 지도서의 '장애' 관련 활동 목표와 내용 비교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7(2), 233-256. 

  40. 조주랑 (2010). 국가고시 유치원 교육과정에 나타난 유아 인권 관련 교육내용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1. 최윤정 (2005). 국가 수준 유치원 교육과정의 국제비교연구: 8개국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25(4), 5-31. 

  42. Calderhead, J. (1984). Teachers planning. In A. Pollard (Ed.), Readings for reflective teaching in the primary school, 318-332. London: Casell. 

  43. UNESCO (1998). All human beings....: Manual for human rights education, 모든 인간은....: 인권교육지침서(유네스코 한국위원회 옮김). 서울: 사람생각(원판 2000년). 

  44. Wardle, F. (1995). Alternatives bruderhof education: Outdoor school. Young Children, 50(3). 68-73. 

  45. Whitebook, M., Howes, C., & Philps, D. (1990). Who cares? Child care teachers and the quality of care in America: Final report of the national child care staffing study. Oakland, CA: Child Care Employee Projec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