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등학생의 자기애, 정서적 자기개방이 우울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Narcissism and Emotional Self-Disclosure on the Depression and Happiness Levels of High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兒童學會誌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35 no.6, 2014년, pp.79 - 92  

박영아 (대진대학교 아동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fluences of narcissism and emotional self-disclosure on depression and happiness levels of high school students. The participants comprised of 334 high school 1st-graders. The results indicated that: (1) Girls showed higher levels of both narcissism and emotional self-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앞서 살펴본 선행연구들을 통해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변인들에 대해서도 고등학생의 성차가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어 이 시기의 심리적 발달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성별 특성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기애와 정서적 자기개방이 우울 및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방식을 성별로 비교분석하여 고등학생의 정신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생활지도 및 상담에 실제적인 도움을 제공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기애를 정신건강의 위험요인으로, 그리고 선행 연구(Kim & Oh, 1997)에서 객관적인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자기개방보다 더 효과적이라고 밝힌 정서적 자기개방을 정신건강의 보호요인으로 가정하고 이 두 변인이 고등학생의 우울과 행복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자기애와 정서적 자기개방이 우울과 행복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고, 이에 성별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함으로써 남녀 고등학생의 생활지도와 상담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라 결과를 제시하고 논의를 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남녀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자기애와 자기개방이 우울과 행복감을 예측하는 변인임을 확인하고 이 두 변인이 우울과 행복감에 기여하는 양상에서 성별 차이가 있음을 밝힘으로써 고등학생의 심리적 특성을 이해하고 적절하게 중재하기 위해 성차를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본 연구는 학업적 성취를 비롯하여 다양하고 복잡한 스트레스원을 가지고 있는 고등학생의 삶 속에서 우울을 예방하고 행복감을 증진시켜 이들의 심리사회적 적응을 도울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해보고자 한다. 청소년기는 호르몬의 변화와 더불어 정서의 강도와 변화가 심한 시기로 남녀 청소년은 사춘기를 경험하는 시기에 차이가 있으며 이로 인해 자기상과 타인에 대한 태도에서도 차이를 나타낸다(Jang, 1999).
  • 이러한 자기애의 속성은 자신의 마음 속 감정을 기꺼이 타인에게 노출하는 정서적 자기개방의 속성과는 대조를 이룬다. 이에 본 연구는 자기애가 우울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이 정서적 자기개방에 의해 조절되는지도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기애는 무엇인가? 자기애는 타인의 인정과 칭찬을 끊임없이 필요로 하고 자신에 대해 과대평가를 하며 타인과의 공감 능력이 결여된 심리적 특성으로서(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적응적인 측면과 부적응적인 측면이 공존한다. 자기애가 적응적으로 기능할 때는 높은 자아존중감으로 연결되어 우울, 슬픔, 불안의 수준을 낮추고 주관적 안녕감과 삶에 대한 만족, 사회적 활동에 대한 참여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Hill & Lapsley, 2011; Rose, 2002; Sedikides, Rudich, Gregg, Kumashiro, & Rusbult, 2004).
남학생의 경우 자기애와 행복감 간의 관계를 정서적 자기개방이 조절하는데, 이러한 조절효과는 정서적 자기개방의 수준이 높을 때만 유의한 것이 뜻하는 바는? 즉, 남학생의 경우 자기애와 행복감 간의 관계를 정서적 자기개방이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조절효과는 정서적 자기개방의 수준이 높을 때만 유의하였다. 이는 남학생이 자신을 타인에게 정서적으로 많이 개방하면 자기애가 행복감에 미치는 부정적인 효과가 완충된다는 것을 뜻한다. 
자기애가 적응적으로 기능할 때의 역할은? 자기애는 타인의 인정과 칭찬을 끊임없이 필요로 하고 자신에 대해 과대평가를 하며 타인과의 공감 능력이 결여된 심리적 특성으로서(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적응적인 측면과 부적응적인 측면이 공존한다. 자기애가 적응적으로 기능할 때는 높은 자아존중감으로 연결되어 우울, 슬픔, 불안의 수준을 낮추고 주관적 안녕감과 삶에 대한 만족, 사회적 활동에 대한 참여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Hill & Lapsley, 2011; Rose, 2002; Sedikides, Rudich, Gregg, Kumashiro, & Rusbult, 2004). 그러나 자기애가 지나치게 강한 경우 부적응적으로 기능하여 자신에 대한 지나친 과대성 및 특권 인식, 타인에 대한 과민한 반응, 자기중심성, 높은 불안과 신경증이 나타나고(Washburn, McMahon, King, Reinecke, & Silver, 2004), 우울 성향이 높아진다(Myers & Diener, 1995; Yang & Park, 2011; Yi & Lee,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Ahn, N. Y., & You, Y. D. (2013).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ceived parents-adolescents communication and adolescents' depression/happiness - Focused on the mediation effect of negative automatic thoughts.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14(5), 3201-3215. 

  2.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text revision).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3. Bae, J. Y., & Kim, Y. J. (2009).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adolescent's depression and related variables.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17(3), 295-305. 

  4. Baumeister, R. F., Smart, L., & Boden, J. M. (1996). Relation of threatened egotism to violence and aggression: The dark side of high self-esteem. Psychological Review, 103, 5-33. 

  5. Branje, S. J. T., & Meeus, W. (2004). Disclosure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in familie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6, 195-209. 

  6. Bushman, B. J., & Baumeister, R. F. (1998). Threatened egotism, narcissism, self-esteem, and direct and displaced aggression: Does self-love or self-hate lead to violen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5, 219-229. 

  7. Chon, K. K., Choi, S. C., & Yang, B. C. (2001). Integrated adaption of CES-D in Korea.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6(1), 59-76. 

  8.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Hillsdale. NJ: Erlbaum. 

  9. Collins, N. L., & Miller, L. C. (1994). Self-disclosure and liking: A meta-analytic review. Psychological Bulletin, 116, 457-475. 

  10. Crawford, T. N., Cohen, P., & Brook, J. S. (2001). Dramatic-erratic personality disorder symptoms: II. Developmental pathways from early adolescence to adulthood. Journal of Personality Disorders, 15, 336-350. 

  11. Essau, C. A., Conradt, J., & Petermann, F. (2000). Frequency, comorbidity, and psychosocial impairment of anxiety disorders in German adolescents. Journal of Anxiety Disorders, 14, 263-279. 

  12. Fitzpatrick, M. A. (1987). Marriage and verbal intimacy. In V. J. Derlega & J. H. Berg (Eds.), Self-disclosure: Theory, research and therapy (pp. 131-154). New York: Plenum. 

  13. Han, S. C. (2004). Studies of adolescence: Understanding and guiding adolescents. Seoul: Hakjisa. 

  14. Heo, S. Y. (2009). An analysis of ecological variables affecting adolescent happines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15. Hill, P., & Lapsley, D. (2011). Adaptive and maladaptive narcissism in adolescent development. In C. T. Barry, P. K. Kerig, K. K. Stellawagen, & T. D. Barry (Eds.), Implications of narcissism and machiavellianism for the development of prosocial and antisocial behavior in youth (pp. 89-105). Washington, DC: APA Press. 

  16. Hwang, S. T. (1995). Development of diagnostic criteria for personality disorde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17. Jang, H. S. (1999). Adolescence psychology. Seoul: Hakjisa. 

  18. Jourard, S. M. (1971). Self-disclosure: An experimental analysis of the transparent self. New York: Wiley-Interscience. 

  19. Kahn, J. H., & Hessling, R. M. (2001). Measuring the tendency to conceal versus disclose psychological distress.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20, 41-65. 

  20. Kim, B. M., & Oh, O. H. (1997). Relation of counselor self-disclosure and client traitanxiety in counseling process. Journal of Student Guidance, 16, 1-14. 

  21. Kim, G. S., & Jeon, Y. S. (2012). The effects of depression, anxiety, and impulsiveness on suicidal thoughts among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1(5), 903-913. 

  22. Kim, S., & Baek, H. J. (2008). The construction of Korean youth happiness index. Korean Journal of Sociology, 42(6), 140-173. 

  23. Kim, S. A. (2013). The effect of emotion regulation, emotional self-disclosure and psychological control on depression of adolesc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24. Kim, S. A., & Kang, M. J. (2013). The effect of cognitive-emotional regulation, emotional self-disclosure and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on depression among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34(5), 61-77. 

  25. Laurenceau, J. P., Barrett, L. F., & Pietromonaco, P. R. (1998). Intimacy as a process: The importance of self-disclosure and responsiveness in interpersonal exchang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4, 1238-1251. 

  26. Lee, S. Y., & Yoo, M. S. (2010). Relationships of self-esteem and narcissism with aggression among Korean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7(7), 101-128. 

  27. Myers, D. G., & Diener, E. (1995). Who is happy? Psychological Science, 6, 10-19. 

  28. Papps, B., & O'Caroll, R. (1998). Extremes of self-esteem and narcissism and the experience and expression of anger and aggression. Aggressive Behavior, 24, 421-438. 

  29. Park, S. J. (2014, May, 30). Korean children's and adolescents' subjective well-being index is the lowest among the OECD nations for 6 years. The Hankyore, Retrieved July. 2, 2014, from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639987.html 

  30. Pathak, S. (2012). Parental monitoring and self-disclosure of adolescents.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5, 1-5. 

  31. Radloff, L. S. (1977).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 385-401. 

  32. Rose, P. (2002). The happy and unhappy faces of narcissism.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3, 379-391. 

  33. Sedikides, C., Rudich, E. A., Gregg, A. P., Kumashiro, M., & Rusbult, C. (2004). Are normal narcissists psychologically healthy?: Self-esteem matter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7, 400-416. 

  34. Seo, S. G., & Kwon, S. M. (2002). Relations of self-esteem and narcissism with aggressiveness.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1(4), 809-826. 

  35. Soenens, B., Vansteenkiste, M., Luyckx, K., & Goossens, L. (2006). Parenting and adolescent problem behavior: An integrated model with adolescent self-disclosure and perceived parental knowledge as intervening variables. Developmental Psychology, 42, 305-318. 

  36. Suh, E. M., & Koo, J. (2011). A Concise Measure of Subjective Well-Being(COMOSWB)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25(1), 95-113. 

  37. Twenge, J. M., & Campbell, W. K. (2003). "Isn't it fun to get the respect that we're going to deserve?" Narcissism, social rejection, and aggression.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9, 261-272. 

  38. Wade, T. J., Cairney, J., & Pevalin, D. J. (2002) Emergence of gender differences in depression during adolescence: National panel results from three countries.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ce Psychiatry, 41, 190-198. 

  39. Washburn, J. J., McMahon, S. D., King, C. A., Reinecke, M. A., & Silver, C. (2004). Narcissistic features in young adolescents: Relations to aggression and internalizing symptoms.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33, 247-260. 

  40. Willoughby, T., & Hamza, C. A. (2011). A longitudinal examination of the bidirectional associations among parenting behaviors, adolescent disclosure and problem behaviors.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40, 463-478. 

  41. Yang, S. M., & Park, K. (2011). The effects of narcissistic tendency on adolescent's depre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8(12), 79-100. 

  42. Yi, S. M., & Lee, S. (2009). A relation of covert narcissism to depression and self-efficacy of adolescents. The Journal of Play Therapy, 13(2), 15-2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