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앙버스전용차로 분리형 횡단보도 무단횡단 억제시설 효과평가 - 숙명여대 입구 중앙버스정류소 횡단보도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Effectiveness of Safety Barriers Restraining Illegal Pedestrian Crossing on Exclusive Median Bus Corridor - Case Study at Sookmyung Women's University Bus Station - 원문보기

韓國ITS學會 論文誌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v.13 no.6, 2014년, pp.77 - 87  

김진태 (한국교통대학교 교통대학원 교통시스템공학과) ,  김준용 (한국교통대학교 교통대학원 교통계획) ,  배현식 (한국교통대학교 교통대학원 교통시스템공학과) ,  이동일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초록

도로 중앙에 설치된 중앙버스전용차로 상의 안전문제가 지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앙버스전용차로 횡단보도를 이용하는 보행자의 통행행태를 검토하고 잘못된 통행행태를 억제하기 위한 물리적 차단시설의 안전성 증진 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한다. 무단횡단이 다수 관측되는 '숙명여대입구 정류장'의 '분리형 횡단보도' 를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여 횡단보행행태 영상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영상속 총 19,649인의 횡단행태를 분석하였고 개개인의 횡단행태를 시공간적으로 분류하였다. 전체 횡단행태 중 약 42%가 위반행태 였으며, 이 중 시간적 위반행태는 8.5%에 해당된다. 시간적 위반 행태를 억제하기 위한 시설로서 보행신호와 연동하여 진출입부를 물리적으로 차단하는 시설의 설치상황을 개선안으로 설정하였다. 해당 시설 설치시 현행법을 위반하는 횡단행태가 정상적인 행태로 개선 가능한지를 판단하였고 이에 따라 현황과 개선 상황에 맞는 보행패턴과 보행량을 결정하였다. 각각의 보행자료를 바탕으로 VISSIM을 이용한 보행모의실험을 수행하였고, FHWA에서 제공하는 상충분석 도구 SSAM을 이용하여 상충발생가능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중앙섬 및 노변보도측 횡단보도 진출입부 8개소에 물리적 차단시설을 설치한 경우 상충발생가능성이 약 24.9%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has reported that a median bus-stop island on an exclusive median bus lane (EMBL) has shortened a crossing distance unit, encouraged a pedestrian's illegal crossing, and increased the number of accidents in the area. This study presents (1) the analysis of inappropriate pedestrian crossing patt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무단횡단 억제를 위한 물리적 차단시설 도입을 통하여 안전성 증진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방법론을 수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현장조사에서부터 효과평가까지의 일련의 과정을 1개 지점 Case Study를 통하여 진행하였다.
  • 횡단행태상의 시공간적 위반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보행신호 연동을 통하여 횡단보도의 진입자체를 물리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시설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횡단보도 진출입부에 설치되어 보행신호 적색시 물리적으로 보행자의 진입을 차단하고 보행 녹색시 차단이 해제되는 시설을 제안한다.
  • 이를 위하여 현장조사에서부터 효과평가까지의 일련의 과정을 1개 지점 Case Study를 통하여 진행하였다. 중앙버스전용차로 정류소 횡단보도부에서 관측되는 보행자의 무단횡단 행태를 분석하여 물리적 차단시설 도입을 통한 횡단통행행태 개선가능성을 검토한다. 검토결과를 바탕으로 중앙버스전용차로 정류소 횡단보도부에 물리적 차단시설 도입시 횡단 보행자의 통행행태 개선으로 인한 안전 증진효과를 상충분석을 통해서 확인한다.
  • 중앙버스정류소 횡단보도부의 무단횡단을 억제하기 위한 시설 설치 방안을 검토하였다. 횡단행태상의 시공간적 위반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보행신호 연동을 통하여 횡단보도의 진입자체를 물리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시설이 필요하다.
  • 숙대입구 정류소는 도로중앙선 부근 안전지대를 이용하여 대향 정류소간 무단횡단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숙대입구 지하철 진출구와 정류소 횡단보도가 인접하여 지하철 이용자들의 버스 환승시 무리한 횡단 행태가 자주 발생하는 지점이다. 현장조사를 통하여 횡단보행행태를 시공간적으로 구분하고 물리적 차단시설 도입시 횡단보행행태 개선 가능성을 분석한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에서 제안한 물리적 차단 시설은 [그림 3]과 같이 개폐형 도어형태로서 횡단보도 진출입부에서 보행신호 적색 시 진출입의 차단이 가능하다. 제안된 안은 해당 시설이 노변 보도 측 및 중앙버스정류소 중앙섬 측의 횡단보도 진출 입부 모두에 설치되는 상황을 가정한다.
  • 운영상황(현황, 개선)별 무작위 난수를 변경하며 각각 10회씩 모의실험을 수행하였으며, 분석시간은 오전첨두 기준 1시간(08:00~09:00)을 대상으로 하였다. 차량 및 보행자의 도착패턴은 포아송분포(Poisson distribution)를 가정 하였으며, 보행자 및 차량의 통행행태는 시스템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모델을 적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앙버스전용차로 횡단보도를 이용하는 보행자의 통행행태를 검토하고 잘못된 통행행태를 억제하기 위한 물리적 차단시설의 안전성 증진 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한 내용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중앙버스전용차로 횡단보도를 이용하는 보행자의 통행행태를 검토하고 잘못된 통행행태를 억제하기 위한 물리적 차단시설의 안전성 증진 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한다. 무단횡단이 다수 관측되는 '숙명여대입구 정류장'의 '분리형 횡단보도' 를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여 횡단보행행태 영상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영상속 총 19,649인의 횡단행태를 분석하였고 개개인의 횡단행태를 시공간적으로 분류하였다. 전체 횡단행태 중 약 42%가 위반행태 였으며, 이 중 시간적 위반행태는 8.5%에 해당된다. 시간적 위반 행태를 억제하기 위한 시설로서 보행신호와 연동하여 진출입부를 물리적으로 차단하는 시설의 설치상황을 개선안으로 설정하였다. 해당 시설 설치시 현행법을 위반하는 횡단행태가 정상적인 행태로 개선 가능한지를 판단하였고 이에 따라 현황과 개선 상황에 맞는 보행패턴과 보행량을 결정하였다. 각각의 보행자료를 바탕으로 VISSIM을 이용한 보행모의실험을 수행하였고, FHWA에서 제공하는 상충분석 도구 SSAM을 이용하여 상충발생가능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중앙섬 및 노변보도측 횡단보도 진출입부 8개소에 물리적 차단시설을 설치한 경우 상충발생가능성이 약 24.
중앙버스전용차로의 정류소는 어떻게 구분 되는가? 중앙버스전용차로의 정류소는 교차로 통과전 정류장(near-side-station)과 교차로 통과 후 정류장(far-side-station), 도로구간 내 정류장(mid-block-station) 3가지 형태로 구분된다(국토교통부, 2010). 본 연구에서는 도로구간 내 정류장(mid-block-station) 중 무단횡단이 빈번히 관측되는 “분리형 횡단보도”의 기하구조를 갖는 정류소를 연구범위로 제한한다.
횡단보도에서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시설은 어떻게 구분 되는가? 횡단보도에서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시설은 보행자에게 안전에 대한 경각심을 주어 보행행태의 개선을 촉구하는 경보시설과, 물리적으로 무단횡단을 차단하는 시설로 구분할 수 있다. 실제현장에 설치되어 있는 시설은 대부분 음향적인 경보를 제공하는 시설과, 시각적인 경보를 제공하는 시설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KoROAD, "Traffic accident cause analysis and safety measures in BRT lane", 2013 

  2.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Bus Rapid Transit Planning Guide", 2010 

  3. S. H. Chun, Y. I. Lee,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methodology for pedestrian service quality at the access section of bus stop on median bus lan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ol. 26 no. 1, pp.15-24, February, 2008 

  4. S. J. Han, K. J. Kim, "Safety Analysis on Pedestrian Crossings in Urban Corridors with Bus Rapid Transit System",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vol. 10 no. 4 , pp.1-8, December, 2008 

  5. J. B. Lim, J. Y. Hong, I. J. Chang, J. T. Park , "Analysis of Bus Accidents Influential Factors on Bus Exclusive Lane in Seoul(Bus Median Lane and Bus Curb Lane Defined)"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vol. 14 no. 2 , pp.145-155, April, 2012 

  6. J. T. Park, H. J. Kim, J. Y. Kim, I. J. Jang, J. B. Lim, "A Basic Study on Analysis of Influencing factor of Bus Accidents in Bus Lane Section", Journal of the KOSOS vol. 27 no. 3, pp.153-160, 2012 

  7. Goyang I-safe, Retrived September, 20, 2014 from www.goyang.go.kr 

  8. Anyang LED pedestrian block, Retrived September, 20, 2014 from www.anyang.go.kr 

  9. Ansan crosswalk safety device, Retrived September, 20, 2014 from www.iansan.net 

  10. Suwon crosswalk safety device, Retrived September, 20, 2014 from www.suwon.go.kr 

  11. SIMWALK, Retrived May, 5, 2014 from www.simwalk.com 

  12. Oasys, Retrived May, 5, 2014 from www.oasys-software.com 

  13. VISSIM 6 USER MANUAL, PTV, 2014 

  14. Surrogate Safety Assessment Mode, FHWA, 2008 dilee@kaia.re.k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