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앙버스전용차로 횡단보도 보행 위반행태 분석: 고속버스터미널역 사례 분석
Analysis on Pedestrian Crossing Illegal Behavior on Exclusive Median Bus Corridor: A Cace Study of Express Bus Terminal Station 원문보기

大韓交通學會誌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33 no.2, 2015년, pp.136 - 144  

이동일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기획조정실) ,  김진태 (한국교통대학교 교통시스템공학과) ,  김준용 (한국교통대학교 교통시스템공학과) ,  배현식 (한국교통대학교 교통시스템공학과)

초록

중앙버스전용차로도 도입으로 인해 무단횡단이 증가하였고 보행 교통 사망자 수 증가의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중앙버스전용차로 횡단보도부 교통안전 수준 증진을 위해서는 공학적이고 분석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향후 보행안전시설 연구의 기반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중앙버스전용차로 정류소 횡단보도부 보행자의 보행행태 자료를 분석한다. 중앙버스전용차로 형태 중 무단횡단이 가장 많이 관측되는 '분리형 횡단보도' 형태인 서울시 '고속버스터미널역'을 조사지점으로 선정하여 영상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보행자 자료를 공간적 측면과 시간적 측면에서 위반행태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공간적 위반 보행자는 37.8%로 시간적 위반 보행자 3.4%에 비해 11.1배 높게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시간적 위반 보행자에 편중된 안전시설이 아닌 무단횡단 보행자의 절대 다수에 해당하는 공간적 위반 보행자에 안전대책도 필요하며 향후 시 공간적 위반 보행자의 무단횡단을 함께 억제하는 안전시설이 필요함을 제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has reported that a median bus-stop island on an exclusive median bus corridor has shortened a unit crossing distance, encouraged a pedestrian's illegal jay walking, and thus increased the number of accidents in the area. Therefore, this study plans to analyze the various crossing patterns of p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단락에서는 보행자 안전에 관한 연구 중 중앙버스전용차로 정류소 횡단보도 부 횡단보행자의 안전증진에 대한 연구를 검토하였다.
  • 본 연구는 중앙버스전용차로 중앙버스정류소 횡단보도를 이용하는 (1) 보행자들의 보행행태를 ‘공간적’ 위반상황과 ‘시간적’ 위반상황으로 구분하여 분석하고 (2) 시공간적으로 구분된 무단횡단 보행자의 행태분석 수행을 목적으로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중앙버스전용차로 횡단보도를 이용하는 보행자를 ‘공간적’, ‘시간적’ 구분하여 분석하고 해당 구간 보행안전에 대한 개선노력 방향에 대한 제언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앙버스전용차로 도입으로 어떠한 효과가 확인되었는가? 2004년 서울시 주요 간선도로를 중심으로 중앙버스전용차로가 설치되었다. 중앙버스전용차로 도입으로 버스 통행속도 및 정시성 등이 개선되는 효과가 확인되었으며, 그로 인해 현재 경기도 고양시, 구리, 남양주, 하남 등으로 그 적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중앙버스전용차로 시스템의 적용 및 운영범위가 확장되어 대중교통 수송 분담률이 꾸준히 증가하는 등 지속가능한 대중교통으로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으며, 타 지역으로의 확대를 기다리고 있다.
중앙버스전용차로 횡단보도 무단횡단을 감소하기 위한 시설은 무엇이 있는가? 일부 지방자치단체 현장에 중앙버스전용차로 횡단보도 무단횡단을 감소하기 위한 시설이 설치되고 있다. 예로 횡단보도 보행자 신호등 색상과 동일한 색이 횡단보도 노면에서 발광되게 하는 시설(Anyang, 2014; Uiwang, 2014), 또 음향신호로 보행자들에게 신호등화 상태를 강조하는 시설(Goyang, 2012)이 설치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이 공학적인 근거를 두고 설치되었다고 판단되기 어렵다.
중앙버스전용차로 버스정류소는 어떠한 형태로 설치되는가? 중앙버스전용차로 버스정류소는 도로의 중앙에 ‘중앙섬’ 형태로 설치된다. 중앙버스전용차로 노선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는 횡단보도를 이용하여 도로변과 중앙버스정류소 섬 사이를 이동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Cheon S. H., Lee Y. I. (2008),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Methodology for Pedestrian Service Quality at the Access Section of Bus Stop on Median Bus Lane, Korean Soc. Transp, 26(1),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15-24. 

  2. Han S. J. (2008), Safety Analysis on Pedestrian Crossings in Urban Corridors With Bus Rapid Transit System, Korea Soc. Road Eng, 10(4), Korea Society of Road Engineers, 1-8. 

  3. Jung M. G., Choi J. S., Kim S. Y., Hwang K. S. (2008), A Building Up Operation System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Median Bus Exclusive Lane -In Case of Dobong-Mia Median Exclusive Lane in Seoul-, The Conference of Korea Society of Road Engineers, Korea Society of Road Engineers, 361-370. 

  4. Kim K. J., Kim Y. C., Joe H. L., Lee J. J. (2007), Analysis of Traffic Accident After BRT Implementation, The 57th Conference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392-396. 

  5. Lee H. C. (2001),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raffic Accidents on Kangnam St. and Chonho St. in Seoul: For the Location of Exclusive Bus Lane, Myonggi University, Master's Thesis. 

  6.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0), Bus Rapid Transit(BRT) Design Principle, MILIT. 

  7. Noh Y. J. (2013), SBS News. 

  8. Park J. T., Kim H. J., Kim J. Y., Jang I. J., Lee J. B. (2012), A Basic Study on Analysis of Influencing factor of Bus Accidents in Bus Lane Section, Korea Soc. Safety, 27(3),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153-160. 

  9. Road Traffic Authority (2013), A Study Traffic Accidents Cause Analysis and Safety Measure on Exclusive Median Bus Corridor, KoROAD. 

  10. Anyang City, http://www.anyang.go.kr, 2014.01.24 

  11. Goyang City, http://www.goyang.go.kr, 2014.01.24 

  12. Uiwang City, http://www.uw21.net, 2014.01.2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