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무릎 반월판 절제술 후 신경근 조절 운동이 안쪽빗넓은근의 근활성에 미치는 영향 : 단일사례연구
The Effect of Neuro-Muscular Control Training on Vastus Medialis Oblique Activity After Menisectomy of Knee : Case Study 원문보기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thopedic Manual Physical Therapy, v.20 no.1, 2014년, pp.39 - 45  

김기철 (대구보건대학교 물리치료과) ,  서현규 (대구보건대학교 물리치료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effects of neuro-muscular control training on vastus medialis oblique (VMO) after menisectomy of the knee.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women aged 42 and 39 each who did menisectomy. Case 1 was applied quadriceps setting exercise and n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무릎관절 반월판 절제술로 인해 나타나는 하지 근력의 약화 요인에서 넙다리네갈래근 중 무용성 위축이 발생하는 안쪽빗넓은근에 대해 신경근 조절 운동을 조기에 시행했을 때 안쪽빗넓은근의 근활성 및 가쪽넓은근과의 근활성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그 효과를 입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조기에 시행하는 안쪽빗넓은근에 대한 신경근 조절 운동이 무릎관절 반월판 절제술 환자의 근활성 및 근활성비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는 것이었다. 반월판 절제술 후 사례 1과 사례 2로 나눠서 2주간 실시하였고, 사례 1에서는 Q-setting과 신경근 조절 운동을 사례 2는 Q-setting만 실시하였다.
  • 선행 연구에서는 넙다리네갈래근의 조기 재활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지만 넙다리네갈래근의 기능강화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사례 논문은 반월판 절제술 후 넙다리네갈래근 중에 안쪽빗넓은근의 선택적인 신경근 조절 운동의 적용에 따른 안쪽빗넓은근과 가쪽넓은근의 근활성 및 근활성비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조기에 시행하는 신경근 조절 운동의 효과를 입증하여 조기에 시행하는 신경근 조절 운동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게 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반월판의 기능은 무엇인가? 반월판 (meniscus)은 관절연골 보호에 중요한 구조물 이지만 해부학적으로 불안정한 구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스포츠 및 여가 활동으로 외상에 의한 반월판의 파열이 운동선수뿐만 아니라 일반인들에게서도 흔히 볼 수 있다 (고해석 등, 2003). 반월판의 일차적인 기능은 정강넙다리 관절의 압박스트레스 감소 관절의 안정성 관절연골에 대한 윤활제 역할 마찰력 감소 및 충격 흡수라 할 수 있다(Neumann, 2010). 반월판의 기능이 소실되면 무릎관절의 변형 정강넙다리 관절면의 연골조직의 파열 앞십자인대의 기능저하 및 넙다리네갈래근의 근력약화가 나타나고 임상적 증상 징후 및 파열의 동반 손상의 유무에 따라 다양한 치료방법이 제시되고 있다(Neyret  , 1994).
올바른 무릎뼈의 정렬을 위하여 무엇이 중요한가? 안쪽빗넓은근과 가쪽넓은근 간의 근력의 불균형은 기능적으로 잘못된 동작의 반복에 의해 정강넙다리 관절의 만성 통증을 유발시키고 운동수행 능력을 저하시키므로 올바른 무릎뼈의 정렬을 위하여 안쪽빗넓은근과 가쪽넓은근의 근활성비의 균형 및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Lam Ng, 2001). 특히 무릎 손상 후 넙다리네갈래근 중 안쪽빗넓은근의 기능 강화는 반드시 필요하다고 여겨지고 있으며 (Schmitt Mittelmeier, 1978) 무릎관절 운동제한 후 반월판 연골의 위축과 교원 섬유의 감소가 나타나는 것을 관찰하여 조기 운동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Brotzman과 Manske, 2012).
반월판 절제술의 장점은 무엇인가? 반월판 절제술 (menisectomy) 을 시행한 경우 무릎관절의 회복이 빠르며 수술에 의한 이환율이 낮고 입원 기간 단축 등의 장점이 있다(Bergström, 1984). 무릎관절 주위근육 중에서 가장 중요시 되는 근육은 넙다리네갈래근으로써(Soderberg Cook, 1983)  무릎 부위의 재활치료에 있어 넙다리네갈래근 특히 안쪽빗넓은근 (vastus medialis oblique; VMO)의 선택적 강화가 임상적으로 중요시 여겨져 왔고 반월판연골 손상 후 닫힌 사슬운동(closed kinetic chain exercise) 을 통한 효과적인 근육강화의 중요성이 강조되어 왔다 등 (Grood 등,198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고해석, 정진영, 최남용, 등. 슬관절 반월상연골 낭종. 대한슬관절학회. 2003;15(2):125-131. 

  2. 김기철. 시각적 피드백 스쿼트가 슬개대퇴 통증 증후군이 있는 젊은 성인의 하지정렬 및 근기능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3. 김종만. 근골격계의 기능해부 및 운동학. 정담미디어. 서울. 2004. 

  4. 임창훈. 앞십자인대 재건술 후 토구를 이용한 불안정한 표면에서 운동과 안정된 표면에서 운동 시 하지근활성도와 균형의 비교. 대한물리의학회. 2012;7(3): 251-258. 

  5. Ahn JH, Lee YS, Yoo JC, et al. Results of arthroscopic all-inside repair for lateral meniscus root tear in patients undergoing concomitant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Arthroscopy. 2010;26(1): 67-75. 

  6. Baker BE, Peckham AC, Pupparo F, et al. Review of meniscal injury and associated sports. Am J Sports Med. 1985;13(1):1-4. 

  7. Bergstrom R, Gillquist J, Lysholm J, et al. Arthroscopy of the knee in children. J Pediatr Orthop. 1984;4(5): 542-545. 

  8. Bolgla LA, Keskula DR. Reliability of lower extremity functional performance tests. J Orthop Sports Phys Ther. 1997;26(3):138-142. 

  9. Brotzman SB, Manske RC. Clinical Orthopaedic Rehabilitation: An Evidence-Based Approach. 2nd ed. Mosby;St louis, Mo, Elsevier. 2012. 

  10. Bullock-Saxton JE, Janda V, Bullock MI. Reflex activation of gluteal muscles in walking. An approach to restoration of muscle function for patients with low-back pain. Spine. 1993;18(6):704-708. 

  11. Cowan SM, Bennell KL, Hodges PW, et al. Delayed onset of electromyographic activity of vastus medialis obliquus relative to vastus lateralis in subjects with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Arch Phys Med Rehabil. 2001;82(2):183-189. 

  12. Cram JR. Cram's introduction to Surface Electromyography. 2nd ed. Canada. Jones and Baltlett Publishers. 2005. 

  13. Grood ES, Suntay WJ, Noyes FR, et al. Biomechanics of the knee-extension exercise. Effect of cutting the anterior cruciate ligament. J Bone Joint Surg Am. 1984;66(5):725-734. 

  14. Hopkins JT, Ingersoll CD, Krause BA et al. Effect of knee joint effusion on quadriceps and soleus motoneuron pool excitability. Med Sci Sports Exerc. 2001;33(1):123-126. 

  15. Keays SL1, Bullock-Saxton J, Keays AC, et al. Muscle strength and function before and after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using semitendo-nosus and gracilis. Knee. 2001;8(3):229-34. 

  16. Kirnap M, Calis M, Turgut AO, et al. The efficacy of EMG-biofeedback training on quadriceps muscle strength in patients after arthroscopic meniscecto my. N Z Med J. 2005;28;118(1224):U1704. 

  17. Lam PL,, Ng GY. Activation of the quadriceps muscle during semisquatting with different hip and knee positions in patients with anterior knee pain. Am J Phys Med Rehabil. 2001;80(11):804-808. 

  18. Lewek M, Rudolph K, Axe M, et al. The effect of insufficient quadriceps strength on gait after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Clin Biomech (Bristol, Avon). 2002;17(1):56-63. 

  19. Lucca JA, Recchiuti SJ. Effect of electromyographic biofeedback on an isometric strengthening program. Phys Ther. 1983;63(2):200-203. 

  20. Neumann DA. Kinesiology of the Musculoskeletal System; Foundation for Rehabilitation. 2nd ed. London. Mosby. 2010. 

  21. Neyret P, Donell ST, Dejour H. Osteoarthritis of the knee following meniscectomy. Br J Rheumatol. 1994;33(3):267-268. 

  22. Quinby JS, Golish SR, Hart JA, et al. All-inside meniscal repair using a new flexible, tensionable device. Am J Sports Med. 2006;34(8):1281-1286. 

  23. Salvadego D, Domenis R, Lazzer S. Skeletal muscle oxidative function in vivo and ex vivo in athletes with marked hypertrophy from resistance training. J Appl Physiol. 2013;114(11):1527-1535. 

  24. Schmitt O, Mittelmeier H. The biomechanical significance of the vastus medialis and lateralis muscles (author's transl). Arch Orthop Trauma Surg. 1978;91(4):291-295. 

  25. Shumway-Cook A, Woollacott MH. Motor control: Translating Research into Clinical Practice. 4th ed. Baltimore. Williams & Wilkins. 2012. 

  26. Soderberg GL, Cook TM. An electromyographic analysis of quadriceps femoris muscle setting and straight leg raising. Phys Ther. 1983;63(9):1434-143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